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둑맞은 뇌 - 뇌과학이 발견한 기억의 7가지 오류
대니얼 샥터 지음, 홍보람 옮김 / 인물과사상사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친구와 대화 중에 갑자기 이야기하고자 하는 사람의 이름이나 장소, 명칭이 기억이 나질 않을 때, 같은 추억에 대해 서로 다른 기억을 말할 때, 집을 나와 길을 걷다 문득 문단속을 잘 하고 나왔는지 갑자기 불안해 질 때 , 반은 농담으로, 반은 진심의 담아 노화나 치매인가 하는 걱정을 하곤한다. 기억은 대체 왜 이렇게 불완전한 것일까. 

기억이란 내 자신이 누구인지 정의해주는 중요한 요소이다. 나는 육체와 과거의 기억과 현재의 생각으로 구성되어 있으니 말이다. 그렇기 때문에 기억을 상실한다는 것은 무척이나 두려운 일이고, 과연 왜 기억이 소멸하거나 변형되고 오작동하는지, 어떻게하면 그것을 예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들은 누구에게나 궁금한 지점일 것이다. 

뉴욕타임즈 올해의 책에 선정되었고, 미국심리학회 윌리엄 제임스 도서상과 우수 과학 공로상을 수상한 하버드대학 심리학과 교수 대니얼 샥터의 '도둑맞은 뇌'는 기억에 대해 많은 이들이 궁금해하는 기억의 소멸, 왜곡, 오류 등 일상에서 누구나 겪을 수 있는 기억의 오작동들, 기능 저하에 대해 심리학, 뇌과학, 진화심리학 등 최근 20년 동안의 주목할만한 여러 분야의 기억 연구 결과와 분석을 통해 그 원인과 최소화하고 예방하는 방법, 기억의 소멸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의 방향에 대한 의견을 제시한다. 

저자는 기억의 오류를 소멸, 정신없음, 막힘, 오귀인, 피암시성, 편향, 지속성으로 분류한다. 

기억이 희미해지거나 사라져버리는 '소멸'

물건을 둔 장소를 잊어버리거나 약속을 까먹는 등 주의력과 기억 사이의 연결이 끊어지는 '정신없음'

상대의 이름이나 고유명사를 기억하지 못하거나 말하고자 하는 정보 찾기를 실패하는 '막힘'

신문에서 본 내용을 친구가 해준 말로 잘못 기억하는 것과 같이 기억의 출처를 잘못 기억하는 '오귀인'

유도질문이나 암시로 인해 사실과 다른 기억이 주입되는 '피암시성'

가짜뉴스를 믿는 것처럼 현재의 지식과 믿음이 과거에 대한 기억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편향'

기억하기 싫고 지우고 싶은 생각이나 사건을 반복적으로 떠올리게 만드는 '지속성'

기억의 7가지 오류는 우리의 일상을 당황스럽게 만든다. 특히 오귀인이나 피암시성으로 인한 왜곡된 목격 증언이나 잘못된 판단은 한사람의 인생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대한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일상의 기억 소멸에 대응하는 최고의 방법은 경험에 대해 반복적으로 생각하고 말하며 새로운 정보를 잘 부호화하는 것이고, 노화로 인해 기억이 소멸되기 보다는 인지 처리 속도가 저하되는 것이기 때문에 나이가 들수록 사람의 이름을 말하려다 자주 막히는 일은 개념적 표상과 어휘적 표상 사이에 인지 과정의 방해로 인해 연결이 미약해지면서 일어나는 현상이라는 것과 같이 매 장마다 평소 일상 생활 속에서 생기는 기억에 대한 궁금증에 대한 내용들이 많이 등장한다. 

딴생각, 설단현상, 데자뷔, 다양한 일상 속 오류 사례와 연구 과정, 그 결과를 읽다보면 평소 경험했던 기억의 오작동 사례들이 머리에 스치며 조금 마음의 위안이 들기도 한다. 특히 요즘은 스마트폰을 비롯한 전자기기와 저장장치로 인해 무언가를 기억하려고 노력하거나 하지 않게 되고, 찾고자 하는 기억이 나지 않을 때 스스로 기억을 떠올리려고 하기보다는 검색을 통해 바로 답을 찾으려고 하는 경우가 많다보니 자신의 기억에 대한 자신감이 점점 떨어지고 있다보니, '사진, 검색엔진, 스마트폰, 소셜미디어, gps가 기억에 미치는 영향'이나 , '기억 장치에 의존하는 것이 기억을 약화시키는가? 아니면 기억 보존에 효과적인가?'와 같이 최근 진행되고 있는 연구들에 대한 내용들도 흥미로웠다.


하고자하는 말이 혀 끝에서만 맴돌고 나오지 않을 때면 답답하고 슬퍼진다. 하지만 저자는 이런 기억의 7가지 오류가 우리에게 부정적인 영향만 주는 것이 아닌 인간정신에 있어 바람직하고 환경에 적응적이라고 할 수 있는 긍정적인 부산물이라고 말한다. 부정적인 경험일수록 상대적으로 빠르게 잊어버리는 것을 정서적 퇴색 편향이라고 한다. 정서적 퇴색 편향이 강할수록 긍정적인 에너지를 얻을 수 있고 행복해질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질 확률이 높다고 한다. 삶의 모든 순간이 행복할 수만은 없기 때문에 좋은 추억만큼 나쁜 기억도 많다. 만약 모든 기억을 잊지 않게 된다면 그것도 어쩌면 기쁜 일만은 아니겠구나하는 생각이 든다. 또한 오귀인이나 피암시성으로 인한 유연적 연상 능력은 과거의 경험을 통해 미래의 경험을 상상할 수 있는 능력과 관련이 있다고 한다. 그렇다면 기억의 오작동도 인간이 내일을 살아가기 위해서 필요한 중요한 일이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