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버설 횡메르카토르 지도의 독백 미스터리 박스 1
히라야마 유메아키 지음, 권일영 옮김 / 이미지박스 / 2008년 6월
평점 :
품절


저에게는 다소 생소한 작가인 히라야마 유메아키의 단편 모음집 <유니버설 횡메르카토르 지도의 독백>은 2007년 <이 미스테리가 대단하다> 1위를 수상했던 작품입니다. 그만큼 독자들에게 인정을 받은 작품이라는 뜻인데요. 하지만 이 책을 읽는 독자라면 의외로 상당히 당혹스러움을 많이 느낄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이 단편 모음집은 추리라기 보다는 호러에 가깝습니다. 그것도 요네자와 호노부의 단편집인 <덧없는 양들의 축연>의 섬뜩한 공포와는 전혀 다른 미친 광기의 호러라고 볼 수 있습니다. 무척이나 잔혹하고 전체적으로 미친 분위기가 존재하는 작품입니다(모든 단편이 다 그런 것은 아니지만 전반적인 분위기는 분명 그러합니다.)

특히 <끔찍한 열대>와 <괴물같은 얼굴을 한 여자와 녹은 시계같은 머리의 남자>의 잔혹함은 상상을 초월하는 듯 합니다. 고문을 하며 부러지는 뼈와 찢겨나가는 살들이 마치 귀에 들릴 정도로 생생하게 묘사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이 두 작품은 그저 잔인하고 잔혹하기만 할 뿐 무슨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하는 건지는 솔직히 잘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습니다.

<에그맨>과 <오퍼런트의 초상>은 근 미래를 배경으로 한 작품으로 그나마 약간의 미스테리 요소가 담겨져 있습니다. <오퍼런트의 초상>은 왠지 크리스찬 베일이 주연한 <이퀼리브리엄>이 생각나는 작품입니다. 인간의 감정을 통제해 질서를 유지하고 이에 동조하지 않는 사람들은 범죄자로 취급한다는 설정이 이제는 다소 식상해져 아쉬움이 남았지만 마지막 반전 코드는 그래도 전 작품 중에 가장 나았습니다. <에그맨>역시 튀는 작품은 아니지만 반전 코드는 아쉽지 않게 들어있어 좋았구요.

이 작품의 타이틀이기도 한 <유니버설 횡메르카토르 지도의 독백>은 지도의 입장에서 연쇄 살인마를 바라보는 독백이라는 설정은 참 참신한 것 같긴 한데, 사건이나 살인마의 내면에 대한 설명이 없어 그저 독백으로 흘러버리는 우를 범하고 있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입니다. 아니면 원래 딱히 하고 싶은 말은 없었던 게 아닐까 싶기도 하구요.

<니코틴과 소년, 거지와 노파>는 위선과 잔인함에 결국 동조해 가는 아이의 모습에서 인간의 본성이란 원래 이런 것이다라는 것을 표현하는 듯 합니다. <Ω의 만찬>은 좀 퀄리티가 떨어지는 것 같고...제가 소시적에 할머니가 떠 주신 소의 뇌를 좀 먹어봐서 아는데 아무리 소설이 허구라고는 하지만 뇌가 위 속으로 들어가면 결국 영양분은 다 흡수되고 나머지는 다 나오게 되어 있는 것인지라 결코 납득이 가지 않았습니다. 

마지막으로 <소녀의 기도> 역시 전체적인 광기의 분위기에서 살인자를 통해 구원받은 참 문제많은 소녀의 이야기가 펼쳐지지만 딱히 공감가는 포인트는 없습니다.

이 작품의 평은 극과 극을 달린다고 합니다. 저 역시도 읽을 때는 그런대로 재미있게 읽었는데 막상 글을 쓰고 보니 딱히 좋은 말이 없는게 이상할 정도입니다. 바로 이게 이 단편 소설집의 장점이자 단점이 아닐까 싶네요. 

의외로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나 가슴에 남는 것은 없지만 잔혹과 광기의 매력에 빠져 읽는 순간에는 책장을 빨리 넘기게 되는 작품이라고 표현하고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