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랜딩을 위한 글쓰기 - 좋은 브랜드에는 좋은 언어가 있다
김일리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케팅 하는 사람도 관계없는 사람 모두에게 권하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케팅 (업그레이드 특별판 리커버 에디션, 양장) - ‘더 행복한 삶’을 위한 작은 습관
오두환 지음 / 대한출판사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가 소개가 한 페이지 통째로 채워진 책은 처음이다. 으리으리한 약력을 보는데 나는 뭐하고 살았나 싶고, 저자도 인생 참 피곤하게 사는구나 싶었다. 부럽기도 하면서 한편 숨 가쁜 삶이 피하고 싶기도 해서 양가감정이 들었다. 130억 자산이면 이리 살아도 안녕한가 싶을 정도?


저자 오두환은 광고쟁이에 광고학 관련 교수, 기업가, 자문 위원, 강연자로 다양한 직군에서 왕성하게 활동한다. <광고의 8원칙> 등 10권의 출간 작가로 인생 멘토로 이런저런 명언도 날리면서 자신이 설계한 오케팅을 전파하고 있다.


이름만 들으면 알만한 사람들의 추천사가 줄을 잇는다. 그래서 그런가? 프롤로그가 마냥 허황되거나 뜬구름 잡는 자기계발서가 아닐 것 같은 느낌이 든다. 그냥 읽었다면 얼마간은 그런 생각이 들었을지도 모른다.


저자는 "나는 성공하고 싶은가?" 아니면 "부자가 되고 싶은가?"를 질문하게 한다. 그러면서 그러기 위해 오케팅이 필요하며 '자신을 포장하는 것(마케팅)', '자신을 알리는 것(광고)'이라고 강조한다. 상위 5%로 만들어 준다는 오케팅의 비밀이 궁금하다.


31쪽, 개인과 사업은 뗄 수 없는 관계다


소름 돋는데, 내가 요즘 자주 빠져드는 생각을 읽기라도 한 것처럼 적어 놓았다. 수십 년 동안 이런저런 일을 해왔지만 요즘처럼 일을 하기 싫은 적이 없다.


개인적으로 직장에서 사람이 싫은 건 버텨야 한다는 입장이다. 또라이 총량의 법칙이 있으니, 어딜 가나 이상한 인간들이 존재하기 마련이고 어쩌면 내가 그 이상한 인간일지도 모르니 그건 이직의 사유가 되지 않는다.


다만 일을 신나게 하지 못하는, 말 그대로 일이 하기 싫고 일에 치인다면 다른 일을 고민해 볼만하다. 어차피 먹고살아야 해서 하는 일이라면 즐겁고 신나서 해야 하는데 요즘 나는 일이 '하기' 싫다. 그것도 너무 싫다.


쌩쌩 좀 달려 보려는데 옆에서 브레이크를 자꾸 밟는 기분이다. 하는 일마다 방지턱에 걸리는 느낌이라 신나지도 동기부여도 되지 않는다. 그냥 영혼은 집에 놓고 출퇴근만 반복하는데 저자가 말하는 주인의식을 갖기란 무리다. 나 같은 사람 천지삐까리 아닐까.


읽다가 큭하고 웃었다. 이 사람 어릴 때부터 독특하다 생각하긴 했지만, 공부하기 싫어 하는 사람이 아이들을 가르치는 선생님이 되려 했다니 뭔가 엉뚱하기도 하고 의심 비슷한 궁금증이 들었다.


88쪽, 무 스펙 사회 초년생. 대형 신문사에 합격하다


어렵게 이어온 교사의 길을 스스로 접고 대형 신문사 합격했지만 코딱지만 한 정체불명의 회사를 선택하면서 메이저 신문사를 포기하는 과정은 말도 안 되는 전설 같다.


보잘것없는 스펙으로 대형 신문사의 서류 전형과 면접 대비에 대한 내용은 즉흥적이었는지 아니면 철저히 분석하고 파악한 전략이었는지 궁금하다. 나중에 돌이켜보니 자신도 모르게 그랬던 건 아니었을까? 아무튼 약간의 MSG가 뿌려진 건 아닌지.


"하고 싶지 않다면 억지로 하지 마라. 하고 싶은 것만 해도 할 게 너무 많다." 96쪽


이 부분에서 칠흑같이 어두운 밤 수많은 별빛으로 수놓듯 뒤통수를 후려 맞은 듯했다. '하고 싶은 게 많으면 하기 싫은 일은 하지 말'라는 그의 조언에 현타가 왔다. 여전히 내가 뭘 좋아하는지, 뭘 잘하는지 자신 있게 꼽지 못해 가슴 한쪽으로 휑한 바람이 지난다.


"회사를 운영하는 과정에서 직원들을 설득하지 않고 오로지 명령으로만 움직이는 경우가 있다. 이는 매우 잘못된 행동이다. 직원의 의견이 더 좋은 경우가 많다." 133쪽, 반지하 원룸 세입자. 건물주가 되다


딱히 리더의 조건이나 리더십이란 제목을 내걸진 않았지만 설득의 과정을 보면 그런 리더의 품격을 제시해 놓았다. 나와 직원들이 자주 부딪히는 벽을 보는 듯하다. 리더와 조직원 사이에 벽이 있으면 그건 통곡의 벽일 공산이 크다.


어떤 일에서건 '다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착각'이라는 지적을 곱씹는다. 간혹 근자감이 불쑥 튀어 오르는 일들이 있는데 그럴 때 이 말을 떠올려야겠다. 아는 것과 행동하는 것은 분명 다를 테니. 나는 태생적으로 끈기는 부족하지만 추진력 하나는 끝판왕이었는데 이놈의 사회복지를 하면서 눈 씻고 찾아야 하는 게 돼버렸다.


202쪽, 보물선 항해_오케팅 6편 15계


5장과 6장은 6편 15계로 만들어진 오케팅, 오케이(OK)와 마케팅(Maketting)의 조화는 어떤 의미인지 자세하고 쉽게 이해할 수 있게 정리해 놓았다.


자기계발서지만 통필사를 하면 새롭게 얻어지는 게 있겠다. 흙수저로 몇 년 새 130억 자산가가 된 사람이 어디 흔하겠는가. 저자의 인생사도 대단하지만 어찌 보면 그를 살아남게 만든 다양한 생각들과 철학이 더 인상적이었다.


물론 '나를 따르라'라는 식이 자기계발서가 아님은 부인할 수 없다. 그럼에도 막연한 메시지가 아닌 실생활에서 마주하는 지점이 곳곳에서 지뢰처럼 터져 마음이 동요됐다. 세상에는 다양한 사람들이 있고 그 사람들이 저마다의 생계형 마케팅을 전술처럼 사용하고 있겠다는 깨달음이랄까.


또 그와 별개로 의식은 하되 어떤 이유로든 실행력이 부족한 나 같은 사람들은 범접하기 어려운 능력치라거나 살짝 뜬구름 잡는 소리로 여기면서 흐지부지 끝낼지도 모르겠다.


개인적으로 그의 이야기에 홀려 <꿈찾사> 카페를 방문했다. 특히 '너무 좋은 기회라서 공유한다'라는 공지 사항의 사회복지사 모집요강은 사회복지사인 내 입장에서는 좀 황당하고 실망스러운 공지였다.


사회복지사는 현장에 있는 사람이라면 대다수는 사회복지사가 비전 있는 직종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특히 이번 정부처럼 복지 예산을 대폭 줄인 시점에 경기까지 좋지 않을 때는 위기의식까지 느낀다. 사회복지는 정책이나 경기를 많이 타는 직종이다. 그래서 사회복지사끼리 결혼하면 중위소득 이하고 차상위가 되는 게 웃프지만 현실이다.


게다가 공지에는 공부 안 하고 대충 졸업한다고 했던데 천만에 말씀 만만의 콩떡이다. 사회복지사 2급은 학점 이수와 실습만 거치면 자격증 취득이 가능하다는 말은 맞다.


한데 2급 자격증은 취업과는 별개다. 현장에 진입하려면 1급은 필수다. 생각해 보라. 일반 4년제 대학을 포함한 전문대학, 사이버 대학, 학점은행까지 한 해에 쏟아지는 2급을 가진 사회복지사가 얼마나 많겠는가. 1급을 가진 사람도 취업은 하늘의 별따기다. 1급 시험? 물론 아주 어렵다. 공부 빡세게 해야 한다.


이렇게 어려운 사회복지의 길을 별것 아닌 것처럼 해놓다니 현장에 있는 나로서는 기분 별로다. 이게 오케팅? 저자가 추구하는 오케팅과는 맞지 않는 마케팅 아닐까 싶다.


그럼에도 이 책은 어쩌면 마케팅을 전문가의 영역이나 거창한 것으로 포장해 온 인식을 확 바꿔 놓은 계기가 됐다. 심지어 윗사람에게 잘 보이려고 알랑방구 끼는 동료의 천박한 처세술이 오케팅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까지 들 정도다. 저자가 정의하는 "생계형 마케팅"의 바이블이 아닐까 싶다.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읽고 솔직하게 쓴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케팅 (업그레이드 특별판 리커버 에디션, 양장) - ‘더 행복한 삶’을 위한 작은 습관
오두환 지음 / 대한출판사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생계형 마케팅"의 바이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매일 웹소설 쓰기 - 단계별로 따라가는 웹소설 맞춤 수업 Daily Series 17
김남영 지음 / 더디퍼런스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웹툰도 웹소설도 그다지 관심이 있진 않았다. 딱히 이유라고 할만한 건 없지만 핑계라면 노안이랄까.


컴퓨터를 좀 보다 보면 눈이 금세 시려서 별로다. 종이책이 좋다. 냄새도 넘길 때 사각거리는 소리도 맛있고.


그런데 얼마 전 푹 빠졌던 드라마 <내 남편과 결혼해 줘>가 원작이 웹소설이라는 걸 알고 나니 생각이 달라졌다.


작가 김남영은 <매일 세 줄 글쓰기>를 썼고, 열두 살에 시작한 웹소설 쓰기를 시작으로 16년 동안 이런저런 글을 쓰고 산다.




목차가 남다르다. 웹소설을 모르니 신선한 건지, 사용 설명서 같은 목차가 기대가 됐다. 키워드 잡고 로그라인 쓰는 법, 글자 수로 정해지는 분량 등 본격적인 쓰기에 돌입하면서 직접 써 볼 공간도 마련했다. 거기에 진지모드를 장착한 <선배의 Tip> 코너도 놓치면 손해다.


84쪽, 스토리 잡고 가자!


읽다 보면 '지름길은 없다. 많이 읽고 느끼고 분석해라'가 골자인 다소 뻔한 조언이라고 느낄 수 있겠다. 하지만 웹소설의 각 구조적 포인트에 작가 찐 경험이 녹아든 고농도 조언은 빨리 써보고 싶다는 욕망이 불끈한다.


3줄이라고?! 글쓰기에서 단문이 중요하다는 이야기는 많이 들어서 알지만, 세 줄을 넘기지 않아야 가독성이 좋다는 말에 뜨악했다.


웹소설은 아니지만 서평이나 칼럼 등 이런저런 글을 내키는 대로 써왔는데 이렇게 쓴 글들은 가독성의 문제로  독자에게 읽히지 않는다라는 조언에 정신이 번쩍 났다. 내 글의 조회수가 그래서 많지 않았나 보다.


128쪽, 절단신공은 이렇게!


여러 글쓰기에 대한 조언들은 대부분 이해하기 어렵지 않지만 그래도 살짝 아쉬운 부분도 있는데 그런 부분은 적절한 예를 들어 한방에 해결한다. 그래서 쉽게 읽을 수 있는 게 매력적이다. 말 그대로 가독성 짱이다.


"웹소설 독자가 원하는 글이란, 빠르고 간결하고 직관적이고 언제 어디서 읽어도 한눈에 들어오는 재미있는 글이다." 140쪽, 웹소설만의 특징을 기억하라


이 책은 클리셰를 시작으로 읽고 쓰고 마무리까지, 웹소설의 모든 것을 담은 듯하다. 가이드보단 교과서에 가깝다. 거기에 시장분석, 전략, 출간뿐만 아니라 웹시장에서 살아남는 노하우에 이르기까지 작가 데뷔에 필요한 모든 게 담겼다.


누구든 써보겠다고 하면 쓰라고 하겠지만 할 거면 제대로 해라, 라며 현타작렬하는 진심 담아 충고한다. 단계별 일타 강사 같은 느낌으로 차근차근 레벨 치를 올려 준다. 찬찬히 준비한 후 웹소설 작가로 뛰어들어도 좋겠다.




YES24 리뷰어클럽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매일 웹소설 쓰기 - 단계별로 따라가는 웹소설 맞춤 수업 Daily Series 17
김남영 지음 / 더디퍼런스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단계별 일타 강사 같은 느낌으로 차근차근 레벨 치를 올려 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