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은의 가게
이서수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카페를 열고 팬데믹으로 문을 닫았던 작가의 경험을 녹인 작품이라는 설명을 보고 궁금해졌던 ‹ 마은의 가게 › . 훗날 작은 가게를 해보고 싶다는 생각을 가져본 적 있는 사람이라면 부푼 꿈 앞에 두려우면서도 기대되는 마음과 안정을 갈망하게 되는 매일의 불안, 끝끝내 지켜보고 싶은 무언가에 대한 애정의 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마은의 가게 › 사장, 공마은의 시선과 생각을 따라가면서 섬세하게 느껴볼 수 있다.


작가의 말에서 저자는 ‘공마은 같은 여성 자영업자가 겪는 두려움과 자괴감, 이를 극복하게 하는 사랑과 연대에 대해 그리고 싶었다’고 말한다. 작가는 잘 그려냈는지 모르겠다고 했지만 소설에서 현실의 모습을 마주하며 좀 춥고 씁쓸하게 느껴졌으니 잘 그려냈다고 생각한다. 여성 자영업자에게 늘 어려움만 따르는 것은 아니다. 마은의 가게에는 다정한 인연도 있고 각자의 불안을 안고 살지만 서로 ‘관심’이란 말로 신경을 써주는 이들도 있다. (관심이란 말로 포장된 폭력이나 위협도 있지만..)


책을 읽으면서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에서 배우 공효진이 연기한 동백이가 떠올랐다. 그곳에서도 여성 자영업자들이, 시련과 함께하는 생활이 있었고, 타인에게 기댈 수 있는 마음이나 츤데레같은 도움이 있었다. 드라마와 책에서 그려내는 자영업자의 모습은 크게 다르지 않다. ‘장사는 하루하루 전쟁같이, 목숨 걸고 해야 한다’고. 모두 각자 인생의 힘듦을 짊어지고 좀 더 나은 미래를 꿈꾸며 열심히, 또 열심히 살아간다.


“패를 던지는 게 아니라 공을 굴린다고 생각해. 힘껏 굴리면 그 방향으로 가겠지. 하지만 언젠가 멈출 거야. 그때 다시 힘껏 굴리면 돼. 어디로든 갈 수 있어. 방향은 정하지 마.”


다시 자영업자가 가능성을 품고 있는 이서수 작가에게 소설은 매우 각별할 같다. 작가에게 자신의 모든 작품이 각별하지 않겠냐마는, 자신의 지난 경험을 토대로 글이기에 앞으로의 당신에게 바라마지않는 희망과 다짐을 눌러쓴 글처럼 느껴지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