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들의 죄 밀리언셀러 클럽 127
로렌스 블록 지음, 박산호 옮김 / 황금가지 / 201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늘은 참 의미있는 날입니다. '로렌스 블록'이라는 추리소설의 거장과 '매튜 스커더'라는 묘한 매력을 지닌 탐정을 새로이 만난 날이기 때문입니다.

 

저는 항상 아무런 사전 지식없이 책을 보는 걸 즐깁니다. 왠지모를 선입감에 재미도 없으면서 단지 거장이라는 이유만으로 재미있었다는 최면을 걸고 싶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무식을 폭로하는 셈이지만 이 책을 읽기 전까지 '로렌스 블록'이라는 작가에 대해 전혀 알지 못했고, 다른 책을 읽을 때와 마찬가지로 아무런 준비없이 책을 읽어 나갔습니다.

 

처음 스마트폰이 난무하는 현재의 미국인 줄 알고 읽어 나갔다가 70년대를 배경으로 한 소설이라는 걸 알고 멋적은 느낌을 갖기도 하고, 미국의 70년대 하면 하드보일드나 마피아 이런 걸 떠올리며 아버지는 곧 대부니까 무언가 기관단총을 난사하는 마피아 소설로 생각하기도 했다가 멍해지기도 했습니다. 지금까지 만난 하드보일드와는 무언가 차별화되는 탐정소설, 그게 바로 '매튜 스커더'가 활약하는 시리즈의 특성이 아닌가 싶습니다.

 

'매튜 스커더'는 무신론자에다 냉정하고 버번(옥수수와 호밀로 만드는 미국산 위스키라고 하네요*)을 좋아하는 애주가이지만 자신의 양심과 사회의 선과 악에 대한 확신을 가지고 있는 70년대 미국의 살아있는 양심입니다. 세상과는 타협할 줄 알지만 진정으로 지켜야 할 사회정의가 무엇인지 알고 있는 사람. 그게 바로 '매튜 스커더'입니다. 40여년이 지난 지금도 세상에 이런 사람이 하나 정도는 있어야 하지 않을까요?

 

이 소설은 미스테리 소설로서는 드물게 인간과 가정에 대한 많은 고민을 안겨줍니다. 작가 '로렌스 블록'은 이 작품을 통해 우리에게 어떤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한 것일까요? 여기 한 여자의 아버지와 한 남자의 아버지가 있습니다. 이 두 아버지는 과연 자식들에게 어떤 상처를 안겨주었을까요? 자신의 신념, 행위, 위선, 자기합리화...심지어 사랑까지도 잘못된 결과를 이끌어 낼 수도 있다는 현실을 우리에게 말해주는 듯 합니다.

 

나 역시 한 사람의 아버지로서 미스테리 외적인 측면에서 다시한번 내 위치와 역할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었습니다.

 

잔인하게 살해당한 한 여자의 일생을 조사해가며, 탐정 스커더는 감추어질뻔한 진실을 대면합니다. 그리고 죄를 받을 자에게 가차없는 징벌을 가합니다. 과연 어떤 아버지가 그의 재판을 받게 될까요?

 

이 소설의 제목 '아버지의 죄'는 소설 전반에 걸친 작가의 의문에 대한 해답입니다.

 

이 사건을 수사한 사립탐정 '매튜 스커더'의 관점에서 보자면 이 소설의 결말은 이렇습니다.

 

"사건은 결국 만족스럽게 해결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