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 고양이만 사는 마을 - 수량을 표현하는 방법을 배워요! 깔깔 신나는 수학 동화 1
안나 체라솔리 지음, 안나라우라 칸토네 그림, 천지은 옮김 / 담푸스 / 201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학하면 떠오르는 것은 단연 숫자다. 다음으로 덥셈, 뺄샘,곱셈, 나눗셈이 떠오른다. 나의 어린 시절엔 구구단을 달달 외우고, 수학 공식을 달달 외웠던 게 수학이었다. 이런 나에게 [검은 고양이만 사는 마을]은 좀 생소했다. 수학 동화인데 내가 생각한 수학 개념들이 나오지 않고, '모두, 아무도, 몇몇, 마다' 와 같은 말들이 나왔기 때문이다. 이런 말들은 그냥 언어적 표현이라고만 생각했었다. 책 표지에는 이 표현들이 수량을 표현하는 방법이라고 써 있다. 곰곰히 생각해 보니 집합과도 관련이 있어 보였다. 아~ 이런 표현을 익히는 것도 수학이구나! 나는 나의 고정관념을 없애고 새로운 사실을 인식하게 되어 무척 흥미로웠다.


[검은 고양이만 사는 마을]의 표지를 보면 제목과는 달리 하얀 고양이도 보인다.
"이거 검은 고양이가 하얀 고양이를 만나는 이야기 같은데?"
아들이 책 표지를 보고 말했다.
표지 그림만으로 이런 이야기를 하는 여섯 살 아들이 자랑스럽다. 하하


 검은 고양이가 사는 마을엔 커다란 표지판이 있다. 이 표지판에는 <이 마을에는 검은 고양이만 살고 있음!>이라고 써 있다. 그런데 어느 날 검은 고양이들은 그 표지판 밑에 누군가가 <거짓말>이라고 써 놓은 것을 발견했다. 알고 보니 새로 온 암고양이가 흰 고양이를 낳은 것이다. 검은고양이들은 새하얀 새끼 고양이를 보고 깜짝 놀란다.처음 표지판에 써 있던 검은 고양이만 살고 있다는 말이 정말 거짓말이 되는 순간이었다. 그 이후로 검은 고양이만 사는 마을에는 줄무늬 고양이, 빨간 고양이 등 다양한 고양이들이 살게 된다. 그래서 표지판의 글을 끊임
없이 바꿔야 했다.



고양이들은 고심끝에 더이상 바꾸지 않아도 되는 문구를 생각해 낸다.
<이 마을에는 검은 고양이와 그렇지 않은 고양이들이 살고 있음.>
보통 수학동화이건 과학동화이건 지식을 전달하려는 목적으로 이야기를 만든 동화는 자칫 억지스럽고 부자연스러울 수 있다. 하지만 [검은 고양이만 사는 마을]은 이야기도 재미있고, 얻고자 하는 지식도 자연스럽게 알게 된다. 재미있는 그림도 큰 몫을 한다.

시간이 지나면 뭐든 진화하기 마련이다. 수학을 배움에 있어서도 예외는 아니었다. 단순히 외워서 아는 수학에서 개념을 알게 되는 개념 원리 수학으로, 이야기를 통해 좀 더 쉽고 자연스럽게 알게 되는 스토리 텔링 수학으로까지 말이다.
 스토리텔링 수학이 대체 뭔가했었는데 아마 [검은 고양이만 사는 마을]이 스토리텔링 수학이 아닌가 싶다.





책을 다 읽고 나면 복습의 효과를 볼 수 있는 퀴즈코너(?)-「논리학이랑 놀기」도 참 알차고 재미있다. 우리 아들은 이제 6살이라 '몇몇' 이란 표현을 조금 헷갈려했다. 하지만 책을 다시 한 번 읽어주고 나자 완전히 이해했다. 그러고선 논리학이랑 놀기의 정답을 술술 맞췄다. 내 입에서 계속 딩동댕 소리가 나오니까 굉장히 즐거워 했다.
그러고선 다음 두 문장에대해 이렇게 말했다.
-모든 쥐가 치즈를 좋아하는 것은 아니다.
- 몇몇 쥐는 치즈를 먹지 않는다.

"두개 다 똑같은 말이야. 다 같은 뜻인데, 말투만 다른거네~"
 우리 아들 [검은 고양이만 사는 마을]을 통해 '모두, 아무도, 몇몇, 마다' 의 표현을 제대로 익혔다.
유아와 초등 저학년 아이들의 수학 표현 방법 배우기.
'깔깔 신나는 수학동화 1. 수량을 표현하는 방법을 배워요! [검은 고양이만 사는 마을]' 을 추천한다.
*이 서평은  담푸스 출판사의 지원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진심을 담은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