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가 대체 뭔가요? - 세상에서 가장 정확하고 간결한 자본주의 설명서
조너선 포티스 지음, 최이현 옮김 / 아날로그(글담) / 2019년 7월
평점 :
절판



<자본주의가 대체 뭔가요?># 밀리의서재


제목: 자본주의가 대체 뭔가요?
저자: 조너선 포티스 저/최이현 역
분류:경제/경영
출판년도:2019년
출판사:아날로그(글담)


자본주의 사회에 대한 간결하고 명쾌한 이해


📝돈은 ‘빚'인가 ‘빛인가’? 경제학을 공부했거나 돈의 통화량에 대한 이해를 하는 사람이라면 돈이 빚이라는 말을 이해한다.그런데 우리는 돈을 ‘빛’으로 생각하고 산다.돈이 최고로 추앙받는 자본주의 사회에 살고 있으니 돈으로 생명을 살리기도 하고 남의 생명을 빼앗기도 한다.자본주의 사회,민주주의 사회에 살고 있다고는 하지만 자본주의가 뭔지 잘 모른다.우리가 하루 하루 먹고 살기 바쁘다고 개인주의로 살다보니 우리 사회가 자본주의이든 민주주의이든 사회주의이든 신경 쓸 겨를이 없는 것도 사실이다.


📝자본주의는 ‘생산 수단을 자본으로서 소유한 자본가가 이윤 획득을 위하여 생산 활동을 보장하는 사회 경제 체제'라고 한다.이게 뭔 말인지? 경제학자도 아니고 일반인들이 자본주의의 의미를 제대로 알고 말하기 쉽지 않다.자본주의 사회에 살면서 자본주의가 뭔지 모른다는게 아이러니하다.자본주의에 대한 개념을 잡기 좋은 책을 찾다가 친구한테 추천을 받아 밀리의 서재에서 찾아잘 읽은 책이다.


📝킹스칼리지 경제학 교수 조너선 포티스가 ‘자본주의가 대체 뭔가요’를 통해서 자본주의에 대해서 50개의 키워드로 명확하게 설명해 준다.번역책인데 문장이 깔끔하며 간결하고 자본주의에 대한 대략적인 개념을 잡기 좋은 책이다.고등학생이나 대학생이 읽어도 좋고 나같은 일반인이 교양으로 읽기에도 정말 좋다.


📝재산과 재산권,자유시장,자본,노동,화폐,독점 등 기본 자본주의에 대한 개념 설명이 아주 잘 되어 있다.또 기업,은행,중앙은행,노동조합 등 자본주의의 여러 제도들에 대한 설명도 좋다.주식시장,금융시스템,금융위기,부채 등 우리가 관심을 많이 갖는 금융시장에 대한 설명도 잘 되어 있다.경제 뿐만 아니라 정치 개념도 설명하는 데 민주주의와 경제 관련 해설은 꼭 읽어 볼만한 부분이다.사회주의,마르크시즘,케인즈 혁명,복지국가,제국주의와 식민지 주의 ,전쟁 등 어느 하나도 경제와 연결되지 않은 일들이 없다.사회 문화적 측면에서 자본주의를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 소비지상주의와 실업의 문제나 인간의 탐욕과 불평등에 대한 저자의 통찰도 볼 수 있다.자본주의 사회의 미래에 대한 생각을 밝히며 저자는 앞으로 자본주의는 사라지기 어렵고 이걸 대체할다른 대안이 아직은 없다고 말한다.


📚58쪽,누구나 (상대적으로)잘 하는 것이 있으므로,자신이 (상대적으로)잘 하는 일에 집중해야 한다는 통찰은여전히 유효하다.


📚268쪽,행복 방정식
돈으로 행복을 살 수 있을까? 사실을 말하면그렇다.평균소득이 높은 나라일수록 행복 수준이 더 높고,같은 나라에서도 소득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다고 조사 되었다.그런데 높은 소득보다 다른 것들(특히 인간관계,건강,만족스러운 직업 등)이 훨씬 중요하다.몹시 가난한 경우가 아니라면 돈보다 사람이 중요한 것 같다.이 모든 것으로 알 수 있는 사실은 정부가 경제 성장,실업,빈곤을 걱정하는 것은 타당하지만 ,개인들의 경우 만족스러운 직장에 다니고 있다면 연봉은 우선 순위 목록에서 상당히 낮은 곳에 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283,가난은 두려움과 스트레스,그리고 때로는 절망을 동반하다.가난은 수많은 굴욕과 고통을 의미한다.혼자 힘으로 노력해서 가난에서 벗어난다면 스스로 자랑스러워할 일이지만 ,가난을 낭만적으로 표현하는 것은 어리석은 사람이나 할 행동이다.


📚284쪽,자본주의는 개발 도상국의 수많은 사람들을 가난에서 벗어나게 해준,사실상 가장 훌륭하고 어쩌면 유일한 제도이다.


📝칼 마르크스는 “돈은 신도 못하는 일을 해낸다"고 했다.자본주의 사회에서 돈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려주는 말이다.우리는 돈은 많이 있으면 있을수록 행복감을 더 많이 느낄 것으로 생각한다.그런데 행복지수가 최고점을 찍는 소득수준은 대략 연봉 1억 정도라고 한다.그 때까지는 돈으로 행복해지지만 소득이 어느정도 이상이 되면 행복감이 소득과 비례해서 증가하지 않는다고 한다. 아마도 상대적 빈곤이라는 또 다른 차원의 빈곤에 불행하게 될 수도 있기 때문일 것이다.우리가 자본주의 사회에 살면서 불행하지 않고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도록 사회와 개인은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