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윤기는 1990년대와 2000년대에 활약한 소설가이다. 소설가로 먼저 데뷔했지만 번역가로 명성을 떨치고 신화 관련 저작으로도 일가를 이루었다. 대학시절에 그의 소설을 몇 권 읽었다. 기억을 더듬어 떠올려 보면, <하늘의 문>(3권) <뿌리와 날개> <만남> <진홍글씨> <나비넥타이> <내 시대의 초상> 정도가 내가 읽었던 소설들이다. 여기서는 그가 처음 펴낸 장편소설 <하늘의 문>에 대해서 아주 사적인 독서 체험을 이야기할 것이다.

 

20대에 읽었던 이윤기의 소설을 과연 제대로 이해했을까? 그의 소설은 난해하다거나 자의식으로 충만하다거나 형식적 전위를 내세우지 않았다. 겉으로 봐서는 어려워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소설을 통해 그가 질문하고 있는 메시지들은 20대의 천둥벌거숭이인 나로서는 온전히 소화할 수 있는 게 아니었다고, 지금에서야 말할 수 있을 듯하다.(《나비넥타이》와 《두물머리》에 실려 있는 단편 몇몇은 경험의 잣대가 아니고는 이해하기 어려운 구석이 있다.) 이는 그가 젊은 나이에 소설을 쓰지 않은 것과 무관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70년대에 등단했지만 활발히 소설을 창작한 시기는 90년대 이후이다. 그때 그의 생물학적인 나이는 이미 40대 중반을 넘어선다.) 한국 문단이 20대에서 30대의 젊은 작가들을 집중적으로 조명하고 선호한다는 점에서, 그는 유별난 존재였다. 더군다나 몇십 년 동안 번역가로서 쌓은 공부의 내공을 소설 속에 온전히 투영시켰다는 점에서, 매우 지적인 작가로 평가되기도 했다.

 

이 글을 쓰고 있는 이 순간, 나는 그의 소설을 구체적으로 말할 수 없다. 딱 그만큼만 이야기할 수 있기를 바란다. 그나마 기억에 남아 있는 작품도 <하늘의 문>, <뿌리와 날개>, <만남> 정도다. 특히 처음 쓴 장편소설 <하늘의 문>은 그가 쓴 소설들의 총론이라고 할 수 있는 작품으로서 그의 삶의 경험이 오롯이 반영된, 세계에 대한 전면적인 인식을 겨냥한 야심작이다. 주인공 이유복은 한국과 미국을 떠돌면서 살고 있으며 자기 시점에서 삶의 내력을 이야기한다. 소설을 끝까지 일관하고 있는 모티프는 젊었을 적 사랑했던 여자와의 헤어짐과 재회하기까지의 이야기다. 이별은 이야기-과거에 존재하고, 이야기-현재 속에서 이별은 그의 삶 전체를 관통하고 있는 화두이다. 한마디로 말하자면, 이 소설은 연애소설이다. (소설의 정수는 연애소설이다. 이건 대중음악의 정수가 사랑노래라는 것과는 차원과 유를 달리한다. 밀란 쿤데라의 소설를 보라.) 그리고 그 여인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 그를 찾고 있다.

 

<하늘의 문>은 ‘저자 후기’에서도 짐작할 수 있듯이, 이윤기가 살아온 개인적 삶과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다. 주인공은 동서고금의 신화와 종교의 프리즘을 통해 자기 삶을 이야기하고 있으며, 이러한 서술은 저자로서의 이윤기의 에세이즘에 맞닿아 있다.(실제로 그는 읽을 만하며 품격 있는 에세이를 쓴 몇 안 되는 작가이다.

 

인문적 교양과 이를 통한 삶과 문화의 이해를 서술 차원에서부터 전면화하고 있는 그의 소설 속 진술은 간혹 에세이에서도 발견된다. 이에 대해서는 이윤기도 고백한 바 있다. 자기가 했던 얘기를 다른 작품에서도 똑같이 반복하고 있더라고.) 베트남전쟁에 대한 주인공의 사적인 경험이 이야기되고 있다는 점도, 저자 이윤기와 주인공 이유복을 겹쳐 볼 수 있는 이유이다. (한국소설에서 베트남전쟁이 개인적인 경험 차원에서 형상화된 예는 없는 듯하다. 베트남전쟁을 다루고 있는 한국소설들은 작가의 경험을 주로 역사적 차원으로 밀고 나간다. 이를테면 <하늘의 문>의 주인공 이유복은 베트남전쟁의 포화 속에서 한가롭게도 헤밍웨이와 오헨리, 포크너를 원서로 처음 접했다고 말한다. 여기서 베트남전은 역사적 경험으로 환원되지 않고, 비로소 개인적인 경험으로 이야기된다. 이것은 이윤기 소설이 한국 문단 속에서 자리하고 있는 위상과도 관련되는데, 그와 연배가 비슷한 작가들이 분단 현실 같은 역사적 상상력의 자장 속에서 창작의 영토를 개척했다면 이윤기는 이와는 다른 지점에서 자기 자리를 마련한다. 그가 70~80년대가 아닌 90년대에 들어서야 소설가로서의 입지를 다졌다는 점도 이런 부분에서 이해할 수 있다.)

 

이윤기 소설의 장점이기도 하지만 또한 문제로 지적할 수 있는 것은 서술자가 너무 똑똑하다는 점이다. 이는 모든 걸 알고 있다는 전지적 서술자와는 개념적 범주가 다르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전지적 서술자는 굳이 신화와 종교 상징에 대해 애써 말해 주지 않는다. 만약 그렇게 한다면 독자들은 서술자의 존재를 눈치챌 것이고 서술의 투명성은 깨지고 만다. 이윤기 소설에서 1인칭 서술자가 자주 등장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하늘의 문>의 자전적 특징은 작가의 체험이 반영됐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기보다는, 작가의 체험(이윤기의 삶의 연대는 파란만장했던 한국 현대사와 궤를 같이한다.), 번역과 오랜 공부를 통해 온축된 사람살이의 복잡한 이치에 대해 그 나름대로 해석의 활시위를 당기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이유복은 (옛)사랑을 다시 만났던가? 이유복의 아들은 그를 찾아냈던가? 우리의 오디세우스는 스스로 제시한 수수께끼를 풀고 페넬로페와 재회할 수 있었을까? <하늘의 문>은 이윤기가 자신의 ‘쿵푸’를 정리하면서 허구의 세계로 발을 디딜 무렵에 쓴 흥미로운 텍스트이자, 그만의 <오디세이아>인 것이다.

 

이윤기 선생이 8월 27일 심장마비로 별세하셨다. 선생은 내 아버지 세대이다. 그래서 선생의 글을 더 좋아했는지도 모른다. 아버지 세대의 점잖고 따뜻한 목소리가 그리울 때 선생의 책을 들춰보게 될 거 같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빈다.

 

 

 

 

“영웅은 어디로 귀환하는가?”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