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만의 방 에프 클래식
버지니아 울프 지음, 김율희 옮김 / F(에프)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늘은 아주 오랜 시간 동안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성차별에 대한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다소 조심스러운 주제가 아닐 수 없는데요. 먼저 밝혀둘 부분이 있습니다. 저는 극단적인 페미니스트는 아닙니다. 오히려 중립적인 관점을 가지려고 노력하는 부분이 있는 편입니다. 부족하지만 아무래도 아이들을 가르치는 입장이다 보니 한쪽으로 생각이 치우치면 그런 사상이나 이념이 수업 중 아이들에게 드러나게 되더라고요. 그런 제 자신을 돌아본 뒤로는 어떤 문제이든 중립적인 자세를 취하려고 노력 중입니다. 잘 되지는 않습니다만....ㅎㅎㅎ

오늘 소개해드릴 책은 그런 이야기를 좀 더 깊이 있게 할 수 있도록 돕는 책인데요. 바로 버지니아 울프의 <자기만의 방>입니다. 이 책은 버지니아 울프가 1928년 10월에 '여성과 소설'이라는 주제로 여자대학인 뉴넘과 버튼에서 했던 두 강연과 1929년 3월에 같은 제목으로 잡지에 기고한 에세이를 발전시킨 글입니다. 지금으로부터 약 140년 전의 여성의 지위를 가지고 이야기를 했으니 참담한 여성을 현실을 그대로 이야기하지요.

책 속에 등장하는 많은 여류작가들의 안타까운 모습들이 분노를 자아내기도 합니다. '여성은 박쥐나 올빼미처럼 살고 짐승처럼 일하며 벌레처럼 죽는다.' 그 당시의 여성의 모습을 적나라하게 드러내는 분노의 표현이었지요. 당대의 유명한 시인과 여류작가들을 많이 언급하고 있는 이 책은 그녀들에 대해 사전적인 배경지식이 없으면 아마도 어려울 수 있을 듯합니다. 하지만 친절하게도 각주에 잘 설명하고 있어 책 내용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저도 각주의 도움을 많이 받았어요.^^


지적 자유는 물질적인 것에 좌우됩니다. 시는 지적 자유에 좌우되지요.

그리고 여성은 늘 가난했는데 지난 이백 년 동안만이 아니라 태초부터 그랬습니다.

여성은 고대 아테네 노예의 아들보다도 지적 자유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시를 쓸 쥐꼬리만 한 기회조차 갖지 못했습니다.

이런 까닭에 나는 돈과 자기만의 방을 그토록 강조했던 것입니다.

- 본문 중에서-



버지니아 울프는 '여성과 소설'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서 진정한 예술과 글쓰기를 위해서는 자기만의 방과 매년 오백 파운드의 돈이 있어야 한다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자기만의 방이란 경제적으로 억압된 상태에서 벗어난 완전히 경제적 독립을 이룩한 자유로운 공간을 의미합니다. 그런 공간이라야 진정한 창조적인 행위가 가능하고 자신들의 함을 온전히 발휘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그리고 그것을 영위할 만한 최소한의 돈 오백 파운드가 있어야 한다고 하지요. 이 부분에서는 그 시절의 이야기를 담담하게 이야기하는 버지니아 울프의 모습이 상상되어 마음이 울컥하기도 했어요.

버지니아 울프가 이야기하는 시대보다 더 심각했던 시대도 있었지요. 사람의 수에 들어가지도 않아 사람을 셀 때 여성은 카운트되지 않았던 시대가 있었고 여성이 상품과 물건과 같은 취급을 받았던 시대도 있었고, 여성의 참정권이 없던 시대도 있었고, 전쟁 속에서 여성의 인권이 유린되었던 시대(지금도 지속되고 있음)도 존재했지요. 남성에 비해 제약이 너무도 많았던 여성의 삶이 물 위로 드러나고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며 지금까지 많은 해결 방법들이 나오기도 했지만 버지니아 울프가 보기에 어떨지 생각하게 합니다.


이 시인은 여러분 속에 내 속에 그리고 설거지를 하고 아이들을 재우느라 오늘 밤 이 자리에 오지 못한 수많은 다른 여성들 속에 살아 있습니다.
네. 그녀는 살아 있습니다. 위대한 시인은 죽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들은 계속 존재합니다. 그저 육체가 되어 직접 우리들 사이를 돌아다닐 기회가 필요할 뿐이지요.
내 생각에 여러분의 힘으로 그녀에게 그 기회를 줄 때가 다가오고 있습니다.

우리가 앞으로 백 년 이상 산다면 그리고 우리 각자에게 일 년에 오백 파운드와 자기만의 방이 생긴다면 우리가 생각하는 것을 그대로 쓸 수 있는 자유와 용기를 습관처럼 갖게 된다면 공용 거실에서 조금 벗어나 서로와의 관계뿐만이 아니라 현실성과의 관계 속에서 사람들을 바라보고 하늘이든 나무든 그 무엇이든 있는 그대로 바라본다면 그 기회는 올 것입니다.

- 본문 중에서-



저는 이 부분이 이 책의 주제를 잘 표현해준 부분이라 생각해요. 버지니아 울프가 이야기했던 백 년이라는 시간은 흘렀고 많은 이들의 노력과 많은 변화를 통해 지금의 시대는 멋지고 끝내주는 여성작가들과 여성 시인들이 많이 존재하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그 안에도 한계점은 분명히 존재해요. 아직도 현실을 벗어나지 못한 1982년생의 김지영들이 많으니까요. 1882년생인 버지니아 울프와 딱 100년 차이나는 1982년 생의 김지영을 바라보는 버지니아 울프는 어떤 생각을 할까요? 세상 참 좋아졌구나 할까요 아니면 아직도 멀었구나라고 이야기할까요. 여러분들의 생각이 궁금합니다.

시대를 잘 못 태어난 탓인지, 시대를 앞서간 탓인지 버지니아의 삶을 평탄하지 않았습니다. 결국 정신질환을 앓다가 우즈강에 몸을 던져 자실을 하고 마는데요. 아이러니하게도 이 책에서 그녀가 말했던 것을 직접 실천했지요. 버지니아 울프 같은 인재를 일찍 잃어 참으로 안타깝기 그지없습니다.
단순히 여성의 차별을 이야기하는 책이 아닌 사회적 약자로서의 모든 이들이 받는 차별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하고 그들의 삶을 다시 돌아볼 수 있게 하는 좋은 책이었습니다. 그나저나 저도 공용 거실로 아이 방으로 안방으로 노트북 들고 이동하며 글 쓰고 수업하고 하는데 참으로 저만의 방을 갖고 싶네요.^^

-서포터즈 활동의 일환으로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읽고 솔직한 감상을 적은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