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랑의 발견 - 5,000년의 사랑 이야기
이수현 지음 / 밀리언하우스 / 2007년 5월
평점 :
절판
고등학교 때 세상에 모든 딸들이라는 이야기를 읽었다. 후기 구석기 시대의
여인의 삶이 주 이야기 였는데 그때는 그 여인이 별로 이해가 가지 않았다.
왜 그런 삶을 살아가는지..어렸기 때문일까..그래도 재미있게 보았던 책인거 같다.
사랑의 발견을 읽는 순간 잠시나마 고등학교때 읽었던 세상에 모든 딸들이 생각났다.
물론 사랑의 발견은 그 때보다 더 앞선 시대인 빙하기 이야기 였지만 문득 이 책처럼
루가와 랄라에 의해 사랑이 발견되어 구석기의 야난에게로 이어진게 아닐까하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물론 조금 다르게 전달되어서 아쉽기는 하지만 말이다.
사랑의 발견이란 책은 앞부분에 "발다로의 연인" 이라 불리는 화석을 보여주고 있다.
죽을 때까지 서로를 포옹했던 두 연인.. 나도 저렇게 세상을 살다갔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영원한 사랑은 없다라는 말을 많이 하곤 했다.
실제로 살아가면서 그런 사랑을 보기 힘들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하지만 입으로는 그런 말을 하면서도 나는 그런 영원한 사랑을 추구한다.
그래서 나이가 들만큼 들었음에도 로맨스 소설을 보고 순정만화를 보는 지도 모르겠다.
모든 여자들의 꿈이 영원한 사랑이 아닐까 생각한다. 그것을 대변하는 것이 로맨스 소설이고 말이다.
많은 여자들이 그것을 보면서 언제나 대리 만족을 느낄 것이다. 물론 그 덕에 눈이 높아지는 부작
용도 있겠지만 그건 개인이 알아서 해결해야 할 문제일테니 접어두기로 하자.^^
어쨌든 그러한 화석 하나로 사랑이야기를 엮어낸 작가가 무척 존경스러웠다.
어떻게 이런 생각을 할 수 있을까? 사랑의 발견은 단순한 사랑이야기가 아니다.
사랑을 하는 사람이라면,, 아니 사랑을 준비하는 사람들도 꼭 알아야 할
남녀의 차이를 랄라와 루가가 서로 사랑하게 되는 과정 속에 펼쳐놓고
이러한 차이를 알고 서로 이해해야 사랑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대학교때 아동가족학을 했을 때 어떤 교수님께서 결혼하기 전에, 연애하기 전의 필독서라고 했던
화성에서 온 남자, 금성에서 온 여자 처럼 이 책도 연인이 있는 사람, 연인을 바라는 사람 모두
한번은 읽어 보면 좋은 책인거 같다. 화성에서 온 남자, 금성에서 온 여자와 달리 이 책은
쉽고 즐겁게 금방 읽을 수 있는 책이기에 더욱더 많은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리라 생각한다.
특히 사랑에 서툰 나에게는 정말 제격이 아닐 수 없다.
읽으면서 이해가 가지 않았던 남자의 행동들이 이해가 가면서
아 이래서 그랬구나 라고 자주 고개를 끄덕이게 되었다. 읽고 난 뒤에는
새로운 지혜를 얻은 거 같아서 너무나 뿌듯하기까지 했다. 끝까지 읽으면서 얼굴에 미소를
남아 있던 책이라서 그런 느낌이 더한지도 모르겠다.
여기서는 물가 부족, 바위 부족이라고 칭하지만 물가부족은 여자를, 바위 부족은 남자를 뜻하고 있
으며 이 책이 전하는 여러가지 메시지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물가부족과 바위 부족은 서로 다르지만 함께 하지 않는다면 살아갈 수 없다는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함께 해야 살 수 있는 존재는 바로 남자와 여자임을 다시금 깨닫게 해준 책이었던 거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