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인 수술 보고서 시공 청소년 문학 56
송미경 지음 / 시공사 / 2014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광인 수술 보고서>의 작가 송미경은 <어떤 아이가>로 제 54회 한국출판문화상을 수상한 작가다. 입소문으로만 듣고 최근 <어떤 아이가>를 읽었다.
5편의 단편동화집이었는데 작품 하나하나 세상을 바라보는 시선이 신선하고 독특했다.
<광인 수술 보고서>는 어떨지 기대심을 갖고 읽어 나갔다.
 
 
<광인 수술 보고서>는 광기 말기 판정을 받은 연희라는 여자아이가  광인 수술을 받고 그 수술 후기를 정신과 의사 김광호가 보고서로 작성한 것이다.
물론 이것은 실제 보고서가 아닌 픽션이다. 하지만 보고서 형식으로 이야기가 진행되고 각주와 주석까지 달려있다. 이것은 독자로 하여금 이 광인 수술이
꼭 진짜인것 같은 착각을 불러온다.
 
 도입부를 계속 읽어 나가면서 이게 무슨 소리지? 도대체 광인수술은 어떤 수술이지? 하는 의문이 들었다. 광인 수술을 한다고 하는데 의사는 환자가 입고 있는 옷을 뜯어 하나하나 분리 한다.
코트를 모두 분리하니 서른 두 조각의 천이 나왔다. 초록 스웨터는 올을 다 풀어 털 뭉치로 만들고,  무릎위로 올라가지 않는 스키니 진은
가위로 자른다. 또한 의사들은 수술 환자 앞에서 수술을 하다 말고 서로 논쟁을 벌인다.  
 아주 독특하고, 모호한 이야기를 계속 읽어가다가 이것은 집단 따돌림을 심하게 받은 한 여자아이의 이야기구나 하고 알게 되었다.
 
'닥치고 써라'의 저자 최복현 선생님이 말했다. 문학은 조금은 불친절 해야한다고. 독자가 생각 할 거리를 남겨줘야 된다고 말이다.
<광인 수술 보고서>는 아주 불친절(?)하다.
 수술을 하며 여러 조각으로 분리 된 코트는 연희의 갈갈이 찢긴 마음의 상처가 아닐까, 한올 한올 풀리는 초록 스웨터는 무얼 상징하는 걸까, 세린이와 함께 산 스키니진이
가차없이 찢기는 것은 이 둘의 관계를 말하는 것일까, 수술 도중 의사들의 행동과 말들은 각각 무슨 의미가 있을까 등등 . <광인 수술 보고서>는
무수한 생각을 하게 만들었다.  마침 뒷부분에 작가의 말 말고도 작품해설이 있다. 작품 해설이 꼭 필요한 책이란 생각이 들었다.
 
책을 다 읽고 나는 집단 따돌림을 소재로한 이야기를 이런 방식으로 풀어 간 작가의 역량에 감탄했다.
 
 집단 따돌림을 당하는 연희에게 도움을 주는 손길은 아무 것도 없었다. 선생님도, 가장 친했던 친구도, 심지어는 가족도.
가장 친했던 친구 세린이는 어느새 주동자가 되어있었다.
 연희는 학교 친구들에게 개 취급을 당한다. 개처럼 네 발로 기어다니고 멍멍 짓기도 한다.
아마도 연희는 이런 광기어린 아이들로 인해 광인이 된 건 아닐까. 아니 누가 광인이고 누가 정상인 일까.
 연희의 광인 수술 보고서의 마지막 부분이 가슴에 남는다.
 
 <그런데 궁금한 것이 있어요. 도대체 이 수술은 어떤 사람이 받아야 하는 거지요? 누가 광인이고 누가 정상인이라는 걸까요?
   수술을 받아야 할 사람은 개 짖는 소리를 내다가 심지어 쥐를 물어 오기까지 한 내 자신이 아니라, 그런 나를 보며 즐거워한 우리 반 아이들이 아닌가요?
   미심쩍은 것들이 많이 있지만 우선은 여기까지 해 둘게요. 김광호 선생님, 그럼 안녕.>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