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위 - 고려원소설문고 005
서정인 / 고려원(고려원미디어) / 1990년 7월
평점 :
절판


문득 수업 시간의 일이 떠올랐다. 나는 선생님들이 나를 기억해 주기를 바라지 않았다. 그래서 이름보다 번호로 불리고 앉히기를 바랐다. 어떤 친구들은 이름을 불러 주길 원했다. 어떤 친구들은 번호로 부르는 선생님들을 흉봤다. 이름과 번호는 무슨 차이가 있을까. 옆짝은 '이름은 내 인격을 존중해 준다는 표시'라고 했다. 동물이나 벌레는 이름이 없다. 우리는 이름도 모르고 우리와 관련도 없는 무수한 벌레들을 예사로 지나치고 예사로 없애기도 한다. 그들의 존재는 우리에게 아무런 가치가 없기 때문이다. 이름은 '내'가 존재한다는 표시다. 그러므로 우린 우리의 인격을 위해서, 인간이라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서 이름으로 불려야 한다고.

죽음을 선택해서라도 존재를 확인 받고 싶어한 트리쾅 앞에서 나는 부끄러워진다. 보잘것없어도 소중한 나를 지켜야 할 의무를 깨닫는다. '가위'는 억압의 상징이었다. 영화 <가위손>은 인간적인 사랑을 모태로 했지만, 이 책은 구속과 속박, 억눌림과 감시를 의미한다. 인간임을 증명하는 개성과 자유는 가위로 잘라져서 모두 똑같은 규격의 물건이 되는 것이다. 가위는 감정을 자르고 인격을 자르고 인간을 허물어뜨린다.

그러나 트리쾅은 가위로 잘라진 혼 대신 육신을 죽이기로 한다. 그 선택은 그의 넋을 구원하고 그를 자유로운 본래의 인간으로 되돌려 놓았다. 이 책에서 가위는 한 가지 의미를 더 갖고 있다. 불필요한 것을 제거하고 인간으로서 갖추어야 할 것들을 갖출 수 있게 하는 미시적 도구이다. 트리쾅은 '군대'라는 조직이 제거한 자신의 넋 위에 스스로 새로운 가위로써 인간임을 증명할 수 있도록 했다. 그가 제거해 낸 것은 그를, 그의 영혼을 억압하였던 차가운 힘이었다.

가위는 쓰기에 따라 달라지는 물건이다. 무엇을 자르느냐에 따라 효용이 달라진다. 트리쾅은 가위를 어떻게 써야 할지를 알고 있는 사람이었다. '정신'을 제거 당하고 육신마저 스러져야 할 때에 트리쾅은 스스로 육신을 잘라 버림으로써 영원한 정신을 확인했다. 그리고 그는 살아 남았다. 남들은 그의 버려진 육신을 보고 죽었다고 생각했지만, 나는 생각한다. 그는 죽은 것이 아니라 영원히 살아 숨쉬는 자유롭고 평화로운 세계를 선택했음을, 그래서 영원히 살아 있음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