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에게도 하지 못한 말
중학생 34명 지음, 한국글쓰기연구회 엮음, 장현실 그림 / 보리 / 200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무에게도 하지 못한 말>에 실린 최휘진 친구의‘아침에 학교 가는 길’을 읽노라니 나의 출근길도 한 번 써 보고 싶어졌지요. 버스 타지 않고 걸어서 가는 먼 길을 기꺼이 행복해하며 걷는 휘진이의 모습이 참으로 예쁩니다. 논길로 가면서 보는 백로, 물총새, 물고기, 수선화도 만나고, 소똥 냄새, 물 썩는 냄새도 만난다지요. 억울한 일이 있으면 중얼중얼 욕도 하고요. 그 모습 떠올려 보니까 또 웃음이 나네요. 나뭇잎 스치는 소리도 놓치지 않는 마음이 열린 아이 휘진이를 이렇게 글에서 처음 만났지만 직접 만나도 낯설지 않게 인사를 할 수 있을 것 같네요.

아이들이 쓴 한 편, 한 편의 글을 읽어가면서 내 눈이 보지 못한, 내 생각이 미처 헤아리지 못한 열다섯 친구들의 삶을 온 몸으로 만날 수 있었습니다. 이 책의 제목 <아무에게도 하지 못한 말>을 대하면 아이들에게 미안한 마음이 슬며시 고개 듭니다. 교무실에 불러다 놓고 '고민 있으면 말해봐~' 하는 선생님들이 제가 학교 다닐 때에도 있었는데, 아직도 '선생님이 나의 든든한 빽이 되어 준다'는 믿음을 아이들에게 줄 수 없는가 하고요.

눈덩이 같은 빚에 전세금도 못 받고 쫓겨나가게 된 상황에서 '나도 모르게 가난한 사람들의 마음을 이해하고 좀더 강해진 것 같다'는 명섭이, 돈 벌어 고생하시는 엄마와 동생을 먹여 살리고 공부 시키기 위해 학교 다닌다는 소영이, 아픈 나를 대신해 정성껏 필기 해 준 친구에게 고마워하고, 그 친구가 팔을 데어 필기 못할 때 정성껏 필기를 해 준 민규, 자기 일은 스스로 해야 한다고 말씀하시는 선생님들이 자기가 먹고 난 컵을 학생들에게 씻어 놓으라고 말하는 것이 잘 못되었다고 생각하는 정호. 때론 코 끝이 찡해지면서, 때론 킥킥대기도 하면서, 때론 속이 뜨끔도 하면서 이 책을 정말 온전히 끌어 안고 읽어 보았습니다.

아이들의 삶의 인정하고, 이해해야 된다고 하면서 그것이 내 마음에서 우러나와 아이들에게 전해지고 있는 것인지 이 책을 읽으면서 다시 한 번 돌아보게 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