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의 그늘 - 남한의 지하혁명조직과 북한
한기홍 지음 / 시대정신 / 2012년 3월
평점 :
품절


요즘 뉴스를 보면 진보진영의 갈등이 극에 달하고 있다. 같은 편 아니었나? 라고 고개를 갸우뚱 할만한 사람들끼리 sns로 혹은 기자회견을 통해 서로 비난하는 것을 쉽게 볼 수 있는 것이다. 평소 진보진영 대표 논객으로 유명한 진중권 교수는 이정희 통합진보당 대표에게 공포영화 ‘링’을 보는 것같이 소름이 돋는다며 대표직에서 물러날 것을 공개적으로 요구하고 있고, 백낙청 교수를 비롯한 진보진영 원로들도 당권파의 희생을 요구했다.

 

현재 진보진영에서는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 것일까? 진보진영, 아니 정확하게 말하면 통합진보당 내의 분열 사태는 19대 국회의원 비례대표 순번 배정을 둘러싸고 부정선거가 이루어진데서 촉발됐다. 통합진보당내 민주노동당 출신들인 당권파가 비례대표 2,3번을 배정받은 이석기, 김재연을 위해 모바일 투표 코드를 조작, 대리투표 등 총체적인 부정투표 정황이 속속히 밝혀지고 있는 것이다.

 

‘진보의 그늘’은 이런 파렴치한 부정선거를 가능하게 했던 지하 종북세력의 실체를 조목조목 집어주고 있다. 저자는 “지난 수십년 동안 개별 사건이 발생했을 때, 수사기관의 사건발표와 언론의 단발성 보도를 제외하고는 각 사건의 흐름을 관통하는 연관성이나 역사성이 제대로 규명되지 않았다.”고 말하고 있다. 책은 1980년대 자주파의 탄생부터 민혁당 사건, 그리고 민주노동당을 가능하게 했던 일심회 사건까지 진보진영 중에서도 종북지하 세력들의 과거를 낱낱이 밝히고 있다.

 

지하에서만 움직이던 이석기, 김재연 같은 인물들이 부정선거를 치루면서까지 비례대표로 나섰다. 개인적인 탐욕이었다면 오히려 다행이다. 만약, 종복지하조직의 노선이 변경되어 대한민국 입법기관에 진출하는 것이었다면 문제는 심각하다. 언론에서는 이번 부정선거 결과가 진보진영의 미래를 결정지을 것이라고 말한다. ‘진보의 그늘’이 앞으로의 향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리라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닥터 노먼 베쑨 역사 인물 찾기 1
테드 알렌 지음, 천희상 옮김 / 실천문학사 / 200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치의학을 공부하는 나에게 닥터노먼베쑨은 고전책처럼 읽어야하는 책으로 다가왔다. 큰 의사로써 사회를 치료하는 노먼베쑨에게서 나는 혁명가를 생각했다. 실제로 중국 4대 혁명가로 꼽히는 이로써 노먼베쑨은 국경을 넘나드는 열정으로 사람들에게 다가온다. 하지만, 이책은 너무나도 영웅적으로 쓰여져있다. 그래서 나중엔 감동이 무뎌지기도 한다.

의사로써 위대한 혁명가였던 체게바라의 평전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았다. 좀 더 인간적인 냄새가 난다고나 할까..하지만 그것은 문체의 문제라고 생각하고, 나는 닥터노번베쑨의 영화를 찾아서 본 적이 있다. 새로운 감동을 찾아 나서기 위해서였다. 영화를 통해서나 그리고 책을 통해서나 하나같이 느낄 수 있는것은 노먼베쑨의 완벽함이었다.

실패가 없었다는 것이 아니다. 끊임 없는 열정과 용기는 고개를 숙일 수 밖에 없게했다.
난 노먼 베쑨을 존경하고 싶다. 그리고 그와 같은 삶을 살고싶다. 세상에는 3가지 종류의 의사가 있다고 한다. 작은 의사는 질병도 못고치는 의사이고, 중간 의사는 질병만 겨우 고치는 의사라고 한다. 그리고, 마지막 큰 의사는 사회를 고치는 의사라고 한다. 닥터 노먼베쑨 그는 분명 큰 의사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968 - 희망의 시절, 분노의 나날
수잔 앨리스 왓킨스 외 지음, 안찬수 외 옮김 / 삼인 / 2001년 2월
평점 :
품절


1968이라는 책은 강한 인상으로 내게 다가왔다. 세계의 청년들은 청년이라는 단어에 걸맞게 행동했다. 민주주의 라는 기치아래, 모두들 환호했으며 열광했다. 불멸의 영웅 차 게바라를 흠모했으며 인류애를 구현하고자 했다. 요즘의 대학가를 보자. 취업의 어려움과 경제난 속에 대학은 취업지원실이 되어가고 있으며, 현실이라는 벽앞에 청년이라는 단어는 꿈처럼 들린다.

박노해씨 말처럼 사람만이 희망인데 지금은 사람이 없다. 1968년은 나에게 희망처럼 보였다. 다같이 연대할 수 있는 그 시절의 청년들이 부러웠다. 사진 한 장 한 장을 보며 얼굴에 희망을 느꼈다. 이 책을 읽으며 지금 현실이 그들이 지나간 자리라고 위안하며, 또 다른 불꽃을 기대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