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끼리를 날게 하라 - 기업의 운명을 바꾸는 실리콘밸리식 혁신 비법
스티븐 호프먼 지음, 이진원 옮김 / 마일스톤 / 2018년 10월
평점 :
절판


혁신이란 풍선을 달아서 코끼리를 날리는 법
갈수록 빨라지고 있는 기술이라는 대표적인 혁신을 어떻게 붙잡아서 줄에 매달 것인가?
그러나 기술이 혁신의 전부는 아니며 현신의 가장 핵심적인 요소는 ‘모멘텀’과 ‘다양성’이다.
타이밍을 잘 포착하여 다음에 오게 될 파도에 집중하여 파도에 올라타야지만 혁신이라는 이름의 풍선을 붙잡을 수 있는 것이다.

갑자기 “짠~” 하고 신제품이 개발되지는 않는 것이며, 모방을 토양으로 해서 혁신은 시작될 수 있는 것이다.
작은 생각이 모여서 크게 생각할 수 있고 작은 팀이 모여서 큰 기업이 된다는 타당한 이치를 생각하면 오히려 크게 생각하는 것이 혁신이라는 것에 가까이 다가가는 것처럼 보이겠지만 나에게, 우리에게, 우리 팀을 높게 평가해주는 사람에게 집중할 수 있기 때문에 작게 생각하는 것이 현신을 이루는 과정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가 되는 것이다.
소규모의 예산, 적은 시간의 몰입, 작은 문제의 해결 등의 요소를 통해서 혁신을 이룰 수 있는가?라고 반문할 수 있겠지만 탄탄하고 유동성 있는 운영이 오히려 혁신이라는 풍선을 확실하게 부여잡을 수 있는 것이다. 추락한 코끼리라는 주제에서 등장하는 엉성한 비즈니스모델, 시장분석의 실패, 대중성을 잃어버린 서비스, 편협한 아이디어 등등의 문제점들을 잘 기억해야만 코끼리를 추락시키는 실수를 범하지 않은 것이다. 코끼리를 날리는 것도 어렵겠지만 이미 추락한 코끼리를 다시 날리는 것은 거의 희박한 일이 아니겠는가?
혁신이라는 풍선은 드디어 코끼리를 띄웠다.
이제 이 코끼리를 어떻게 할 것인가?
어떻게 잘 날게 할 것인가에 대한 8가지 규칙이 있는데 가장 마지막에 등장하는 조건이었던 변화를 포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규칙이라 생각이 된다.
그리고 모든 사람을 처음부터 동참시키는 열린 운영의 방식이 더 강력한 연대의식과 코끼리의 지구력을 강인하게 만드는 것이라 생각된다.
서적의 가장 끝단에는 혁신의 종류와 영역에 대해서 서술하고 있는데, 이 모든 것을 다 반영할 수 있을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무엇보다 나에게 맞는 것, 우리에게 필요한 것, 우리의 코끼리를 변화시킬 수 있는 가장 적절한 요소를 하나씩 적용해나가고 발전시켜 나가다 보면 우리의 묵직한 코끼리가 날고 있을 것이다. 꼼짝하지 않던 코끼리가 혁신의 풍선에다가 역동성이라는 커다란 귀를 펄럭이면 창공을 향해서 더욱더 높이 날아가기라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