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랜B는 없다 - 오로지 하나의 목표에 전념해서 인생의 성취를 이루는 법
맷 히긴스 지음, 방진이 옮김 / 교보문고(단행본)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원문 제목이 'Burn The Boat'로 굉장히 자극적으로 느꼈습니다. 한국말로 '플랜 B는 없다' 고려하면 저자는 자기 믿음이 강하고 실행력이 출중한 분이라고 판단되더군요. 회사에서 업무를 하다 보면, 초기 계획 사항에 대해 잘 안되었을 때 대안 준비는 필수적인데, 본 서적에서는 초기에 계획했던 것을 망설이지 말라는 메시지입니다. 플래 B는 스스로 실패라는 명분을 주는 것이고, 외부 상황에 대해 스스로 타협하지 말라는 것이죠. '망설임' 단어를 생각해 보면, 타인들의 영향력으로 인해 주저함을 겪었던 경험이 누구든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스스로에게 실패라는 선택지를 주지 마라"


본 서적은 세 개의 챕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물속으로 뛰어들어라

- 돌아갈 수 없다

- 배를 더 많이 만들어라

어떤가요? 각각 목차의 서브 챕터도 정신력을 불태우는 메시지입니다. 전쟁에서 '배수진'을 치고 싸우는 느낌입니다. 강한 정신력 기반으로 치열한 실행이 느껴집니다. 사실 현재 삶의 '정글 같은 삶' 아닌가 싶습니다. 약육강식, 강자 생존, 약자 도태 등 어구가 생각나네요. 본인 스스로의 삶의 주도성이 없다면 타인에게 영향을 받고 수동적인 삶을 살게 된다는 것입니다. 그럼 모... 재미없는 삶이죠. 남들이 시키는 것만 하게 되는 로봇 같은 인생 벗어나야겠습니다.


첫 번째 목차에서는 마인드 셋을 강조합니다. '직감 믿기', '타협하지 말기'. '과감하게 행동' 메시지 기반으로 사례를 많이 제시합니다. 어떤 성과를 내려면 일단 부딪혀야 한다는 것입니다. 물론 전제는 자기가 생각한 것에 대한 믿음임입니다. 맞는 말이지만, 현실을 비춰본다면 약간은 이상적일 수도 있습니다. 예로 직장을 다닌다면, 상위자, 이해당사자 등 고려하여 본인이 계획했던 것이 수정되거나 최악의 경우는 실패로 규정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다반사이죠.

성공을 했을 때는 문제가 없으나, 실패를 하였을 때 어떤 태도를 가져야 할지 본책에서는 노하우를 제안합니다. 본인 주도 기반의 마인드 셋 기반, 성장 지향적인 마음가짐입니다, 스스로 자책하고 부정적인 생각을 가질 필요가 없다는 것이죠. 공감되지 않나요?

- 나는 실패했다

- 그러나 나는 실패자가 아니다

- 나는 실패가 내게 어떤 교훈을 전하고자 했는지 발견할 것이다

- 그리고 다음번에는 승리를 할 것이다

책에서 제시한 메신저도 공유드려봅니다.

항상 리마인드를 하고 삶에 반영해 나가면 나중에 큰 성장을 하게 될 것임을 확신해 봅니다.

"실패에 지적 호기심을 가지고 접근해야 한다. 무엇이, 왜 잘 못되었는지를 파악하고 다음에는 어떻게 하면 더 나은 결과를 낼 수 있을지 성찰해야 한다. 실패가 당신의 정체성을 침범하게 내버려둬선 안 된다."



두 번째 목차는 앞서 언급한 '배수진'으로 요약됩니다. 상세 목차도 '불안을 최적화', '위기 받아들이기', '앞길 막는 거 깨기'이니, 이를 방증합니다. '어려움은 직면하고 피하지 말고, 해결책을 강구하자.' 역시 살아가면서 나를 주인공화하기 위한 태도입니다.

'위기가 오면 온전히 받아들여라' 메시지... 처번째 목차에서 말씀드렸던 실패에 대한 마음가짐과 연계해서 생각해 보면 되겠습니다. 책에서는 911테러에 대해 대학생들의 반응을 언급하였는데[부정적인 정서를 지녔던 학생들이 긍정적인 정서를 유지하려고 노력한 학생들에 비해 오래 도로 힘든 시간을 보냈다는 사실], 이를 보면 긍정적인 사고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그와 더불어서 평소에도 위기 상황에 대한 대처하는 연습도 제시합니다. 정말로 중요한 것에 집중하는 것인데[위기 상황은 모든 것을 다할 수 없으니], 이렇게 되면 선택과 집중 측면으로 어려움을 풀어 나갈 수 있는 환경이 구축될 것이라고 봅니다.

생각의 관점을 긍정적으로 전환하는 것이죠.

".. 위기를 기회로 보면 실제로도 그 위기가 기회가 될 수 있다. 거의 모든 곤란한 상황은 단순히 '해야만 한다'를 '할 수 있다'로 대체해도 그 상황을 다르게 바라볼 수 있게 된다."



마지막 목차에서는 '배를 더 많이 만들어라'입니다.

이미 성공한 것에 집착하지 않고, 더 성장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야 한다는 메시지이죠. 성장을 위해 먼저 무엇을 해야 할까?라는 질문을 할 수 있습니다.

세 번째 목차에서는 다양한 메시지가 제시하고 있는데, 그중에 중요한 것은 '어제 내가 할 수 없었던 일 중에 오늘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인가?' 같습니다. 성장은 꾸준함이 요구되니까요. 'Better than yesterday'으로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서적에서는 NFL 백업 쿼터백 인원 사례를 들었습니다. 미식축구를 뛰어넘는 다른 뭔가를 해내는 모습을 그렸다고 합니다. 현재 하고 있는 영역에서 문제는 업는 상황에서, 다른 영역의 잠재력[재능]을 발견한 것이죠. 저는 이런 부분이 삶의 포트폴리오 전략이라고 봅니다. 삶의 유동적이라, 오직 한 우울만 파는 것은 성장보다는 안주가 아닐지? 더욱이 삶의 만족도 측면에서도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닐지요?

아래는 서적에서 제안한 또 다른 목표화하는 가이드입니다. as-is 와 to-be를 그려보고, 현시점으로 보이는 갭에 대해 포커싱하고, 실행방안을 강구하여 나만의 KSF를 만들어 또 다른 성공을 추구한다는 것이죠.

- 어떻게 하면 꿈을 실현할 수 있을까?

- 지금 이 순간 여기에서 가고 싶은 지점까지 가려면 어떤 지원이 필요한가?

- 앞서 얻은 수익을 어떻게 회수해야 다음 프로젝트에서 성공할 최고의 기회를 얻을 수 있을까?


이번 책은 무엇인가를 하기 위한 '동기부여'측면으로 사례 기반으로 공감을 얻게 합니다. 초기에 계획했던 게 잘 안되면 대안[플랜B]고려햐야겠지만, 일단은 초기에 생각한 안을 자신을 믿고 최대한 실행해보는 것도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자존감 측면도 영향을 줄 수 있으니까요.

추가로 '어려움'에 대해, 평소 이를 대하는 마인드셋도 갖추면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일 잘하는 마케터는 스토리를 만든다 - 고객을 내 편으로 만드는 22가지 스토리텔링 법칙
박희선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토리텔링에 대한 Case Study 통한 습득 및 방향성이 돋보이는 서적 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일 잘하는 마케터는 스토리를 만든다 - 고객을 내 편으로 만드는 22가지 스토리텔링 법칙
박희선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객을 내 편으로 만드는 스토리텔링 법칙

 

누군가를 설득하여 나의 생각(안)대로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상대방을 감동하게 하는 메시지.. 울림이 있어야 합니다. 지피지기 백전백승이라는 말도 있듯이, 상대방에 대해 먼저 잘 파악하는 게 중요하고 이를 근거로 어떻게 설득을 할지 나만의 이야기를 펼쳐 보이는 것입니다.

 

말로 이렇게 하면 쉬워 보입니다. 상대방을 움직이게 하는 스토리텔링은 사실상 치열한 고민 없이는 임팩트 얻기가 쉽지 않습니다. 어떤 태도 및 관점으로 스토리텔링을 해야 할지....?''일 잘하는 마케터는 스토리를 만든다' 서적은 나만의 이야기를 어떻게 전개를 해야 할지를 저자 경험 및 노하우를 통해 알려줍니다. 특히 실제 사례 기반으로 스토리텔링 전략을 언급하여, 실무 시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벤치마킹을 할 수 있으니까요.

 

[책의 목차]

- 성공적인 스토리텔링의 조건

- 스토리텔링 전략

  . 첫 번째, 연결 지어 스토리텔링 하기

  . 두 번째, 차별화 요소 찾아내어 새롭게 하기

  . 세 번째, 고객 끌어들이기

- 성공적인 비즈니스를 위한 스토리텔링 수립 A to Z

 


 세바시 보셨나요?

 

한 강연자가 제한된 시간(약 20분 이내))에 본인 스리를 들려주면서 청중들과 교감하는 한국판 TED입니다. 저는 해당 동영상을 보면서 스토리텔링이 무엇인지 파악하게 됩니다.

 

관심 유도, 메시지 전달/흐름, (청중들 대상) 각인 및 강조로 느낍니다. 특히 노련한 스피커들은 청중들과 Interactive 한 강연(청중 참여 유도 : ex. 퀴즈 등) 통해 본인이 말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확실하게 알게 합니다.

 

저는 위에 말씀드린 3가지 측면에 대해 책과 연계해서 공유해 보고자 합니다.

 

먼저, 관심 유도입니다. 관심을 끌기 위해서는 스토리텔링 위한 요구/조건에 대해 사전에 정리가 필요합니다. 서적에서는 NATURAL이라는 직관적인 두음을 사용하였습니다.

 

-- New idea

-- Actually

-- Trivia

-- Unusulness

-- Relationship

-- Alternativeness

-- Life




7개 요소 모두 갖추는 게 맞지만, 상황에 따라 선택과 집중할 필요도 있을 것으로 봅니다. 청중 및 내용에 따라 7개 항목 기반, 조합으로 대응하면 될 것으로 봅니다. 특히 Life 기반한 삶의 공통분모를 기반으로 접근이 일반적으로 보이고요. 스토리텔링은 나를 부각시키고 Add Value 있는 상황을 만들어 낸다는 것을 인지를 해야겠습니다.



두 번째로, 스토리텔링을 어떻게 할지(How To) 측면입니다. 사람마다 생각하는 것은 다르니, Flexible 하게 전개하는 게 중요하다고 봅니다. 책에서는 연결 짖기, 차별화 요소 찾아내기, 고객 끌어들이기 세 가지로 구분을 하였습니다. 역시 공통적으로 고객이 해당 스토리텔링으로 얻는 것을 확실히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 연결 지어 스토리텔링 하기 중에 '감성적 이미지 입히기 - 위로를 전하는 박카스'로 선택해 봅니다. 자양강장제라는 성분에 대해 정부의 부정적인 인식을 받았지만, 여러 경쟁사 대비 타인에 대한 위로/격려 측면의 이야기를 통해 큰 히트를 친 사례입니다. 누군가에게 박카스를 건네면 아직도 '힘내'라는 메시지로 인식이 되죠. 저는 포스트잇에 'Cheer Up, You can Do it...' 메시지를 받아본 기억이 납니다. 한 번의 스토리텔링으로 인식된 각인이라고 할까요?

 

- 차별화 요소 찾아내어 새롭게 하기는 기발한 발상으로 귀결이 됩니다. 신세계 SSG를 볼까요? 저는 처음에 SSG를 접했을 대, 머지? 쓱? 그런대 광고를 보니, 배송을 쓱 한다는 의미로 이해를 하니 기발한 발상으로 생각하였습니다. 명칭도 Shin She Gae?로 이니셜도 완벽하게 어라인이 되죠. 배송이 쓱 된다..라고 이해하니 사용자들에게 User Friendly 한 브랜드 명칭으로 인식을 줍니다.

 

- 고객 끌어내기는 철저한 고객 요구사항 분석이 필요합니다. 고객이 가지고 있는 Pain Point가 무엇이고, 어떤 결과를 가치있게 생각하는지? 등입니다. 특히 고객의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는 안이어야 고객이 지갑을 열게 됩니다. 'Just Do It' 나이키의 슬로건입니다. 마이클 조던으로 상징이 되는 '에어 조던'시리즈 제품이 중요한데, 책 속에서는 '마이클 조던이 신는 운동화'에서 '신으면 누구나 마이클 조던이 될 수 있는 운동화'로 메시지화합니다. 스타 중심에서 마케팅에서 고객중심으로 바뀌었다는 것이죠. 인사이트를 발견하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성공적인 비즈니스를 위한 스토리텔링 수립 방법론입니다. 책에서는 아래와 같이 가이드를 알려 줍니다. 한 번 더 정리를 해주는 섹션으로 이해가 됩니다. 상품전략화를 하는 프로세스로도 볼 수 있겠습니다.  

 - 스토리의 재료 뽑아내기

- 타깃 고객 설정하기

- 전달 메시지와 키워드 생성하기

- 새롭고 감성적인 스토리 엮어내기

- 가장 효과적인 전달 방법 찾아내고 넓히기

- 피드백을 받아 입지 굳히기

 

Inside-out 전략 있습니다. 애플이 아이폰을 처음 시장에 내 놓을때, 시장 흐름보다는 스티브 잡스의 철학이 철저하고 반영되었다고 알고 있습니다. (제품에 대한 확신) 흔하지 않은 사례라고 볼 수 있습니다. 보수적인 집단에서는 밀고 나가기는 어렵죠. 저는 Ouside-in 전략도 어느 정도는 필요하다고 봅니다. 책에서 제시하는 '피드백을 받아 입지 굳히기'가 되겠습니다. 고객 Pain Point를 발굴/개선하여 Compelling 한 제품/서비스를 만들어 내는 것이겠지요.



 

다양한 Case Study 기반 스토리텔링을 제시해 주는 서적으로 생각합니다. 나의 메[시지 기반으로 누군가를 설득을 하고자 할 때, 본책에서 제시한 전략을 참조하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요약을 하면,

- 고객의 숨은 니즈를 이해를 하고,

- 공감 가능한  메시지 및 스토리 전략 수립 통해

  (연결 짖기, 차별화 찾기, 고객 끌어들이기)

- 고객 Lock-in 하는 것입니다.

  (고객 피드백 반영 통한 선순환 구조 수립)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항복론 : 성공을 위한 내려놓기
다카모리 유키 지음, 원선미 옮김 / 힘찬북스(HCbooks)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목표 달성을 위해 가져야할 태도를 잘 알려주는 책 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항복론 : 성공을 위한 내려놓기
다카모리 유키 지음, 원선미 옮김 / 힘찬북스(HCbooks)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불필요한 것 버리기, 현재 모습 직시하기

 


모든 일을 할 때는 항상 '내려놓기' 마인드는 중요합니다. 항상 잘 되는 일이 없기 때문입니다. 무엇인가 잘 풀리지 않을 때, 좋은 성과만 바란다고 하면 마음이 피폐해 지게 마련입니다. 어느 정도는 내려놓는 연습을 해야지만, 마음의 상처를 받지 않습니다. 현재의 내가 처한 상황을 직시하면서 나름의 최선의 방법을 기반으로 정중동 하는 태도가 삼을 살아가는데 지혜라고 생각해 봅니다. 다 중요한 것은 블 필요한 것은 과감히 버리라는 것도 첨언 드리고 싶습니다.

 

 

이번에 공유드릴 서적은 '성공을 위한 내려놓기'로 우리가 흔하게 들어본 것입니다. 다만 중요하게 고려 해야할 사항은 우리가 어느 시점에 내려놓기를 해야할지 입니다. 행동에 옮기지 못하고 머릿속에서만 생각하고 있는 경우, 미 완료로 계속 존재하는 경우가 마음을 약하게 만드는 중요 요인이라고 봅니다. 이러한 마음을 갈아먹는 것들에 대해 항복(降伏)을 해야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항복해야 할 상태가 되지 않도록 긍정적인 마인드를 가짐으로 해서 미연방지 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즐거운 것처럼 행동하다 보면 언젠가 정말로 즐거워한다. 무언가에 열중하는 데는 이 방법밖에 없다. 일이든 회의든 '너무 재미있다.'라는 태도로 던 벼들면 어느새 진짜 열중하고 있는 자신을 알아차리게 된다. - 데일 카네기

 

 

책에서 제시하는 목차는 아래와 같은데, 실행 / 본질 파악 / 마인드 셋 제고 등 3가지 측면으로 책 내용 및 저의 생각을 공유 드릴려고 합니다. 회사 업무적인 관점에서 말씀드리면, 주어진 일을 하기 위해서는 빠른 실행도 중요할. 그뿐만 아니라 문제 해결을 위한 실마리를 찾아야 하고 긍정적인 마음가짐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자기만의 관점/스타일로 무엇인가를 제고하기 위한 마음가짐이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지금 당장 한다

- 생각하기 않고 한다

- 구체적으로 한다

- 가치의 본질을 깨닫는다

- 말을 바꾼다

- 상대방이 이기게 한다

- 자신을 움직이게 한다

- 자신의 '존재 방식'을 정한다

- 자신의 '상태'를 높인다

 


먼저, 실행 측면입니다. 납기 내에 해야 할 사항인데, 계속 지연이 되는 경우에는 마음이 편하지 않습니다. 매일 해야 할 사항은 많은데, 답보상태가 지속되면 정말 필요한 것들을 하지 못하는 상황이 연출됩니다. 바로 해결하려는 습관을 가져야 합니다. 이럴 때 중요한 것은 우선순위화 및 선택과 집중이겠습니다. 사례로 당연한 말이지만, 특정 환경 및 이해당사자 등 영향으로 불필요한 업무를 하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전에 쌓아온 관계성(relationship)으로 하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로 인한 임팩트(pros and cons) 명확화가 필요합니다. loss가 되는 것은 바로 내려놓는 습관을 가져야겠습니다. 다하면 좋겠으나, 우리는 제한적인 시간과 역량을 가졌으니까요.

 

 


두 번째로는 본질 파악입니다. 이 부분도 실행과 연관성이 있는 영역입니다. 회사에서도 문제 및 이슈가 발생했을 때 근본적인 이유(root cause)에 먼저 검토합니다. 본질 파악이 안되고 주변 현상에만 맴돌게 되면 불필요한 노력/시간이 투입이 됩니다. 항상 So What? Why so? 기반의 사고가 요구됩니다. 문제 해결에 가치 있고 의미 있는 발제에 집중하는 태도입니다. 회사 이외 인생 시는 데 있어서도 반드시 유념해야 할 것이라고 봅니다. 항상 why? 측면으로 모든 사안을 본다면, 결국 본질에 접근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래는 고 이건희 회장님의 소크라테스식 질문법입니다. 참고가 될 수 있네요

 

1. 이 일은 어떻게 생겨났는가?

2. 이 일의 뿌리는 무엇인가?

3. 이 일의 핵심기술은 무엇인가?

4. 이 일의 핵심기술은 어디로 가고 있는가?

5. 이 일의 경쟁력의 핵심은 무엇인가?

6. 이 일의 고객은 누구인가?

7. 고객의 기호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표면상의 문제에만 집중하면 원하는 답은 도출되기가 어렵습니다.

 

The Right Answer to the wrong problem is very difficult to fix 

- Peter Drucker (틀린 문제에 대한 정답은 고치기가 매우 어렵다)

 


마지막으로 마인드 셋 제고입니다. 책 목차에서 "자신의 '존재 방식'을 정하고" :자신의 '상태'를 높인다" 연계가 됩니다. 성공 방식은 본인이 스스로 정해야 합니다. 지속적으로 성장 마인드 셋을 가지고 목표 달성 위한 노력을 하되 항상 자기 존재가 무엇인지를 수시로 반추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일전에 김미경 원장님이 소개한 다이어리 쓰는 방법인 'B.O.D (Being Organizing Doing)' 기억납니다. Being가 해당합니다. 'My Vision Planning'측면으로 성장하는 나의 모습을 그리면서 현재보다 더 나은 나를 위해 노력하는 것입니다. 결국 내려놓기를 위한 본질적인 목적이 '나를 위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혹여 이런 결정을 해도 나에게 어떤 피해/두려움 등이 있어도, 나의 삶의 방식으로 개진해 나간다는 것입니다. 바라는 모습을 그리며 현실에서 꾸준하게 노력하는 모습이 보람 있는 삶 아닐지요? 책에 언급된 아래 워딩은 계속 음미할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스스로가 잠재적, 그리고 본질적으로 바라고 있는 방향을 따라 무의식적으로 행동은 일어난다. 그리고 그 행동이 결과를 불러일으킨다. 다른 말로 하면, 지금 눈앞에서 일어나고 있는 결과는 모두 자신이 바랐던 데로 나타난 결과라는 말이다" 

 

 

성공을 위해서는 불필요한 것은 버리고, 반드시 해야 할 본질적인 것이 선택/집중을 하며, 나를 중심으로 하는 성장 마인드 셋 지속이 필요함을 이번 책을 통해 다시 한번 깨닫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개인적으로도 도움이 안 되는 불필요한 것에 왜 집중을 할지? 회고를 해 봅니다. 불필요한 물리적/감정적 낭비는 없애고 자신을 중심으로 하는 보람된 인생을 살아야 하니까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무상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