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의 손은 붉게 물들고 매드 픽션 클럽
미치오 슈스케 지음, 이영미 옮김 / 은행나무 / 2010년 7월
평점 :
품절


미치오 슈스케는 상당히 놀라운 작가인 것 같습니다. 이미 <해바라기가 피지않는 여름>에서 한번 놀란 적이 있지만 이 놀라움은 여기 이 작품에서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이 작품은 대단히 사회성을 많이 띄고 있는 작품이긴 하나 놀라운 반전이 돋보이는 미스테리 본연의 요소에도 충실한 작품입니다. 이미 붕괴되어 버린 두 가정...대비 또한 이 보다 더 선명한 구도일 수가 없습니다. 재혼한 엄마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피도 안섞인 남자와 가족이 되어버린 오누이 그리고 엄마의 사고사에 이은 아빠의 재혼 그리고 아빠의 사망을 통해 피도 안섞인 여자와 가족이 되어버린 형제.

실제로 이런 일이 있을까 싶지만 또 한편으로 생각해보면 우리나라에서 조차도 절대 불가능한 일은 아닌 설정이 참 돋보이는 것 같습니다. 따라서 앞에서 가정의 붕괴라고 표현했지만 실상은 붕괴라기 보다 불균형과 언제 파괴되어버릴 지 모르는 긴장감이 형성된 가정이라는 것이 더욱 맞는 표현일 것 같습니다.

그리고 약간의 시간의 균열을 주는 작중 구성이 독자로 하여금 더욱 집중도를 높여 줍니다. 예를 들어 소에키다 렌의 시간 이후 등장하는 다쓰야의 시간은 다시 다쓰야의 관점에서 처음부터 흘러갑니다. 따라서 렌이 이런 저런 일을 하고 있을 때 동시에 다쓰야의 행동을 우리는 알 수 있는 것이죠. 이게 별거 아닌 것 같아도 이러한 미스테리에서는 상당한 효과를 유발시킵니다. 

즉 한 단락이 끝났다 해서 그걸로 끝이 아니라는 것이죠. 다시한번 다른 사람의 눈을 통해 시간은 되돌려지고 전자의 시간에서 알 수 없었던 사실을 이 사람의 시각을 통해 알게됩니다. 그래서 더욱 긴장감은 끈끈히 유지되고 몰입도는 깊어만 갑니다.

이 작품에서 용과 비는 두 가정이 가지고 있는 갈등적 관계를 심화시키고 해소시키는 매개체의 역할을 합니다. 무엇을 상징한다고는 정답은 없는 것 같습니다. 

제가 느끼기에는 용은 다쓰야, 게이스케 형제가 죽어서 하늘로 승천했다고 믿는 엄마의 존재입니다. 아마도 두 형제는 결국 용을 보았던 것입니다. 그리고 그들 가정의 붕괴는 치유됩니다. 비는 렌과 가에데의 고난을 상징합니다. WORST는 아직 오지 않았다는 렌의 절규는 참 가슴에 와닫는 절박함이 있더군요. 안타깝게도 이들의 치유는 그치지 않는 비만큼이나 그 끝을 알 수가 없습니다.

처음에는 작가 특유의 음울한 분위기에 쩔어서 왠지 좀 꺼림칙 한면도 없진 않았지만 결국 엄지손가락을 들고야 말았습니다. 참 대단한 작가와 괜찮은 작품이란 생각이 새삼 다시 드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