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힐링이 필요할 때 수필 한 편
오덕렬 지음 / 풍백미디어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제까지 내가 읽어온 수필은 읽기에 부담이 없었다. 길이도 짧고 특별히 어렵거나 하지 않았다. 그런데 <힐링이 필요할 때 수필 한 편>은 첫 장부터 어렵다. 낯선 한자어와 향토어가 가득하기 때문이다. 특히 1부 고향, 고향은 어머니이다가 가장 그렇다. 어느 어머니나 자식을 위해 헌신하듯 저자의 어머니도 헌신의 삶을 살았다. 그래서 고향을 생각하면 당연하게 어머니가 떠오른다. 어머니와 고향에서 들은 향토어와 한자어가 당연히 많이 등장할 수밖에 없다.

 

향토어는 우리가 태어나서 어버이의 품과 고향에서 배운 말들이다. 인간의 혼과 혼이 오가며 자연에서 배운 말이다. 따라서 향토어가 사라지고 우리말이 성장하지 못한다면 내적 대화인 사유는 빈곤해지고 말 것이다(p. 268).’라고 생각하는 저자의 생각 때문에 향토어가 더 많이 쓰이기도 했다. 저자의 이 말에 공감한다. 제목이나 작가는 기억나지 않지만 몇 년 전 소수민족의 언어가 사라져 가는 것에 관해 쓴 단편소설을 읽은 적이 있었다. 우리의 향토어도 사용하지 않으면 소수민족의 언어처럼 소멸해 버리고 그렇게 되면 저자의 의견처럼 사유가 빈곤을 겪을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이 책이 어려운 또 하나의 이유는 수필에 대한 저자의 관점 때문이다. 4부 말과 생각, 수필을 말하다에서 저자는 수필의 탄생으로부터 시작해서 오늘날 수필의 의미까지를 살펴본다. 4부는 내용이 어렵다. 다행히 2부 삶의 지혜와 3부 봄, 그 새로운 시작은 1부와 4부에 비하면 훨씬 읽기 수월한 편이다.

힐링이 필요할 때 저자의 권고처럼 한 장씩 읽어나가며 곱씹어보면 저자의 생각 여행에 동참할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일주일의 하루는 생각하는 날로 따로 분리하고 나머지 6일 동안은 실행을 한다.
실행하는 동안 일희일비 하지 않고 직장인처럼 묵묵히 일하다보면 효율적인 일처리가 가능해진다.

그동안 생각을 깊게 하지 않았던 것 같다. 작가의 말처럼 1주일의 계획을 세우고 나머지 6일은 힘차게 달려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맥이든 비즈니스 파트너든 내가 움직이지 않고 가만히 있는데 자동으로 생기지는 않는다.‘

네트워크 사업을 시작하며 인맥이 별로 없어 고민했었다.
다른 사람들은 사업을 잘 확장시켜 가는데 왜 나는 안 될까, 했는데 사업을 전달하면서 여러번 실패를 경험하다보니 주저 앉아 있었다.

12월에는 일단 목표한 수입을 올리고 2021년부터는 스폰서와 함께 열심히 달려볼 생각이다.

인맥도 파트너도 결국은 움직여야 만들어지는 당연한 원리를 그대로 사업에 적용해 성공시켜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