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얼굴, 사람과 역사를 기록하다 - 개정증보판
배한철 지음 / 생각정거장 / 2020년 3월
평점 :
<책을 읽기전>
개인적으로 관상에 관심이 많아서 이 책은 꼭 읽어보고 싶었다
<책의 구성>
1부. 다른 각도로 보는 초상화
내용:
오늘날 서울시장을 능가하는 권력을 지닌 한성 판윤을 지낸 인물들에 대한 이야기, 평안감사는 유혹이 끊이지 않는 자리여서 청렴한 인물이 드물었고, 음담패설집 ’고금소총’속 희화된 유명한 대학자들에 관한 이야기, 박문수는 암행어사를 한적이 없고 ‘청백리의 아이콘’인 황희는 결코 청렴하지 않았다는 등의 이야기와 인물들의 초상화가 실려 있다
2부. 임금의 얼굴어진
내용:
세도정치를 극복할 수 없었던 철종, 세조, 고려왕건, 원종, 왕가 외척들에 대한 이야기와 초상화가 실려 있다
3부. 시대와 위인을 담은 초상화
내용:
366년동안 20차례 가까이 명칭이 바뀐 충청도의 이야기, 비만 왕과 위인들, 극사실주의 화풍의 초상화, 김유신의 초상화, 원효대사에 대한 진실등에 대한 이야기와 초상화가 실려있다
4부. 조선의 아웃사이더
내용:
내시, 노론, 노비와 중인 출신 인물, 서얼, 사문난적에 대한 이야기와 초상화가 실려있다
5부. 화폭에 담긴 불멸의 여인들
내용:
명성황후, 조선 최고의 여성 가객 계섬의 이야기, 신정왕후, 논개와 더불어 2대 의기로 불리는 평양기생 계월향의 이야기와 초상화가 실려있다
6부. 얼굴 없는 위인들
내용:
전해지는 초상화가 없어 역사속의 인물묘사나 선조, 혹은 친인척의 초상화 속에서 유추해내는 등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7부. 초상화 속 숨은 역사 찾기
내용:
대제학 집안, 역사속 반란등 역사적 사실과 인물들을 초상화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있다
8부. 거장들의 숨겨진 얼굴
내용:
김홍도, 김명국, 장승업, 최북등 역사적 대화가들과 이현보, 남구만, 서포 김만중등 대문인들에 대한 이야기와 초상화가 실려있다
<책을 읽고>
초상화와 관련하여 썼다고 하니 좀 지루하지 않을까 생각하였다 그러나 목차를 보니 벌써 제목부터 흥미를 끌었다
읽을 수록 흥미로와 책장이 술술 넘어갔다
작가는 초상화와 관련하여 역사적 사실들을 설명하고 때로는 잘 못 알고 있는 역사에 대해서 알려주며 조선시대 여인들에 대한 이야기도 하면서 다방면으로 지루하지 않도록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또한 방대한 자료들과 많은 참고문헌들을 제시하며 최대한 사실적으로 알려주고자 애쓴 흔적이 고스란히 드러난다
몇가지 살펴보면,
우리가 알고 있는 암행어사 박문수는 사실 암행어사를 한 적이 없다고 한다, 또한 청렴하기로 유명한 황희는 결코 청렴하지 않았다는 사실도 새로 알았다. 음담패설집으로 유명한 ‘고금소총’에 나오는 유명위인들의 뒷담화를 보니 고금소총을 따로 읽고 싶어지기도 한다.
영화 ‘관상’을 무척 재미있게 보았는데 영화에서는 세조를 '이리상'이라 하며 매우 카리스마 있게 표현하였다. 그런데 2016년 나타난 세조의 어진 밑그림은 오히려 유순하고 앳된 인상이었다
또한 세종대왕이나 사도세자가 비만이었다는 얘기에 절로 웃음이 나왔다 그런데 생각해 보면 옛날 왕들이 비만인 것은 어찌보면 당연한지도 모르겠다
좀 아쉬웠던 것은 여인들의 초상이 별로 없다는 것이다 남녀유별이 엄격하여 왕후의 초상화를 그리는 것조차 대신들이 격론을 벌일 정도였다고 하니
안타까운 일이다
명성황후는 근대사의 인물이지만 정적들과의 정치적 갈등으로 끊임없이 생명의 위협을 받아 신분 노출을 극도로 꺼려서 제대로 된 사진이나 초상화가 없다고 한다. 때문에 현존하는 황후의 모습을 두고 진위논란이 끊이지 않는다고도 한다
우리가 알고 있는 충무공 이순신과 퇴계이황선생의 얼굴은 모두 상상속의 얼굴이다
작가는 역사속 기록과 고증을 통하여 최대한 비슷한 이미지를 유추해 본다 특히 퇴계 이황 선생의 경우는 역사 문헌의 기록을 바탕으로 숙부 이우의 초상화가 가장 닮지 않았을까 추측해보기도 한다
이렇듯 단순한 인물의 초상화지만 그 속에는 많은 역사적 사실과 시대적 배경, 문화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새삼 깨달았다
이 책을 보면서 우리나라 초상화와 외국의 초상화도 한번 비교해 보면 재미있을 것 같다는 생각도 한번 해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