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얼어붙은 송곳니 ㅣ 시공사 장르문학 시리즈
노나미 아사 지음, 권영주 옮김 / 시공사 / 2012년 1월
평점 :
절판
저는 미스테리 소설을 좋아하기 때문에 이 소설이 진정한 미스테리라 보기 힘들다고 보고 있습니다. 따라서 아주 뛰어난 미스테리 소설이라고는 볼 수 없지만 소설 자체적인 작품성을 놓고 볼 때는 분명 아주 뛰어난 작품임에는 틀림없습니다. 일본 내에서도 나오키상을 수상했을 정도로 작품성을 인정받은 바 있는 작품입니다.
이 소설은 작가와 주인공이 모두 여성이다보니 아무래도 여성의 심리에 치중합니다. 특히 오토미치라는 기수대 소속 여자형사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모든 것 - 경찰사회, 결혼, 가족, 범죄, 동물 등등 - 에 대한 감상과 생각으로 지면 구석구석 풀어놓았습니다. 간혹 그녀의 황제펭귄 파트너인 다키자와의 입장에서 서술된 심리묘사도 있지만 그건 그저 남성들의 선입관을 재확인하는 것 외엔 별다른 감상이 느껴지진 않습니다. 즉 이 작품은 오토미치를 위한 작품입니다.
형사가 등장하고 연쇄살인이 벌어지지만 이 소설은 미스테리 소설이라고 느껴지진 않습니다. 왜냐면 사건 자체가 이 소설의 핵심주제가 아니기 때문이죠. 사건 해결이 주 목적이 아니라 이 사건의 시초부터 결말까지를 바라보는 여형사 오토미치의 생각 자체가 소설의 핵심입니다. 따라서 작가는 애시당초 독자들에게 사건해결의 수수께끼나 실마리 등은 일체 내보이지 않고 범인도 자연스레 밝혀지는 과정을 그려내고 있습니다.
물론 오토미치와 다키자와 조가 이것저것 밝혀내긴 합니다만 그게 중요한 것이 아닙니다. 차라리 이 작품에서는 주인공을 비롯한 수백명의 형사들이 발품파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범인의 실체가 다가갑니다.
다시말해 범인이나 사건에 대해 별다른 고민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리고 범인의 실체나 실행방법, 동기 등이 전문 미스테리 소설에서는 좀체 보기 힘든 약간 어설픈 감마저 느껴지기도 합니다. 거의 인공지능을 갖춘 로봇 같은 <질풍>의 모습도 솔직히 납득이 안갑니다.
그러나 이러한 비판은 분명히 제 시선의 문제라고 합니다. 아무 선입견 없이 이 책을 읽었다면 미스테리 요소에 여성의 심리묘사를 탁월하게 풀어낸 명작이라 찬사를 보낼 수 있었을 것입니다. 역시 책을 읽기전 선입견은 재미있는 독서에 해가 되는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