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혜의 역사 - 지혜란 무엇인가? 지혜로운 이는 어떤 사람인가?
트레버 커노 지음, 정연우 옮김 / 한문화 / 2018년 4월
평점 :
절판


지혜를 추구하는 것이 사람의 본질이라고 한다.

그러나 그 지혜라는 것이 인간이 이해할 수 있는 범주를 뛰어넘어 버리면, 신성한 것으로 여기거나, 오히려 부정해버린다.

이렇게 책이 두꺼운데, “지혜의 세계로 들어가는 안내서(?)!!” 정도란다. 저자의 겸허함이 담긴 표현일 것이다.

더구나 지혜에 대해 한 가지로 합의된 정의는 없다고 하니, 각자가 열린 개념으로 자신에 맞게 잡아나가면 되는 것이다.

지혜는 사람에 관한 것으로 관점과 견해를 밝히고 있지만, 조금 더 깊이 있는 질문을 덧붙이자면, “사람은 어디서 왔고, 왜 이렇게 살아가고 있으며, 죽음 이후에는 어디로 가는 것인가?”가에 대한 지혜라고 덧붙이고 싶다.

우리가 추구해야 하는 지혜를 가진 사람은 현인으로 가정한다면, 남들보다는 큰 그림과 넓은 지평을 더 또렷하게 볼 줄 아는 사람으로 지혜의 빛 속에서 사는 사람이라고 한다.

『지혜의 역사』는 “신과 지혜/ 신화와 전설 속의 지혜/ 역사 속의 지혜/ 문학과 지혜/ 점술과 지혜/ 철학과 지혜/ 신비주의, 마법과 지혜/ 속담과 지혜/ 오늘날의 지혜” 등의 총 9가지 주제를 가지고 논하고 있다.

중국의 팔선과 오제, 로마의 일곱 현인, 동방박사, 에녹 등 익숙한 이름의 주인공도 있지만 생소한 인물들의 이름이 여럿 있었다. 정말 포괄적으로 저술했다는 생각이 와닿는다.

고전의 동화나 우화를 인용해서 설명하는 것도 저자의 꼼꼼한 정성이 느껴졌고 점성술, 점술, 무당, 신탁을 통해서 주어지는 결과도 지혜의 한 부분으로 이해를 하고 있다.

이슬람 문화권에도 철학이 있다는 것도 생소한 내용이었고 인도의 철학에 대한 것도 생소하기는 매한가지였다.

마법, 신비주의, 속담, 현재 그리고 아프리카의 현자 철학까지, 최대한 수용하고 최대한 다각도로 지혜에 관해서 탐구할 수 있도록 모아놓고, 풀어놓고 정리해 놓았다.

“지혜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받는다면, 지혜는 변화해가는 생존 개념이라고 생각한다.

처음의 지혜라는 것은 인간의 기본적인 삶을 윤택하게 이끌어가기 위한 개념이며 이후의 지혜라는 것은 우리 인간의 본질을 깨닫고 본질에 맞추어 살아가게 하는 개념이라 본다.

혹여 지식과 지혜 중 어떤 것을 선택하겠느냐는 질문을 받았을 때, 지혜를 선택한 사람이라면 『지혜의 역사』 도 먼저 읽어보면 좋을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