눈물이 주룩주룩
요시다 노리코.요시다 다카오 지음, 홍성민 옮김 / 북스캔(대교북스캔) / 2007년 4월
평점 :
절판


지하철역 입구에서 아침마다 손에 드는 무가지 신문, 수많은 광고와 홍보성 기사들이 넘쳐나는 공짜 신문들의 틈바구니에서 한 남자 배우가 등장하는 포스터를 보고 마음을 빼앗겼다. 바로 츠마부키 사토시!

만화를 제외하고, 일본 소설과  영화는 딱히 내 입맛에 맞지 않다고 평소 생각해왔다. 물론 내가 광적으로 좋아하는 아오이 유우가 나오는 영화들을 빼놓고 말이다. 그런데 츠마부키 사토시의 영화 속 장면 하나가 나의 마음을 빼앗았다. 특히 코를 쥐고 눈물을 참으려고 애쓰고 있는 스틸 컷!! 이렇게 울 수 있는 남자, 이렇게 울 수 있는 배우..... 나는 기대에 부풀었고 영화 개봉일까지 기다릴 수 없어 이 책을 구입했다.

설레는 마음으로 책을 읽었다. (스토리에 대한 부분은 스포일러가 될 것 같아 생략한다.) 하지만 결과는 좀 실망스러웠다. 하나의 장면 또는 영상에는 많은 것을 내포시킬 수 있다. 흔들리는 주인공의 눈동자, 울음을 참으려 경직된듯 실룩이는 주인공의 눈가, 눈동자의 움직임과 시선.... 이 모든 것들이 하나의 영상에 담겨 아름다움과 깊이를 만들어 낸다. 영상이 이렇다면, 소설은 그 모든 것을 정제된 언어로 행간에 담는다.

영화를 소설화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은 주인공의 수많은 아픔과 슬픔, 복잡한 심정을 단순히 '나는 슬펐다.'라는 한 문장으로 표현해 버리는 것이다. 그것은 일종의 폭력이고, 생략과 압축이라는 이름의 무지이다. 적어도 나는 그렇게 생각한다. 근데 이 소설이 그랬던 것 같다. 책을 읽고 난 후, 영화를 보았다. 일본 영화 특유의 감정 과잉이 군데군데 있긴 하지만, 영화의 영상미는 훌륭했다.

<눈물이 주룩주룩>을 소설과 영화 사이에서 어떤 걸 먼저 볼까 고민하는 사람은 영화를 먼저 보기를 바란다. 소설을 먼저 읽고 실망해서 영화를 보지 않는 사람이 생길 것 같아서다. 이 책은 영화를 소설화하는 데에 있어서 어떤 한계가 있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는 것 같아 그다지 추천하고 싶지는 않은 작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