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회의적 환경주의자 - 이 세상의 실제 상황을 직시하다
비외론 롬보르 지음, 김승욱 외 옮김 / 에코리브르 / 200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주변에는 무수한 책들, TV 프로그램과 광고들, 심지어는 지하철 광고에서도 자연의 아름다움, 과거 선조들의 여유를 찬양하고 있다. 하지만 사극이나 영화에서 보는 과거 삶, 책들이 이야기하는 과거의 건강함이란 건 평균수명과 역병의 기록들만 봐도 이것이 얼마나 위험한 생각인지를 알 수 있다. 그리고 생태주의의 삶이란 건 대개의 사람들에게 힘겹고 어려운 것이다. 그래서 그 삶을 따르게 하기 위해 사람들은 흔히 중세 기독교가 이야기한 것처럼 지옥도를 그려준다. 아마도 그렇기 때문에 나는 생태주의와 환경론자들에 대해 반감을 가지고 있었을 것이다.

이 책을 처음으로 접하는 사람은 그 크기에 처음 압도될 것이고, 읽게 되면 대개의 (나같은 반생태주의자를 제외하면) 사람들은 그 내용에 반감을 가지기 쉬울 것이다.

나를 비롯한 비전공자에게는 제대로 읽지도 못할 분량의 엄청난 통계와 왠만한 책 분량의 주와 참고문헌은 뭔가 화려한 궤변처럼 보이고 그 주장은 현재 생태주의가 선이고 몸소 자연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을 이상처럼 여기는 나라에서 참으로 받아들이기 힘든 이야기들이다.

책을 다 읽고 난 후 검색해본 서평에서 일부 경제인 위주의 옹호론 기사들은 이 책이 개발주의자들에게 이용(물론, 이 책 이면에도 애초에 그런 의도가 있다는 주장도 있지만)되었다는 의심을 주며 꽤 많은 기사들에서 환경론자들의 비판을 주로 다루고 있다. 심지어 어느 신문은 논쟁의 방식을 쓴다면서 환경론자의 철저한 인신공격성 글을 게재했다. (여담이지만 이런 글로 제대로 된 논쟁이 가능하다면, 한국 국회는 이미 새로운 토론 문화의 장을 열었을 것이다.)

통계를 주로 사용하는 것이 꽤나 많은 사람들의 심기를 건드리는 것은 확실해 보인다. 통계란 것은 '편파적이고 자기 멋대로 이용할 수 있는 거짓 투성의 자료'라니까. 하지만 사람들의 경험적 지식, 혹은 대중 매체에서의 이미지들은 역시, 혹은 더욱 못 믿을 것이 아닌가. 통계를 제외해봐도 마찬가지이다. 그가 이야기한 경제적인 해결책은 냉혹하다는 비판을 들을 수 있겠지만 유감스럽게도 일을 해결하는 것은 감정이 아니다.

그리고 그가 주장하는 것은 많은 이들이 착각하지만 결코 환경 정책을 그만두라는 것이 아니라 좀더 합리적이고 특히 돈만 드는 환경 정책이 아니라 낙후된 제3세계 국민들을 위해 돈을 쓰라는 것이다. 이 이야기를 비도덕적이라고 볼 수 있을까. 최소한, 환경론자이건 반환경론자이건 한번쯤 읽어보고 생각해볼 책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이 책의 가격 문제로 만만치는 않겠지만)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arine 2006-11-03 04: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일단 밥을 먹어야 환경도 생각할 수 있다는 말이 생각나네요
 
SAS 서바이벌 백과사전 야생편 - 영국 특수부대 SAS의 생존교본 SAS 서바이벌 백과사전
존 로프티 와이즈맨 지음, 이영경 옮김 / 솔출판사 / 2003년 8월
평점 :
절판


아마도 SAS라는 이름 때문에, 이벤트 때문에 크게 흥미를 끌었을 것이다. 최근 왠지 서바이벌 관련 책들이 많이 나왔고 그런 만큼 이 비싼 책을 고르는 것은 쉽지 않았다. 내용은? 예전에, 한 10년 전 정도에 나왔던 탐정놀이나 서바이벌 관련 서적을 기억하시는 분이라면 '뭐야 이거 그런 류잖아?'라고 분노하실 수도 있을 겁니다. 물론 칼라 화보도 있고 좀더 내용도 자세하지만 근본적인 면에서는 비슷해 보입니다. 물론 서바이벌 지식 서적인 만큼 크게 달라지기 힘들겠지만요.

사실 큰 단점으로는 구성을 지적하고 싶습니다. 가뜩이나 책이 두꺼운데다가 뒤적뒤적 원하는 정보를 찾기는 조금 힘들군요. 책을 한동안 붙잡고 있으면 가능하겠습니다만, 쉽게 읽히는 내용도 아니라서 정말 서바이벌을 벌여야 할 환경에 처하지 않는 이상 힘들겠군요. 내용 면에서는... 뭐라 평하기 어렵군요. 직접 경험해보지 않고 이런 것들의 진위는 알기 힘드니까요. 물론, 이런 상황에 빠져 보고 싶은 생각은 없고, 그래도 혹시 모르니까 어디 멀리 여행갈때는 옆에 끼고 가야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셰르부르의 저주 - 귀족 탐정 다아시 경 1 행복한책읽기 SF 총서 6
랜달 개릿 지음, 강수백 옮김 / 행복한책읽기 / 2003년 8월
평점 :
절판


다아시 경의 모험이라는 작품에 대해서는 이야기를 많이 들어봤지만 정작 이 책을 살 때는 그것인 줄도 모른채 행복한 SF 총서 이벤트 때문에 골랐었다. 그러나 책을 읽으면서 '아아 이거구나'하고 알게 되었고 그 이야기에 감탄했다.

이 작품의 장르는 무엇이라 할 수 있을까. 배경 세계는 판타지+대체 역사물 이라고 할 수 있겠지만 그 중심이 될 수는 없다. 대부분의 편은 추리 소설식 구성을 따르고 있고 주인공은 미스테리를 해결한다.

이 작품을 판타지로 볼 수 있는 것은 마법이 존재하고 널리 퍼져 있기 때문일 것이다. 여기서의 마법은 과학의 원리와 주술의 원리가 결합된 것으로 보인다. 그런 만큼 마법에 대한 이야기 또한 생경하고 신비하면서도 동시에 낯익은 것이 된다.

그러나 이 작품에서 마법이 주가 된다고 볼 수는 없다. 지나치게 한쪽 면만을 본다면 일반 추리소설에서 나오는 과학을 마법으로 바꾼 것에 불과하다고 할 수도 있다. 물론 그 이상의 의미도 볼 수 있지만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면에 있어서는 딱 그 정도의 역할만을 할 것이다. 과학에 의존하는 추리물이라면 'CSI 과학수사대'같은 것을 꼽을 수 있는데 이것조차도 결국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과학으로 보는 증거만이 아닌 사람의 머리인 것이다. 이 작품 내에서도 이러한 추리 전통은 잘 지켜진다.

'다아시 경의 모험'이 완간되기를 기대하면서, '세르부르의 저주'는 대체 역사의 묘한 동경, 특이하면서도 낯익은 판타지, 명쾌한 추리 이 세가지를 모두 즐길 수 있는 작품이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