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먼 자들의 국가 - 세월호를 바라보는 작가의 눈
김애란 외 지음 / 문학동네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올 4월은 잔인한 달이라고 했다.  새싹이 돋고 꽃이 피는 봄. 희망을 이야기하는 봄이기에 잔인한 4월이란 말이 더욱 잔인하게 다가왔다.

 처음 세월호의 소식을 들었을 때 설마하는 마음이 더 강했다. OECD가입 국가인 우리나라가,  경제 강국으로 떠오른 우리나라가 그럴 리가 없다고 생각했다. ​에어 포켓이야기가 나올 때는 실낱같은 희망이라도 가져보았다. 하지만 다 부질없는 일이었다. 우리는 단 한 명도 구하지 못한 채 세월호가 침몰하는 걸 보고만 있어야했다.

 실종자로 명명 되어있던 사람들은 한 사람도 빠짐없이 사망자로 명명되어졌다. 이 얼나마 어이 없고 끔찍한 일인가.

 뉴스에서 끊임없이 침몰하고 있는 세월호를 보여줬다. 나는 그 배 안에서  두려움으로 떨고 있을 희생자들이 자꾸만 떠올랐다. 잠을 자려고 눈을 감으면 내가 세월호 안에서 떨고 있었다. 차갑고 어두운 그 배 안에서 희생자들의 고통이 자꾸 전해져왔다. 유가족들의 고통에 비할것도 아니지만 현실에선 한 아이의 엄마로서 나도 살아야했다. 나는 비겁하게 모든 세월호에 관한 이야기를 끊었다. 아니 피했다.

 그 때 나는 이런 생각을 했다. 대한민국의 국민으로서, 한 아이의 엄마로서 나는 어떻게 해야할 것인가.

 <눈먼자들의 국가>를 읽게 된 건 혹시 이러한 나의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을 수 있을까 해서였다. 또 더이상 피하고만 있으면 안 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저를 가장 절망하게 만든 건, 더 노력해야 된다는 말이었어요.”​ - p.16

쌍용자동차 해고노동자 가족 이영자씨의  - 지금 당신을 가장 절망케 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하는 질문에 대한 답변이다. 이 말에대한 김애란 작가의 생각이 무척이나 공감되었다.

 그 말 앞에서 나는 좀 놀랐다. 그러고 그 '놀랐다'는 사실 때문에 내가 철저히 그녀의 고통 바깥에 있는 사람이라는 걸 깨달았다. 아무리 노력한들 세상에는 직접 겪어보지 않고는 도저히 짐작할 수 없는 고통과 그 고통이 담긴 타인의 몸이 있다는 걸 알았다.  -p.16

 2년 전 이자영씨를 떠올리며​ 내가 가까스로 발견해낸 건 만일 우리가 타인의 내부로 온전히 들어갈 수 없다면, 일단 그 바깥에 서보는 게 맞는 순서일지도 모른다는 거였다. 그 '바깥'에 서느라 때론 다리가 후들거리고 또 얼굴이 빨개져도 우선 서보기라도 해 보는 게 맞을 거 같았따. 그러니 '이해'란 타인 안으로 들어가 그의 내면과 만나고, 영혼을 훤히 들여다보는 일이 아니라, 타인의 몸 바깥에 선 자신의 무지를 겸손하게 인정하고 그 차이를 통렬하게 실감해나가는 과정일지 몰랐다. -p. 18

  그렇다. 내가 아무리 세월호 사건으로 고통스러워 해 봤자 그 유가족들의 슬픔과, 황망함, 분노, 절망, 쓰라림 등 어느것 하나에도 '안'으로 들어와 있는 것이 아니다. 나는 철저히 그들의 고통 밖에 있었던 것이다.

 온갖 비리와 부조리, 대충주의와 안일한 조치들의 총 집합의 결과물로 나타난 세월호 사건. 대한민국의 국민이라면 이 사건에 연루되지 않은 사람은 없다. 그러니 진은영 작가의 말대로 우리는 이 사건에서 연민이 아닌 수치심을 느껴야 한다. 연민이란 우리 자신이 그런 고통을 가져온 원인에 연루되어 있지는 않다고 느끼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 책을 읽고 내가 가진 질문에 대한 답변을 얻지는 못했다. 나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할 것인가하는 질문 말이다. 하지만 그것은 빠른 시간안에 나올 답변이 아니다. 수 십년간 이렇게 살아온 우리나라의 '습관'을 고치는 일이기 때문에 단순히 내가 무얼 해야된다는 답이 나올 사건이 아닌것이다. 다만 나는 이 책을 통해서 세월호 사건을 더이상 피하지 않겠다는 굳은 다짐을 한 것과 이 사건을 바라보는 시선을 더욱 굳혔다는 것에 의의를 둔다.

 

 <눈먼자들의 국가>는 「문학동네」2014년 여름호와 가을호에 게재된 글들이라고 한다. 편집주간 신형철님의 말대로 우리시대를 대표하는 문학인들과 사회과학자들이 그 어느 때보다도 숙연한 열정으로 써내려간 글들이 더 많은 분들에게 신속히 전달되길 바란다.

 이 책의 원가는 11,000원 이라고 한다. 헌데 더 많은 분들이 읽길 바라는 마음으로 정가를 5,500원으로 책정했다고 한다. 또 저자들은 인세를 모두 기부하기로 했단다. 이런 책은 꼭 사서 봐야하는데 출판사에서 지원받아 읽었다는 것이 너무 부끄럽다.

 끝으로 너무나 비참하게 하늘나라로 간 세월호 희생자들의 명복을 빈다. 그곳에서 못다 이룬 꿈을 이루고 행복하면 좋겠다. 또 그들과 유가족들을 위해 늘 기도하겠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