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 줄의 기적, 감사일기 - 쓸수록 힘이 나고 매일매일 행복해지는 감사일기의 기적!
양경윤 지음 / 쌤앤파커스 / 2014년 12월
평점 :
쓸수록 힘이 나고, 매일매일 행복해지는, 감사일기의
기적!
Thanks Diary
한 줄의
기적,
감사일기
-양경윤 지음-
쌤앤파커스

2014년 후반에 목표는 가계부쓰기와 책읽기인데 그럭저럭 아직까지 잘 지키고 있다.
2015년 목표 중 하나! 일기쓰기였는데 '한 줄의 기적, 감사일기'를 만나게 되었다.
우리가 흔하게 쓰는 그런 일기가 아닌, 처음 접해보는 감사일기.
감사일기는 제목처럼 하루에 있었던 감사함과 미래의 감사함을 일기로 쓰는 것이고
일기를 쓰는 방법, 감사일기를 쓰면 좋은 점, 일기를 쓰면서 있었던 경험, 공유하며 쓰는 방법등이 소개되어 있다.
P58~59
좋다 vs. 나쁘다
저는 아주 단순하게 '좋다'는 말은 '조화롭다'라는 의미와 연결 짓고, '나쁘다'는 '나
뿐이다'라는 의미와 연결해 설명합니다.
나는, 우리는, 어른들은
좋은 사람인가, 나쁜 사람인가?
나는 조화롭게 사나,
나뿐인 삶을 사나?
이 글을 읽으며 나는 과연 어떤사람인지 생각해 보게 되었다.
사람이 살아감에 있어 세상은 나 혼자 살 수 없다는 것을 잘 안다.
그리고 어디서든 사람들을 만나게 되고 부딪히면서 살아간다.
책의 저자는 감사일기를 쓰면서 모든 것을 잘 해나가지만 그중에 '말투'로 인해 마이너스가 되었던 이야기를 한다.
나도 '말투'와 '욱'하는 성질로 인해 마이너스가 된 경험으로 공감이 많이 갔었다.
여러 사람들과 어우러져 살아가는 삶이라면 긍정적인 감사하는 마음으로 좋은 사람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감사일기와 감사요청 일기에도 계속 적고 상기해야 겠다는 생각을 했다.
- 오늘도 제가 상냥한 말씨로 아이와 함께 대화를 나눌 수 있어 아이 또한 저와 즐겁게 대화 한 것을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
감사일기를 쓰는 것도 원칙이 있다.
P128
원칙1. 한 줄이라도 좋으니 매일 써라.
원칙2. 주변의 모든 일을 감사하라.
원칙3. 무엇이 왜 감사한지를 구체적으로 작성하라.
원칙4. 긍정문으로 써라.
원칙5. '때문에'가 아니라 '덕분에'로 써라.
원칙6. 감사요청일기는 현재시제로 작성하라.
왜 이런 원칙을 지켜야 해? 하고 처음 나도 의문이 생겼지만 자세한 설명이 뒷부분에 나와있어 그럴 수 밖에 없는 이유가 이해가
갔다.
책을 읽으며 매일은 아니지만 감사일기를 쓰기 시작했다.
원래 사람 마음가짐에 따라 하는 행동이 달라지긴 하지만 긍정적인 감사의 글을 써서일까.
일기를 쓴 다음날은 내가 더 느긋해지고 아이에게 화도 덜 내게 되는 것 같았다.
감사일기는 항상 긍정적으로 써야 한다. 그리고 반성보다는 감사함에 촛점을 맞춰 써야 한다.
그럴 수록 불평불만도 사라지고 모든 것이 긍정적으로 보이게 되는 것 같다.
2014년이 끝나갈 무렵.
나에게 '감사 일기'는 2016년 새해를 맞이하기 전 좋은 선물이 되었다.
앞으로 꾸준히 '감사 일기'를 쓰면서 긍정적으로 조금씩 변화된 모습을 보게 되었으면 하고 바라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