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타지 #게임 #역사 요다 # 장르 비평선 1
이융희 지음, 텍스트릿 기획 / 요다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웹툰 웹소설을 보면 게임속으로 빙의되는 내용이 많다. 이에 대한 것을 다룬 이번 책이 기대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팀플레이 트리플 6
조우리 지음 / 자음과모음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사랑은 처음이라서』 『라스트 러브』 『내 여자친구와 여자친구들』을 이어 네 번째로 조우리 작가님의 책을 접했다. 기대했던 것처럼, 그 이상으로, 이번 『팀플레이』도 오래 기억에 남을 것 같다. 어떻게든 좋은 사람으로 남고 싶어하던 은희, 은주, 희진의 모습에서 '나'의 모습을 훔쳐볼 수 있기 때문이다.



중간리뷰에서도 말했듯 대부분의 사람들은 좋은 사람으로 남아 있고 싶어한다. 그것은 첫만남에서도, 끝만남에서도 어쩔 수 없는 인간의 습관이다. 좋은 인상을 심어주기 위해 웃고, '괜찮다'라는 말로 제 심정을 포장하길 반복하며, 좋은 인상이 깨지는 일이 생겼음에도 헤어지는 그 순간조차 좋은 사람으로 남아있길 바란다. '나쁜 사람'이 된다면 견딜 수 없다는 듯이 행동하고, 끝끝내 제 행동을 망각해버리고 만다. 신입이 구박을 받는 것은 좋은 경험이 될 것이라고 합리화하며, 공모전에 낼 것을 알았음에도 자기 이야기가 들어가있으니 자신의 지분이 어느 정도 있다고 말하며, 주위에서 주는 눈치조차 눈치채지 못할 정도로 누군가가 당황한 모습을 보고 싶어 자리에 남으며 그렇게.



꼭 좋은 사람이 되어야 하는 걸까, 하고 드는 생각조차 사실은 기만이다. 막상 인물들의 자리에 있으면 그들처럼 행동하지 않을 거라 장담할 수 있을까. 나가라는 말이 없어 교수가 퇴근하는 시간 내내 그자리에 우두커니 서 있고, 총장의 허락이 아니면 마음대로 글을 작성하고 올릴 수도 없는 삶 속에서. 과연 '나'는 억압된 환경에서 벗어나 원하는 것으로 나아갈 수 있을까? 원하는대로 행동할 수 있을까?



조우리 작가님의 소설이 좋다. 인물에게 풍덩 빠지게 해놓고, 그 인물을 곧이곧대로 따라가게 만들어놓고서 결말에 가 새로운 충격을 주기 때문에. 나와 다르다 생각했던 인물이 사실은 나와 똑같은 인물이라는 느낌을 주기 때문에. 마치 '남'과 자신은 다르다 생각했던 '나'에게 꿀밤을 먹이고 '남'이 있는 영역 안으로 밀어 넣는 것만 같다. 그래서 나는 늘 다음엔 어떤 작품이 나올까 기대하며 서점에 작가님의 이름을 검색한다. 다음엔 또 어떤 영역 안으로 나를 밀어넣을까 고대하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위대한 고독의 순간들 더 갤러리 101 2
이진숙 지음 / 돌베개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선입견은 말을 알아듣기 시작할 때부터, 어쩌면 태어나면서부터 사람들에게 주입되기 시작한다.


오랜시간 주입되고, 그것이 우리의 머릿속에서 '일반적인 것'이 되었을 때. 우리는 편을 가르기 시작한다.


남자는 이래야해. 여자는 저래야해.

어릴 적부터 들어온 말들은 곧 자신의 시선이 되고 눈을 가린다.


타히티에 갔지만 그곳에서 하루종일 앉아서 하늘만 보고 있는 이들을 이해하지 못하던 고갱처럼.

거리적으론 가까웠으나 심리적으론 가깝지 못해, 그림을 그렸음에도 인정받지 못했던 고갱처럼.


나는 그게 참 무섭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위대한 고독의 순간들 더 갤러리 101 2
이진숙 지음 / 돌베개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로 대응되는 것은 늘 공존한다.

그것은 겉으로 보기엔 반대인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인과관계를 가지기 때문이다.

마치 풍요로운 남작 생활을 보내는 바르비 남작과 그렇지 못한 베트남 사람들처럼.

남작이 풍요로울 수 있던 이유가 바로 베트남 사람들로부터 수탈을 했기 때문인 것처럼.

눈에 보이는 것은 전부가 아니다.

마냥 평화로운 점심을 보내고 있는 것처럼 보여도, 그러한 모습이 나오려면 반드시 어떠한 대가가 뒤따른다.

평화롭게 책을 읽는 시간을 가지는 것.

나는 지금 누구 덕에 이러한 시간을 가질 수 있는 걸까?


혹은 나는 지금껏 누구의 등허리를 밟고 살아왔으며, 또 누군가에게 밟혀왔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정신과 의사의 소설 읽기 - 베르테르에서 해리 포터까지, 정신분석학적 관점으로 본 문학 속 주인공들
클라우디아 호흐브룬 지음, 장윤경 옮김 / 문학사상사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토록 입체적으로 보였던 소설 속 인물들. 그들은 과연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