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마흔, 역사와 만날 시간 - 인생의 변곡점에서 자신만의 길을 찾은 사람들
김준태 지음 / 한겨레출판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자는 논어 자한(子罕) 편에서 당대의 인격적 이상이었던 군자(君子)의 덕목으로 어진 사람은 근심이 없고(仁者不憂), 지혜로운 사람은 유혹에 흔들리지 않으며(知者不惑), 용기 있는 사람은 두려워하지 않는다(勇者不懼)”고 하였다. 또한 위정(爲政)편에서 나는 열다섯 살에 배움에 뜻을 두었고(吾十有五而志于學), 서른 살에 확고히 설 수 있게 되었다(三十而立). 마흔 살에는 미혹되지 않게 되었고(四十而不惑), 쉰 살에는 천명을 알게 되었다(五十而知天命).”고도 하였다. 이처럼 유혹에 흔들리지 않는다는 불혹, 즉 마흔이라는 나이가 우리 인생에서는 어떤 위치를 의미하는지 이번에 소개할 책 마흔, 역사와 만날 시간의 저자 김준태 작가의 말을 인용해 보자. 그는 저자의 말에서 마흔은 삶의 중간지점이다. 마흔을 중심으로 인생의 전반전과 후반전이 나뉘고, 마흔을 기점으로 중년이 시작된다. 집에서는 연로해진 부모님을 챙겨야 하고 점점 커가는 자식들을 뒷받침해야 한다. 필요한 생활비는 점점 늘어가고, 밖에서는 지위가 높아지는 만큼 책임져야 할 일이 많아지며, 경쟁도 치열해진다. 그렇다고 20~30대 같은 젊음과 건강이 있는 것도 아니고, 50~60대 같은 경륜이 있는 것도 아니며, 늘어난 부담 때문에 버거우면서도 겉으론 강한 척해야 하는 그런 나이가 바로 40대이다.”라고 말한다. 그래서 역사 속 인물들이 40대에 겪었던 일이나 40대에 도움이 될 일화를 중심으로 4개의 장()으로 구분하여 31편의 이야기를 이 책에 담아냈다.

 

   1장 구방심(求放心)-놓치기 쉬운 마음을 붙들어라에서는 마음의 중심을 잡아 끊임없이 노력하고 변화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양명학의 창시자 왕수인(王守仁)용장오도(龍場悟道)’ 사례에서부터 시작하여 제나라 환공(桓公)과 중국 춘추시대 오나라의 재상을 지낸 오자서(伍子胥)의 사례를 통해 편견과 고집, 자만이나 욕심으로 인해서 마음의 균형을 잃으면 일을 그르칠 수 있음을 일러주고 있다. 우리나라 역사적인 인물로는 임사홍(任士洪), 선조(宣祖)와 세종(世宗), 최명길(崔鳴吉)과 정몽주(鄭夢周)의 사례들이 이어진다. 2장 도광양회(韜光養晦)-어둠 속에서 자신을 기르다에서는 고통과 시련을 이겨내고 위기를 기회로 만든 사람들의 이야기로서 정유재란 때 가족과 친척들을 모두 잃고 왜군에게 포로로 잡혀 구차한 삶 속에서도 살아야 할 이유를 찾은 강항(姜沆)과 생식기를 거세당하는 치욕을 겪으면서도 사기(史記)라는 불후의 저작을 남긴 사마천(司馬遷)의 눈물겨운 일화가 소개된다. 39살 되던 해에 난치병이 시작되어 2020년 현재까지 그 고통 속에 살아가고 있는 본인에게도 동병상련의 감정을 느끼게 해줌과 동시에 용기를 얻은 부분이기도 했다. 뒤이어 조선 효종 때 영의정을 지내며 대동법이 정착되는데 절대적으로 공헌한 김육(金堉)의 젊은 날의 연속적인 고난의 삶이 소개된다. ‘백척간두진일보(百尺竿頭進一步)’를 몸소 실천한 중국의 근대 정치가 이홍장(李鴻章), 그리고 정약용(丁若鏞), 정조(正祖), 재능의 한계를 뛰어넘은 김득신(金得臣)의 일화도 이 장에서 소개되고 있다. 3장 인능홍도(人能弘道)-성패를 결정하는 것은 바로 나 자신이다.’에서는 내가 걸어가고 있는 길에서의 성패는 결국 나의 노력과 태도에 달려 있으므로 내가 내딛는 발걸음에 따라 길이 만들어진다는 지극히 당연한 이치를 후한 광무제 때의 명장 마원(馬援)과 조선의 선조, 광해군, 인조 3대에 걸쳐 영의정을 지낸 이원익(李元翼)과 고려의 명장 강감찬(姜邯贊) 그리고 제갈량(諸葛亮), 서희(徐熙), 고종 때 영흥부사를 지낸 이남규(李南珪), 정도전(鄭道傳)과 인조(仁祖)의 사례가 이어진다. 마지막 4장 인연생기(因緣生起)-인간은 관계 속에서 성장한다에서는 사회적 동물인 인간은 살아가면서 누구와 어떻게 관계를 맺느냐에 따라 인생이 좌우된다는 평범하지만 중요한 이치를 김춘추(金春秋)와 김유신(金庾信), () 태종(太宗)과 명재상 위징(魏徵), 공자(孔子)와 그의 제자들 그리고 정조(正祖)와 홍국영(洪國榮), 최명길(崔鳴吉)과 조익(趙翼), 주희(朱熹)와 진량(陳亮), 이황(李滉)과 권씨 부인, 영조(英祖)와 사도세자(思悼世子), 세종(世宗)과 황희(黃喜)와 숙종(肅宗)과 김석주(金錫胄)의 관계를 통해 명확한 교훈을 주고 있다.

 

    본인은 하늘의 뜻을 아는 나이라는 지천명(知天命)을 절반쯤 지나고 있으나 천명의 뜻을 알기는커녕 아직도 조석(朝夕)으로 마음이 흔들리고 있다. 인생의 경험도 어느 정도 해보았고 나름대로 성취감도 맛보았으나 여전히 앞날이 불투명하고 불안하기는 마찬가지이다. 코로나 정국으로 인해 미래가 더욱 암울해진 것 같다는 기분도 드는 것이 솔직한 심정이다. 하지만 저자의 말처럼 바둑에서 대국이 끝나고 난 후에 복기(復棋)를 해보듯이 인생의 변곡점이 되는 40대 이 시기에 자신이 걸어온 길을 한 번 되돌아보는 시간을 가지는 것은 의미가 작지 않아 보인다. 그리고 역사 속 인물들의 행적을 되짚어봄으로써 반면교사(反面敎師)나 타산지석(他山之石)의 교훈으로 삼는 것 역시 필요해 보인다. 인생의 중간쯤에서 자신의 길을 찾고 싶은 분들에게 일독을 권해 본다. 물론 40대가 아닌 어느 연령대의 분들이 읽어도 무방함을 노파심(老婆心)에서 말씀드리는 바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질문이 멈춰지면 스스로 답이 된다 - 나와 세상에 속지 않고 사는 법
원제 지음 / 불광출판사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멈추면, 비로소 보이는 것들』이라는 혜민스님의 책이 있다. “잠깐 멈추고 내 마음이 바쁜 것인가, 세상이 바쁜 것인가?” 물어보라던, “세상이 나를 괴롭히는 것이 아니라 내가 쉬면 세상도 쉰다.”던 그런 문장이 기억나는 혜민스님 책이었는데 여기 그와 유사한 제목의 신간이 출간되어 어지럽게 돌아가는 세상에서 나와 세상에 속지 않고 사는 법을 가르쳐 준다는 책이 있어 여러분들에게 소개하고자 한다. 세상이 가짜 같아 삶에 대한 의문이 많았던, 그런 세상에 적응은 하였으나 현실에서 5센티미터 정도 떠 있는 듯한 분리감에 힘들었던, 그래서 출가를 결심하고 스님이 되었으나 녹록지 않은 선원에서의 수행을 뒤로하고 5대륙 45개국 세계 일주를 감행한 그런 스님의 책이 『질문이 멈춰지면 스스로 답이 된다』이다. 필자인 원제스님은 현재 김천 수도암에서 정진중이시라는데 우리는 책을 통해서 선방수좌의 공부 흔적을 따라가 보기로 하자. 서문에서 스님은 삶을 고통으로 규정하는 것은 사람의 분별과 집착 때문이라고 말하고 고정된 실체가 없는 나로 향한 편중된 분별과 집착에서 벗어날 수만 있다면 삶은 그대로가 온전하고 자유로우며, 그릇된 질문에서 벗어날 수만 있다면 사람과 세상은 이미 그대로 답이라고 설파하신다. “답은 구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잘못된 질문이 멈춰지는 것이다.” 마치 32분으로 나누어진 『금강경(金剛經)』중 제1분 「법회인유분(法會因由分)」에서 부처님의 모든 가르침이 설해져 마쳤다는 것처럼 서문에서 이 책의 종지(宗旨)가 그대로 드러난 것인데 서문 이후의 글은 부연설명인 셈이다.

 

   5개의 장으로 구성된 책에서 스님은 대학교 1학년 때 발생한 마을버스와의 충돌사고나 MT때 깨진 맥주병으로 왼팔을 자해한 개인적인 체험을 소개하며 시비분별 이전의 마음가짐에 대해서 그리고 스스로의 분노를 감당하지 못하고 아상과 에고의 장난에 놀아나지 말고 인연 따라 변화하는 상황을 인정하고 받아들임에 대해서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열반경(涅槃經)』〈성행품〉에 나오는 ‘공덕천과 흑암녀’ 설화를 통해 단순히 선과 악, 행복과 불행, 옳음과 그름과 같이 ‘인생은 새옹지마’로 풀이하는 방식 대신 아상(我相)과 분별(分別)이라는 집을 헐어버리라고 하신다. 그저 스쳐가는 바람으로만 느끼라고 하신다. 그 속에서 그냥 초목이 자라고 시냇물은 졸졸 흐를 뿐이라고 하신다. 수행을 하는 삶에는 ‘답을 구하는 삶’과 ‘의심하는 삶’으로 크게 나눌 수 있는데, 답을 구하는 삶은 계속해서 무언가를 찾아 나서고 구한 것들을 축적하지만 결코 만족하지 못하게 되고, 의심하는 삶은 축적된 것들을 돌이켜보고 의심되는 것들을 비워가며 자신을 돌아보는 삶이라고 한다. 구하는 삶은 여전히 밖을 향해 나서게 되지만 의심하는 삶은 곧장 그 자리에서 멈춤으로써 드러나게 되는 것이다. 구함이 멈춤으로써 그 모든 것들이 답으로 드러나는 것이라 한다. 혜민스님의 “멈추면 비로소 보인다.”는 말씀과 일맥상통한다. 아직 일어나지 않은 일을 미리 당겨서 고민하지 마라. 그것이 문제가 될 지 안 될 지는 아무도 알 수가 없으므로 그 때가 되어서 상황에 맞춰 적절하게 대응하면 된다. 설사 문제가 된다고 하더라도 극복하거나 없애려 하지 말고 그 상황에 맞게 대응하라고 한다. 문제도 시간이 흐르면서 변화하고 나 또한 변하므로 무상(無常)이라는 진리에서 벗어나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끊임없이 변화하는 문제를 고정시킬 때 ‘본래 없던 실체’가 생겨나는 것이므로 내가 스스로 만든 문제에 맞서 싸우려고 하지 말고 적당한 거리를 유지한 채 바라보는 것으로 충분하다고 한다. 그물에 걸리지 않는 바람처럼. 걱정을 미리 사서 하는 경향이 있는 본인에게 유용한 경책이 아닐 수 없다. 더 이상 책의 내용을 상세히 기술하는 것은 일종의 스포일러가 될 것 같아 이쯤에서 멈추고자 한다. 인위적인 노력을 완전히 멈춤으로써 본래자리가 드러난다는 원제스님의 말씀을 몸소 실천해보고자 하는 분들에게 이 책의 일독을 통해 스스로 인생의 답을 찾아보시길 권하여 본다.

 

   《신심명(信心銘)》

   至道無難    지극한 도는 어려운 게 아니고

   唯嫌簡擇    오로지 분별심을 떠나는 것뿐

   但莫憎愛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만 없으면

   洞然明白    모든 게 툭 트여 명백히 드러나리라. (p.8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계는 왜 한국에 주목하는가 - 한국사회 COVID-19 시민백서
김유익 외 지음, 모시는사람들 철학스튜디오 기획 / 모시는사람들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1912, 중국 우한시에서 발생한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 일명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으로 2020524일 현재, 전세계에서 523만여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고, 34만여명이 사망에 이르렀으며 아직 백신이 개발되지 않은 관계로 인명피해가 어느 정도가 될지는 그 누구도 예측할 수 없는 상황이다. 현지 시각으로 지난 311일 세계보건기구(WHO)에 의해 세계적 대유행을 의미하는 팬데믹이 선언된 이래 전염병의 확산이 수그러들 기미가 보이지 않자 당초 724일에 개막 예정이던 도쿄올림픽이 1년가량 연기되는 초유의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우리나라 역시 11,190명의 확진자와 사망 266명의 인명피해를 입고 있는데 코로나19의 확산을 막기 위해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과 마스크 쓰기, 30초 이상 손씻기, 손소독제 사용 등 전국민이 방역수칙을 준수하고 헌신적인 의료진의 노력으로 통제 가능한 정도에서 관리되고 있어 그나마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최근 클럽 등 유흥업소를 통한 감염사례가 증가하고 있어 코로나 완전 소멸까지는 경각심을 늦춰선 안될 것으로 보여진다. 이런 가운데 한국사회 COVID-19 시민백서라는 부제를 달고 세계는 왜 한국에 주목하는가라는 시의적절한 책이 출간되어 코로나 때문에 외출을 자제하고 가정에 계시는 여러분들에게 소개하고자 한다.

 

    이 책은 코로나19를 통해서 한국사회와 지구사회를 돌아보자는 기획 아래 20대 대학생에서부터 50대 평화운동가에 이르기까지 세대를 넘나들고, 다루는 내용 역시 콜센터 노동자의 삶에서부터 현대문명의 진단에 이르기까지 폭이 넓은데, ‘1부 재난과 국가’, ‘2부 재난과 매체’, ‘3부 재난과 공공성’, ‘4부 재난과 일상’, ‘5부 재난과 종교’, ‘6부 재난과 인문학으로 나누어 총 20편의 글이 수록되어 있다. 대구의 신천지 증거장막성전 신도들의 집단감염으로 폭발적인 양상을 보였던 시기를 제외하고는 대체로 코로나 위기를 무난하게 대처하고 있다는 국민적인 평가를 받고 있고, 아울러 각국 정부나 언론으로부터 대한민국이 코로나 방역의 모범국가로 칭찬을 받고 현재 상황에서 여타 언론들의 평가와 비슷하겠지만 그 성공 요인을 이 책에서는 중앙집권화된 민주체제, 의료보험의 보편화, 준비된 공공보건 시스템, 사회적 응집력과 높은 시민의식, 의료인들의 전문성과 헌신성, 정치 지도자의 의지를 꼽았다. 그리고 시민들이 참여하는 투명한 방역, 진단키트의 개발과 대량생산, 안전하고 빠른 검사를 가능하게 한 드라이브스루 선별 진료, 중증환자와 경증환자를 구분하여 경증환자를 생활치료소에서 관리한 것 등을 특히 주목하였다. 초기에 정부가 중국인 입국을 금지하지 않은 점과 마스크 생산과 분배과정의 혼선 등에 대한 비판적인 여론이 있었으나 외국인 입국금지나 도시 봉쇄와 같은 폐쇄 정책을 쓰지 않고도 코로나 사태를 민주적인 방식으로 안정적으로 대처하였고, 마스크 5부제와 같은 합리적인 구매 방식을 통해 마스크 수급을 안정시킨 점등이 오히려 국민들로 하여금 정부정책을 신뢰하게 하고 국민들을 적극 동참하게 만든 계기가 되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책에서 우리나라는 재난과 국난을 겪을 때마다 오히려 성숙해지고 단단해져 가는데 이러한 경험을 설명할 수 있는 인문적 시각을 갖지 못하고 대부분 외국의 시각에 의존해 왔다고 진단하고 이러한 외적인 틀만으로는 최근 한국 사회에서 벌어지고 있는 현상들을 설명할 수 없다고 하며 이런 경험들 안에는 서구적 근대를 넘어설 수 있는 개벽적 잠재력이 내장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이번 코로나 사태와 관련한 어느 방송이나 언론에서도 개벽이라는 용어가 나온 적이 없어 다소 의아하여 책을 다시 찬찬히 살펴보니 도서출판 모시는사람들이 개벽학을 출판하는 회사이고 집필진 스무 분 중에 한국 근대의 탄생개벽파선언등의 저서를 출간한 조성환 책임연구원과 개벽신문주간이자 도서출판 모시는사람들박길수 대표님이 포함되어 있어 앞서의 의아함이 해소되었다. 박길수 대표님은 지금 우리가 겪는 사회적·물리적 거리두기, 통행·여행 금지, 국경폐쇄·도시봉쇄 등은 잠시 멈추어 보자, 돌아보자, “참회의 자리/시간을 만들자는 하늘의 명령(天命)이다. “보이지 않는 그 속에서 보이는 것을 찾고, 들리지 않는 그 가운데서 들리는 소리를 들어보자, 홀로가 됨으로써 다시 우리는 하나(同歸一體)임을 생생(生生)하게 경험하는 깨달음의 시간이다. 전일적(全一的) 생명으로서의 인류 양심(養心=)이 주시는 거룩한 개벽의 소리(天語), 복음(福音)이다. 하나의 시대가 끝나고 새로운 시대, ‘다시 개벽의 그 시대, 지금 열리고 있다.“(p.274)라고 설파한다. 아직 끝나지 않은 코로나19와 이제 다시 열리고 있다는 개벽을 주목하시는 독자분들의 일독을 권하는 바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