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구, 집을 갖추다 - 리빙 인문학, 나만의 작은 문명
김지수 지음 / 싱긋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지수, <가구, 집을 갖추다>: 리빙 인문학, 나만의 작은 문명



단순한 가구디자인, 인테리어 책이라면 안 읽었을 텐데

부제도 <리빙 인문학, 나만의 작은 문명>인 만큼, 집안 인테리어를

인문학이랑 결합해서 설명하는 책이라 더욱 흥미롭게 다가왔다


다양한 챕터가 흥미로웠지만, 하나를 꼽으라면

<개인을 위한 침대는 없었다>

가 재미있었다


이 글을 쓰는 지금도 나는 침대에서 비척비척 일어나 있다..

나뿐 아니라 많은 사람들에게 너무나 소중한 개인적인 공간 침대는

사실 전혀 사적인 공간이 아니었다고 한다

중세시대를 보면 오늘날처럼 침실, 서재 등 특정한 목적의 방이 있는 게 아니라

단지 샹브르chamber라는 하나의 명칭만 가졌고

루이 14세 시절에는 침대가 소파 같은 접견용 가구였다고 한다

마담 퐁파두르가 salon살롱을 사교계의 공간으로 만들면서

오히려 침실이 본래 쓸모인 수면의 공간, 사적 공간으로 변모했다고 한다

그러면서 점차 서유럽의 경제적 풍요가 넘쳐나던

1880-1914년쯤 부르주아 가정에 1인 1침대가 현실화되며

현대의 주거 형태가 구축된 것이라고 한다.

우리가 프랑스 왕정에서는 '침실 생활을 다 보여줬다더라' 할 때 느끼는 수치심은

사실 침대, 침실 자체를 사생활로 여기는 우리의 사고관에서 비롯된 것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하니 흥미로웠다



----

책을 다 읽고 문득 내가 좋아하는 인테리어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고

리빙스타일, 라이프스타일 자체에 대해서도 톺아볼 수 있었다

여러모로 흥미롭고 재미있었던 책!

가구 인테리어에 관심 있는 사람에게도 추천하지만

평소 별로 관심이 없는 사람도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가벼운 인문학/역사 토막상식 같은 글이었다 :)



*교유서가 서포터즈로 책을 제공받았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