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골성 동서 미스터리 북스 110
존 딕슨 카 지음, 전형기 옮김 / 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 200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딕슨 카>는 초창기 추리소설의 선구자 중 한 사람으로 추리소설의 발전에 한 획을 그은 대 작가입니다. 특히 트릭을 중심으로 한 본격 추리소설의 대가로 괴기스러운 분위기와 접목한 그의 추리소설기법은 동시대 다른 지역에서 추리소설 작가로 꿈을 키우고 있던 요꼬미조 세이시에게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그래서인지 요꼬미조 세이시의 작품의 단골테마인 일본색의 기이한 공포스러움이 가미된 작품들과 딕슨 카의 <해골성>의 분위기가 상당히 닮아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요꼬미조의 작품에서도 이러한 괴기스러움은 작품의 재미를 한 층 높이는 효과가 있듯이 딕슨 카의 작품에서도 기괴함은 한층 더 작품을 매력적으로 만들어 놓고 있습니다.

 

라인강을 바라보는 고성...마치 해골의 모습과 비슷하다하여 그 이름도 <해골성> 게다가 그 해골성의 주인은 전대미문의 마술사 메이르쟈...이쯤하면 벌써 머리속에 떠오르는 이미지가 있는데 바로 긴다이치 하지메 즉 소년탐정 김정일 틱한 분위기입니다. 뭐 물론 후자가 전자의 영향을 받은 거지만요. 근데 참 묘하게도 이 해골성에 등장하는 두명의 명탐정 - 방코랑과 폰 아른하임 남작 - 의 추리 대결 구도 역시 김전일과 아케치 경시와 참 비슷해 보입니다.

 

복수 또는 다수의 탐정들이 추리대결을 펼치는 작품이야 이 작품 말고도 많겠지만 <해골성>에서는 거의 두 사람의 탐정이 박빙의 승부를 펼쳐보입니다. 불운하게도 주인공에서 한 걸음 부족한 사람이 결국 문제의 핵심인 진범을 밝혀내는데는 실패하지만 말이죠. 마지막에 진범이 밝혀지는 순간 느끼는 놀라움은 요즘 기준으로는 조금 약할지 몰라도 상당히 놀라운 수준임엔 분명합니다.

 

추리소설의 고전이지만 상당히 재미있고 현시대에 읽어도 전혀 어색하지 않습니다. 범인이 과연 누굴까 생각해보는 재미도 있고, 앞서 언급했듯이 두 탐정의 추리대결도 흥미진진합니다. 특히나 고전이기에 추리소설의 역사를 안다는 관점에서도 상당히 좋은 기회일 듯 하네요.

 

이어 소개된 단편 <뛰는 자와 나는 자>는 편하게 읽어가는 단편입니다. 딕슨 카의 재능을 다시한번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