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와 함께 일할 것인가 - 재능·노력·운보다 강력한 ‘사람’의 힘
댄 설리번.벤저민 하디 지음, 김미정 옮김 / 비즈니스북스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회사에서 일을 할때는 직급에 따라 마음가짐이 다른 듯 하다. 주니어 시절에는 맡은 일에 대해 혼자 힘으로 끝까지 완수하여 성과를 달성하는 노력을 많이하고, 시너어로 바뀌게 되면 혼자 힘으로 버거운 일이 많다보니 주변인들의 도움을 통한 성과를 내는 것 이겠다. 본 서적은 일을 함에 있어서 중장기적으로 가져야할 필요충분 조건에 대해 말해준다. 일을 하는데 있어 같이 일하는 사람과의 관계성 기반으로 최적화된 일에 대한 아웃풋 산출 이겠다.



목표달성하기 위해 업무에 올인하는 자세는 회사입장에서는 환영할만 일이지만 쉽게 번아웃이 되기 쉽다. 개인적 입장에서는 장기적으로는 바람직하지 않다. 회사일도 Core 업무 영역은 혼자보다는 Follow-ship을 통해 달성하는게 가장 효율적인 방향이라고 생각한다. 다만 일을 맡긴 사람에 대한 신뢰성은 전제조건 이겠다.



회사업무 하면서 나와 맞는 협력자를 만나는 것인 참으로 행운이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끊임없는 토론과 협의를 통해 수렴하는 과정을 협력자와 한다면 아웃풋은 긍정적이다. 다만 협력자와의 공고한 Relationship을 유지하려면 역지사지 기반의 상호존중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협력자에게 empowerment을 통한 (다른 Core업무에 집중할수 있는) 시간 가지는 것도 인생에 있어서 중요한 과제라고 생각된다.


협력자와의 Relationship은 미래 투자 관점으로도 볼 수 있겠다. 어떻게 성과를 달성 할까? 보다는 협력자와 협의를 통해 어떻게 성과를 달성하는지에 생각을 하면 마음도 편해지고 좀더 본질적인 성과를 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 모든일은 집단지성으로 접근방식으로 해야 함을 다시한번 Remind을 하게 된다.


협력자에 대한 역지사지도 중요하지만, 나와 비전이 맞지 않은 사람들과의 거리두기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런 태도를 기반으로 마음에 맞지 않은 사람들 대상으로 Controllability를 가질수 있다. 소수의 인원들의 영향으로 미래에 대한 비전(목표) 달성에 애로사항이 생긴다는 것은 지양해야 할 것이다.



혼자서 이루는 일은 제한적이라는 메시지를 준다. 자기중심적인 태도는 협소해지고 편협해 지기 쉽다. 주변 사람들과 협업/공조를 통한 목표달성은 상호 윈-윈 측면에서 긍정적인 기운을 얻을 수 있다. 회사생활을 해도 혼자서 이루는 것보다는 팀웍을 통해 성과도출은 지속성이 매우 컸던 기억이 난다.


함께 일하는 사람들에 대한 Relationship은 중요하다. 회사에서 하이퍼포머는 혼자보다는 주변인원들과 협업/신뢰 기반으로 최적의 아웃풋을 도출한다. 혼자 일하는 것 vs 협력자와 일하는 것에 대한 pros and cons에 대해 깊이 인지한듯 싶다. 협력자와 일을 통해 나만의 시간의 자유를 가져다 주는 태도는 항상 지녀야 겠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데일 카네기 인간관계론
데일 카네기 지음, 최미르 옮김 / 가로책길 / 2022년 2월
평점 :
품절


행복하고 즐겁게 살아가는 방법에 대해 잘 알려주는 책입니다. 특히 고민/걱정을 덜어주는 방법에 대해 여러 사례 기반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데일 카네기 인간관계론
데일 카네기 지음, 최미르 옮김 / 가로책길 / 2022년 2월
평점 :
품절


데일 카네기 자기관리론

데일 카네기 저/최미르 역
가로책길 | 2022년 04월

 


 

 

삶을 살아가는데 있어서 '걱정' 이라는 키워드는 피할 수 없는 것 같다. 회사에서 일을 해도 좋은 결과를 내야 하고, 집안에서도 가족들과 좋은 관계 기반으로 즐겁게 생활해야 한다는 강박관념이 모든 이들이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데일 카네가 자기관리론은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인생을 살아가는데 있어서 어떤 마인드셋을 가져야 하고 행동을 해야 할지 코칭&가이드 해주는 책이라고 본다. 걱정이라는 것은 실제로 100% 재현 되는게 아닌데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확대 해석을 통해 인생의 즐거움을 잊고 살아 가는 것 같다

 

걱정은 항상 생각하고 있는데, 상기와 같은 질문을 자문자답을 통해 불필요한 걱정을 사전에 방지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지나간 과거, 불특정한 미래 보다는 지금 현재를 충실히 하고 보람 있게 보내는 방법에 대해 많이 생각하는 것이 Best라고 생각된다. 카르페디엠 이라는 말이 괜히 나온게 아님을 말해주는 것 같다.


 

 

고민도 살아가는데 있어서 문제라고 생각한다. 왜 문제가 발생했는지 본질적으로 파악을 못한다면 걱정은 Snow Ball effect효과처럼 컨트롤하지 못하는 상황이 연출된다. 고민이 있다면, 먼저 고민이 왜 발생했는지 사실 확인 및 분석을 통해 해결 방안을 모색 후 실행하면 된다. 사실기반으로 걱정을 해결하는 접근 방법은 항상 상기를 시켜야할 필요가 있겠다.

 


 

평화와 행복을 부르는 태도에 대한 글귀이다. 먼저 감사를 하고 고마워하는 태도를 강조하는데, 상황에 따라서는 다르게 처신을 해야 할 것 같다. 감사하는 마음으로 생활을 해야 긍정적인 기운이 극대화 되겠지만, 본인이 처한 상황에 따라서는 나를 위한 생각도 먼저 가지는 것도 필요할 것 같다.

 

좌절에 빠진 상황인데 긍정적인 생각을 갖는다는 것은 참 어려운 것 같다. 잘 안되는 일이라도 시도를 해봄으로써 시행착오를 통해 'Lesson & Learned'를 얻을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가 된다. 사실 시도를 전혀 하지 않는 것보다는, 시행착오 과정을 통해 얻는 경험에 대한 가치는 굉장히 크다고 생각이 된다.

 

정신적인 스트레스가 견디기 어려움은 모든 이들이 알고 있다. 심리적인 문제에 대해 어떻게 해결/해소를 할 지가 모든 이들이 과제라고 생각한다. 이런 상황에서 육체적인 운동을 필수로 보인다. 긴장된 근육을 이완하기 위해서는 가벼운 스트레칭이나 걷기등이 많은 도움이 되는 것 같다. 직장생활을 하면서 업무 자체보다는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밠행하는 정신적인 스트레스가 굉장히 힘들게 한다. 운동을 통해 긍정적인 카르마를 키울 수 있도록 노력을 해야겠다.

 

'Life is Beautiful' 로베르토 베르니가 주연했던 영화가 생각난다. 즐겁게 일을 할 수 있는 사람이 최고 인 것 같다. 걱정되는 일이 있어도 항상 긍정적으로 해결하려는 마인드가 인생을 살아가면서 가져야할 자산이라고 생각한다. Fun to Work, Fun to Live, Fun to communicate with people… 인생을 즐겁게 살기위해 어떤 마은드를 가져야 할지 생각해 봐야 겠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의미 있는 대화를 나누는 방법 - 중요한 주제에 관해 이야기하는 7가지 전략
세라 로젠튤러 지음, 황선영 옮김 / 미래와사람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상대방과 대화의 본질이 무엇인지? 어떻게 대화를 해야 전략적인 목표를 달성하게 되는지는 잘 알려주는 책였습니다. 다른분께도 추천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의미 있는 대화를 나누는 방법 - 중요한 주제에 관해 이야기하는 7가지 전략
세라 로젠튤러 지음, 황선영 옮김 / 미래와사람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직장인 생활은 커뮤니케이션의 연속이다. 직장상사 및 선후배와 일로서 사적인 대화로서 보내는 시간이 많기 때문이다. 특히 업무와 관련된 중요한 대화에는 말한마디 실수로 일을 그르치는 경우가 많다. 전략적이고 효율적인 대화 스킬에 대한 방법을 잘 알아야만 결국 문제해결도 하고 사람들과 관계도 돈독해 질 수 있다. '의미 있는 대화를 나누는 방법'은 핵심 주제 관련 대화를 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가이드&코칭을 해주는 서적이다. 대화의 방법이 왜 중요한지를 보여주고 7가지 변화과정을 통해 대화의 본질/방법을 터득하게 된다. 마지막 Part 3 '노하우 모음'에는 생활에 닥치는 대화 주제 대상으로 어떻게 대할지를 전략적으로 잘 설명해 주고 있다.


 

 

 

앞서 언급한 대화의 본질 파악을 위해서는 7가지 변화를 해야 한다고 했다. 7가지 변화에 대해 내재화가 된다면 어떤 대화에도 목적 달성하고 사람들과의 관계도 유지되도록 도와준다. 개인적으로는 진정한 대화를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용기를 끌어내라'가 가장 많이 공감이 된다. 닥친 문제에 대해 노출 시키고 해결방법을 위한 건전한 대화를 하기 위한 기저가 된다고 생각한다. 이를 위해서는 예전에 Best Practice를 상기하면서 상대방에게 문제 해결을 위한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중요하다. 상대방과 Interaction 통해 진실되고 분명한 문제 정의를 해야만 궁극적인 대화의 목표가 달성되는 것이다.

 

 


 

대화하는 사람마다 생각하는바 / 개성이 있기 때문에 처음부터 원활한 대화를 쉽지 않다는 것을 미리 알아야 한다. 상대방을 존중하면서 서로 다른 의견을 절충하는 방향으로 진행이 중요하겠다. 즉 역지사지 생각하면서 대화하는 사람과 교감을 해야겠고, 다양한 의견을 생각하면서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최종 의견 도출이 필요하다. 제일 중요한 것은 '다른 사람과 교감'하기 위해 상대방의 의견을 먼저 잘 경청하는 것이다.

 


 

 

표제만 보면 선정적? 인 것으로 보이지만, 상대방과 같이하는 대화를 어떻게 하면 시너지를 내는가 이다. 대화를 주고 받는 행위는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에너지의 양과 질적인 측면의 Balancing을 잘해야만 궁극적인 대화의 목표를 달성하게 된다. 목표에 대한 공감, 해결위한 방안의 정반합의 과정이 기반이 되야 한다고 생각한다.

 

 


 

대화 후 의견 합의 이후 fup사항은 SMART해야 한다. 모호하고 분명하지 않은 activity는 지양해야 한다. 목표달성을 위한 행위는 정량적으로 측정가능해야 하며 구체적이고 현실적이며 일정이 있어야 한다. 목표가 다소 모호하여 해야할 행위가 분명하지 않을 경우는 시간이 소요될지라도 별도 소통을 통해 합의를 해야 한다. 특히 기업의 경우, 특정 KPI를 통해 매출/영업이익에 영향을 주는 경우는 반드시 목표는 SMART하게 반영이 되야한다.


 

 

 

대화를 할때 상대방과 Interaction위한 프레임을 잘 설명하고 있다. 자기만의 생각을 고집하지 않고 상대방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면서 동시에 객관적인 본인 의견 표출이 핵심이라고 생각한다. 상대방에게 자기가 이견이 있을 경우, Fact기반으로 진실되게 의견을 전달하는게 중요하다. 특히 상대방에게 원하는 것이 있을 경우, 사유와 기대효과도 언급하면서 상대방 설득이 중요하다.

 

개인적으로 Part 3 ' 노하우 모음'에서는 눈이 가는 과제는 '선택사항의 득실 따져보기' 이다. 직장생활에서 지속적으로 직면하는게 여러 대안중 하나 선택이다. Pros and Cons 기반으로 유리한 대안 선택이 되겠는데, 각각의 안이 어떤 목표에 대한 임팩트를 주는지를 판단하는 작업이겠다. 회사에서는 Top Management이 최종결정을 하지만, 최정결정을 위한 자료/근거/대안 준비는 실무자가 하는 법이니, 본인이 생각하는 최종안이 왜 그러한지를 논리적으로 설명/이해시키는 Skill도 지속 강화해야 겠다는 생각해보면서 리뷰를 마친다.

<리뷰어스 클럽 서평단으로 참여하여 제공받은 도서를 읽은 후 솔직하게 작성한 후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