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못하는 아이는 없다 - 내 아이의 공부를 바꾸는 놀라운 마음의 힘
박민근 지음 / 청림출판 / 2015년 1월
평점 :
품절


이 세상에 공부 못하는 아이가 없다고??

아마 아이가 있는 엄마라면 우리 아이가 어떻게 하면 공부를 잘 할 수 있다는 이야기인지 너무 궁금할것 같다.

대부분의 엄마들이 왜 아이가 공부를 못하는지 생각보다는 '우리애가 그렇지 뭐.'라고 생각하는 엄마들이 더 많지 않을까?

출판사 교육을 듣다 보면 대부분 엄마들이 유아 때는 무엇을 하나 하더라도 우리 아이는 천재라고 생각하고

열성을 다해 교육을 시키다가 처음으로 4학년 때 포기하고 두 번째로 중학교 때, 마지막으로 고등학교 때 포기한다고 한다.

그도 그럴 것이 아이 머리가 점점 커지면서 자기가 생각하고 하고 싶은 대로 하는 일이 많아져 부모랑 부딪히는 일이 많아지겠지.

 

아이가 공부를 못하는 것은 아이가 머리가 나빠서가 아니라 이유가 있다.

성격, 기질, 성별, 두뇌 유형 등 아이들은 모두 다른데 우리나라는 그 점을 생각하지 않고 똑같은 방법으로만 아이의 생각은 무시한 채 공부하기를 바란다.

저자는 여러 아이들의 사례를 통해서 아이가 왜 공부를 싫어하는지, 무기력한지 등 상담을 통해 알아내고

아이 혼자가 아닌 부모와 아이와 함께 개선점을 찾고 그에 맞는 책을 읽히고 여러 가지 조언을 해주어 부모와의 관계 개선 및 공부에 호감을 갖게 도와준다.

 

아이에게 잔소리가 많은 나.

다행히 우리 아이는 아직까지 긍정적이고 책을 좋아해 안심이 되긴 하지만

공부를 할 때 잔소리를 많이 들어 아이가 마음의 상처를 입고 공부와 멀어질까 걱정이 된다.

그나마 부모 지침서를 읽는 동안엔 조금이나마 친절해지고 마음가짐을 다잡게 되지만..

 

책 속에는 아이의 긍정성, 공감 역, 자존감, 회복탄력성, 공부에 관한 자아상 및 집중도, 목표 의식과 태도 등 아이에 대한 여러가지를 알 수 있는 테스트가 나와있어

공부를 어떻게 하면 효율적일지도 알 수 있어 좋은 것 같다.

그리고 아이의 마음 역을 높이기 위한, 현명한 부모가 되기 위한 추천도서들이 나와 있어 같이 읽으면 도움이 될 듯하다.

 

P301 아이의 마음을 키우는 일곱 가지 대화 기술

1. 아이와 눈을 맞추고 끝까지 듣는다.

2. 나- 메시지로 이야기한다.

3. 아이의 관심사를 인정하는 말을 많이 하고 아이의 기분에 대한 공감을 자주 표시한다.

4. 부정적 신체언어를 쓰지 않는다.

5. 아이를 타이를 때도 '~해라, 하지 마라'식의 명령이나 금지의 대화가 아닌 세밀한 정보 공유의 대화를 한다.

6. 설교나 비난, 장황한 설명 등을 자제한다.

7. 부모의 의 견을 미리 제시하지 말고 스스로 결론을 내릴 수 있게 한다.

 

책을 읽으면서 아이에게 상처 주는 말을 참 많이도 했구나 하는 생각에 미안한 맘이 들었다.

그리고 특히 4번은 내가 자주 하는 행동이라 더 미안했다.

이야기를 듣고 한숨 쉬거나 얼굴을 찡그리는 것을 말하는데 아이가 부정적인 생각이 나 결론을 갖게 만든다고 한다.

 

아이가 어떠한 행동을 하든 공부를 잘하든 못하든 그것은 모두 부모 탓이다.

자주들 들어봤겠지만 부모는 아이의 거울 아니던가.

아이가 공부를 좋아하고 즐겁게 하길 바란다면 이제 아이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고 함께 모색해보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