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만 3세부터 행복을 가르쳐라 - 아이가 평생 행복하게 살기를 바란다면
우문식 지음 / 물푸레 / 2014년 11월
평점 :

아이에게 항상 친절하고 배려심 많은 엄마이고 싶어서
육아에 관련된 책을 보면 나도모르게 관심이 가고 읽고 싶어진다.
요즘 아이들은 너무 일찍부터 '공부' 및 학원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많이 받아
행복순위도 그다지 높지 않다.
공부도 중요하지만 첫째! 부모라면 내 아이만큼은 행복한 아이로 키우고 싶다는 마음 처럼
나 또한 그런 마음이 있기에 이 책을 읽어보고 싶었다.

부모의 과잉 보호로 온실의 화초처럼 자라게 하지 않고
아이가 자신에 대해 스스로 알고 실행하여 행복해 질 수 있는 방법들이 나와 있다.

부모들은 항상 얘기 한다.
"다 너 잘 되라고.."
그러면서 본인은 희생하고 아이에게만 모두 쏟아 붓는다.
단적인 예이지만 아이는 그럴싸하게 고급 브랜드 옷을 입히고 본인은 추레하게 입고 다니는 엄마들을 종종 본다.
아이의 공부를 위해서는 비싼 학원등록비는 마다 않고 본인을 위해서는 얼마를 투자하는가.
그런 부모를 본 아이들은 과연 어떤 생각을 갖고 우리의 아이들은 과연 행복하다고 느낄까?
한 예로 책에서는 회사에서 잘 나가던 엄마가 아이 육아 문제로 회사를 그만두고
처음엔 아이를 위해 온갖 정성을 쏟다가 결국엔 옛날 회사시절을 생각하며 좌절하고
아이는 엄마눈치를 보며 힘들어 하는 내용이 나온다.
어쩔 수 없는 우리나라 현실이지만 부모가 행복하지 않으면 아이 또한 행복 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 주고
나 또한 나부터 행복해야 겠다고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하는 부분이다.

이 책에는 여러가지 테스트가 나와있다.
그 중 '강점'에 대한 테스트이다.
테스트를 통해 아이의 강점을 발견 할 수 있고 어떻게 하면 발전시킬 수 있는지 자세히 나와 있다.
모든 이야기가 다 중요하고 나에게 도움이 됐지만
이 책에서 가장 중요하게 이야기 하는 것 중 하나가 '강점'이다.
자신의 강점을 아는 아이는 다른 아이들보다 잠재력을 월등히 발휘 할 수 있고 자신감을 갖고 강점을 발전시킬 수 있고 성취감도 맞볼 수 있다고 한다.

요즘 수도 없이 듣고 보는 이야기가 '자존감'이 아닐까 한다.
자신감과 자존감의 차이.
부모들은 이 부분에 대해 같은 것이라고 착각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P402 자존심은 남에게 굽히지 않고 스스로 자신의 인격을 유지하려는 마음. 즉 다른 사람보다 나은 자신의 상태를 비교하여 자신을 인정하려는 마음이다.
자존감은 자신이 사랑받고 존중받을 가치가 있는 소중한 존재라고 믿는 것. 스스로 자신을 사랑하고 존중하는 마음이다.
아이의 자존감을 살리기 위한다고 부모들은 과한 칭찬, 결과에 대한 칭찬을 많이 하는데
그것은 자존감을 위한 칭찬이 아니기 때문에 아이가 그 부분에 대해 실패를 할 경우
좌절에 빠져 그 상황에서 헤어나오기가 힘들다고 한다.
아이의 자존감을 위해선 노력을 칭찬하자.
P346 천재는 노력하는 사람을 이길 수 없다.
그리고 강점을 키울 수 있도록 해주자.
그러면 아이는 평생 행복한 사람이 될 수 있을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