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독서가 공부를 이긴다 - 사교육보다 힘센 독서력, 초등 독서가 대입까지 좌우한다!
정하나.박주일 지음 / 코리아닷컴(Korea.com) / 2014년 12월
평점 :
사교육보단 저학년은 책을 많이 읽어야 된다는 말에 백번 공감한다.
나도 소신이 있고 고집이 있는 편이지만 아이의 같은 반 엄마들이나 지인들이 만나서
"옆집 아이는 뭘 하고 있고..., 누구는 유명한 어디서 뭘 하더라..., 선행학습을 해야 한다.." 등등..
이야기를 듣게 되면 나도 모르게 불안한 맘이 생기기도 하고 '우리 아이도 어떤 것이든 해줘야 하나?'하고 생각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그래서 가끔 '독서'에 관련 된 책을 찾게 되는데
『독서가 공부를 이긴다』도 이런 나의 불안한 마음을 진정시켜 주는 데 큰역할을 해주고
내가 궁금해 했던 부분도 해결해 주었고 앞으로 어떻게 독서를 해야할 지도 알려주었다.
과거엔 나라를 발전시키기 위해 무조건 적인 주입식 공부였고 그렇게만 하면 먹고 사는데 큰 지장 없이 잘 살았다면
지금은 스토리텔링, 논술등 본인의 생각, 논리적인 표현등 책을 많이 읽지 않고는 어려울 수 밖에 없는 공부가 주를 이뤄가는 것 같다.
내가 아이에게 어떻게 해 왔는지 지금부터 아이에게 어떻게 해야 할지 많은 생각을 하게 했던 것 같다.
다행이 우리 아이는 책읽기를 좋아하는데 글쓰는 것은 별로 좋아하지 않아 앞으로 독후활동을 어떻게 시켜야 할지 조바심이 난 상태였다.
P150 저학년 아이들은 책 읽는 재미를 아는 시기로 책을 통해 무언가 중점을 두기보다는 책 읽기 자체를 즐기는 것으로 충분하다
조바심으로 인해 책을 읽고 있는 아이에게 책 읽기를 멈추게 하고 문제집을 하라고 한다던지, 다른 것을 먼저 하라고 했던 경우가 많은데
그랬던 나를 반성하게 하였다.
앞으로는 책 읽기를 주로 삼아 좀 더 책과 친해 질 수 있도록 해줘야 겠다고 생각했다.
궁금한 것을 못참는 성격인 나는 아이가 학교를 다녀와도, 혼을 내도 "왜?"라는 말을 아이에게 참 많이 한다.
그럼 아이는 아무말도 안하고 눈만 꿈뻑이며 나를 처다 본다.
생각해 보면 어른인 나도 "왜 그랬냐?"는 질문을 받으면 생각나지 않거나 이유가 없을 수도 있는데 너무 다그쳤던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요즘은 그런 일이 있을 경우 똑같이 행동 할 때가 많지만 그런 후에 "생각이 안나? 하라고 한거 잊었니?"하고 물으면 고개를 끄덕일 때가 많다.
아이가 책을 읽고 나면 가끔 내용을 물어보는데 잘 이야기 해 줄 때도 있지만 "엄마가 읽어!""잘 몰라"하고 이야기 할 때가 있다.
그럼 나도 모르게 아이에게 왜 읽고도 모냐고 화를 낼 때가 있었는데 위의 내용처럼 생각해 보니 나 또한 기억을 잘 못할 때가 많으면서 아이에게 또 왜 그랬을까..하고 후회하게 된다.
P231~2 아이에게 먼저 묻기보다는 엄마가 먼저 엄마의 생각을 말하면서 힌트를 주는 것이 좋다.
엄마가 먼저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표현하면 아이도 쉽게 대답할 수 있고 엄마처럼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 데 두려움을 느끼지 않고
자신 있게 말하려 할 것이다. 그런데 무조건 엄마가 묻기만 하면 아이는 대답이 잘 떠오르지 않고 어떻게 말해야 할지도 몰라 짧게
대답하기 일쑤다.
앞으로 아이에게 다그치는 것 처럼 물어보지 말고 내 생각을 먼저 이야기 하는 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겠다.
P277~278 부모가 자녀들에게 가장 바라는 점인
올바를 가치관을 가지고 험난한 세상을 지혜롭게 헤쳐 나가는 능력을 갖추는 것일 테다.
따라서 독서 교육은 아이들이 삶의 문제를 해결하는 통찰력을 키울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며 부모가 줄 수 있는 최고의 선물이다!
에필로그의 이야기를 적극 공감하다.
아이가 그런 능력을 갖추고 살아갈 수 있도록 앞으로도 어느 곳에서든 책과 함께하는 시간을 꼭! 만들어 줄 수 있는 엄마가 되어야 겠다고 다짐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