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를 보는 마음 - 우리 시대의 시인 8인에게 묻다
노지영 지음 / 교유서가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뒤를 보는 마음>은

노지영 문학평론가가 현대 시인 8인과 만나

그들의 말을 담은 인터뷰 대담집이다.



- 타오르는 시인의 초상- 이라는 제목의 서문에서 작가는

천국과 지옥의 우화를 인용한다



긴 숟가락을 갖고 죽을 떠서 자신의 입에 넣기 바빠서 허덕이는 지옥 사람들을 자신과 시에 비유하며, 자신의 신체보다 너무 크고 긴 국자는 자신을 살찌우는 데 사용되지 못했음을 얘기한다.



하지만, 어떤 시인들은 의미에 굶주린 작가에게 다가와

어마어마하게 큰 국자를 집어들어 시를 삼킬 용기를 주기도 한다

여기에 실린 8인의 시인들과의 대화가 바로 그 '너무 큰 국자'와의 만남들이라고 한다



역시 문학평론가가 쓴 책 답게 서문 하나도 문학적 표현이 가득하고 문장과 내용이 아름다워 좋았다.



8인 시인과의 대담이 모두 좋았지만

기억에 남는 인터뷰는 유일한 여성 시인인 김해자 시인과의 대담이었다



본인의 말씀에 따르면 '거리에서 시를 낭송하다 시인이라는 명함까지 달게 된' 김해자 시인은 여러 번의 이사를 거쳐 현재 산기슭에서 농사를 지으며 살고 있다고 한다.



'자기 소유의 텃밭을 민주공화국으로 만들려고 한다'는 재미있는 생각으로

'뜬금없이 머리 내민 놈들의 자리를 다 허락하는', 즉 점유를 인정하는 방식으로 이 집 저 집 예쁜 꽃들도 알아서 몇 뿌리는 자기 텃밭으로 이사 올 거라는 김해자 시인의 사고가 너무 자유롭고 재미있었다.



"너무 낭만적으로 들릴지 모르지만, 저는 이런 장면을 떠올리면서 젊은 날에 시를 쓰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시는 그런 역할을 한다고 믿으면서 현장에서 시를 낭송하곤 했습니다. 물론 세상은 예전과 달리 급속히 바뀌고 있죠. 미래가 어떻게 될지 알 수 없는 짙은 안개 속에서 길이란 것이 잘 보이지가 않는 시대입니다. 코로나 시대를 통과하면서 안개의 농도는 더 짙어지고 있고요. 압도적인 비대칭이 심화되고 있는 오늘날의 현실을 바라보는 것은 이제 두렵기까지 합니다. 하지만 갈수록 심화되는 이런 불평등 속에서도, 시라는 것은 이기고 지는 것을 넘어서서 뒤를 돌아다보는 시간을 열어줄 거라 믿습니다. 젊은 미래와 아직 태어나지 않은 미래 세대에게 말을 거는 것, 칠흑같은 안개 속에서 깜박깜박 경고등을 켜는 것, 내가 앞사람을 따라가듯, 뒤에 오는 사람들에게 조용히 불을 비취 주는 것, 저는 그런 것이 시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뒤를 보는 마음 중, p.183-4


이 책의 제목이기도 한 '뒤를 보는 마음'의 의미를

약간은 짐작해 볼 수 있었던 좋은 인터뷰.



시를 좋아하는 사람, 이 책에 실린 시인들을 좋아하는 사람, 혹은 시에 별 관심이 없더라도 문학 전반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