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등학생을 위한 청소년 글쓰기
김세연 지음 / 푸른영토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 청소년의 글쓰기

작가: 김세연
분류: 글쓰기
출판년도: 2014년
출판사: 푸른영토

청소년이 왜 글쓰기를 배워야 할까?


📝“글쓰기는 아무것도 아니다.당신이 할 것은타자기 앞에서 피를 흘리는 것이다.” ‘노인과 바다'와 ‘무기여 잘 있거라'를 쓴 헤밍웨이의 말이다.그는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자랑이다. 그는 ‘노인과 바다’초고를 쓰고 400번이나 퇴고를 했다고 할 정도로 퇴고를 중요하게 말했다.요즘 청소년들이 초고도 못 쓰는 데 무슨 퇴고를 할 수 있을까? 컴퓨터 자판기 앞에서 피를 흘리기 싫어서 글쓰기를 안하는 것인지? 청소년이 왜 글을 써야하고 어떻게 써야 할까? 글을 잘 쓰고 싶다면 꼭 읽어 볼 책이다.


📚11쪽,논술시험에서도 글쓰기는 필요하다. 논술시험의 목적이 무엇이겠는가? 자신의 지식을 논리적으로 얼마나 잘 풀어내는가를 보려는 시험이다. 어떤 학생들은 논술은 지식만 많으면 잘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그렇지 않다. 지식이 많은 것과 그 지식을 풀어내는 일은 엄연히 다르다.


📚286쪽,글도 마찬가지다. 논리적인 글을 쓰기 위해서는 우선 목적지가 있어야 한다. 그럼 글에서 목적지는 무엇일까? 바로 주제다. 글을 쓰는 사람이 읽는 사람에게 하고 싶은 말. 바로 내가 하고 싶은 말을 아는 것이 처음 필요하다.그다음에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만약 당신이 어떤 목적지를 가야 한다면 버스를 타는지 기차를 타는지 결정해야 한다. 수단을 정해야 한다. 글에서도 이것이 필요하다. 세부적인 계획. 어떻게 목적지에 도착할지 예상해야 한다. 이것을 ‘개요’라고 한다. 교과서에서는 이 세부적인 계획을 ‘서론─본론─결론’이라고도 하고, ‘기승전결’이라고도 한다. 둘은 특별히 다르지 않다.


📝힘 있는 글을 써야 한다.짧게 쓰자.줄여 쓰자.과하면 부족한 것만 못하다.끝이 좋으면 다 좋다.이해하기 쉬운 글을 써야한다.낱말이 쉬워야 글이 쉽다.쉬운 문장을 써야 한다.사막에 오아시스를 만들듯 써야 한다.논리적인 글을 써야 한다.좋은 글을 모방해서 베껴 쓰며 연습해야 한다.고쳐 쓰고 무조건 고쳐 써야 한다.잔 머리가 아니라 가슴으로 써야 한다.이것들이 대략 저자가 말하는 글쓰기 방법이다.당연한 말이다.백퍼 공감이다.



📝나는 학생들을 가르치니 청소년들의 글을 매일 본다.학생들이 쓴 글이 짧으면 400-500단어이다.보통은 600-700단어 정도이다.길면 1500단어 내외의 글도 있다.더 긴 ib 졸업을 위해 써야하는 4000단어 정도의 소논문도 읽는다.읽을 때마다 깜짝 놀란다.요즘 청소년들의 글쓰기 실력은 부모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못 쓴다.영상은 스마트폰을 비롯 해 영상매체에 노출돼 자랐기 때문에 생각하기를 싫어한다.머리 속에 생각이 없는데 글이 잘 써지는게 이상한거다.학생들은 수학문제 푸는 것보다글쓰기를 더 힘들어 하는 것 같다.맞춤법을 틀리게 쓰는 게 문제가 아니다.간결하게 쓰라고 해도 길게 늘려서 쓴다.한 문단을 쓰는 데 시간도 너무 오래 걸린다. 자기의 생각을 제대로 정리도 안하고 개요없이 무슨 소리인지도 모르게 쓴다.괜히 어려운 단어를 선택하고문장을 어색하게 만든다.논리가 없어서 주제 전달도 잘 안 된다.사실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풀어 쓰는 일이 힘든 일이다.청소년만 그럴까? 어른들도 글을 잘 안 쓰면 별반 다르지 않다.



📝손흥민이 축구를 잘하기 위해서는 공을 차는 연습을 얼마나 했을까? 마이클 조던이 농구공을 골대에 골인 시키기 위해서는 수천 수만 번 공을 던졌을 것이다.글쓰기라고 다를까? 태어나면서부터 펜을 잡고 태어나 글을 잘 쓰는 사람을 상상하지 말아야 한다.자판기 앞에서 피를 흘리는 고통을 인내했기 때문일 것이다.청소년들이 알아야 한다.쓰는 연습을 하지 않고 잘 쓸 수 없다.농구공으로 슈팅하는 연습없이 던지는 공이 골문으로 빨려들거라는 마법을 기대해서는 안 된다.



#청소년의글쓰기#김세연#푸른영토출판#글쓰기방법#ib독서논술#책스타그램#독서스타그램#밀리의서재#책소개#독서#서평촌#싱가포르#국제학교#ib한국어#UWCSEA#CI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