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볼라 밀리언셀러 클럽 107
기리노 나쓰오 지음, 김수현 옮김 / 황금가지 / 2009년 12월
평점 :
절판


작가 <기리노 나쓰오>는 이제 미스테리계에서 어떤 일탈을 꿈꾸고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그만큼 이 작품 <메타볼라>는 미스테리 소설의 궤도를 이탈해 일종의 사회고발적인 인문 소설로 볼 수 있는 작품입니다. 

문학성을 따지자면 상당한 깊이가 있는 작품입니다. 특히 젊은 일본 청년들의 심리구조와 그들이 살아가야 하는 일본사회의 구조적인 모순, 그리고 가정해체의 단면, 오키나와와 일본간의 보이지 않는 갈등 등이 작가의 예리한 필력과 어우러져 무척이나 읽는 재미와 수많은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전체적인 분위기를 지배하는 것은 불편한 진실, 즉 사회고발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소설의 제목인 <메타볼라>는 작품 속에서 아무런 설명이 나오지 않아 무척 궁금했는데 찾아보니 건축용어인 메타볼리즘(Metabolism) 즉 사회를 생명체로 바라보는 건축학적 관점이라는 단어에서 착안해 작가가 만든 조어라고 합니다. 그 만큼 이 작품의 핵심은 개인과 사회의 적나라한 현실을 보여주는데 있습니다. 작가는 그 다지 작품에 개입하지 않지만 연옥을 연상시킬 만큼 잔인한 현실을 묘사하는데 많은 부분을 치중하고 있습니다.

일본 청년들의 일탈과 심각한 실업문제 등 사회문제는 비단 이 나라만의 문제가 아니기에 그 심각성이 가슴 깊이 전해졌고, 삶을 거부하면서도 집착을 갖고 살아가는 이소무라 긴지와 내일을 생각하지 않고 고민없이 살아가는 아킨스의 삶과 아름답지 못한 결말도 인상깊었습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이소무라 긴지의 캐릭터는 아무리 봐도 비호감이라 그의 행동에 결코 손들어 주고 싶다는 생각은 안 들더군요.

이소무라 긴지의 되살아난 기억으로 서술되는 가정의 일탈부분은 왠지 가장인 나에게 일종의 경고를 하는 것 같아 가슴이 뜨끔 했습니다. 아무래도 가정을 책임진다는 사람은 더욱 각오를 굳게 다지고 살아가지 않으면 안되겠다는 어떤 무언의 교훈도 주는 것 같습니다.

또 한가지 눈에 띄는 부분은 바로 가마다를 통해 보여준 오키나와와 일본 본도 이주민의 갈등에 관한 부분입니다. 오키나와는 원래 류큐왕국으로 우리나라와 같은 독립국이었습니다. 역사도 400년 이상되고 고려 삼별초나 조선시대 홍길동의 율도국 등과도 연관된 신비의 섬나라 였는데 1879년에 일본에 강제병합되고 맙니다. 

그런데 일본의 전쟁 패망 후에도 일방적으로 독립을 인정받지 못하고 그대로 일본 영토가 되고 말았죠. 이제는 세월이 흘러 일본의 한 현으로 인정하고 사는 것 같지만 아무래도 아직 독립운동 세력도 남아있고 본토 이주민들과 원주민들 사이에 갈등도 존재하고 있습니다. 이 작품은 이것 까지 담아내고 있을 정도니 작가의 사회를 바라보는 관찰력이 어느정도인지 짐작이 가고도 남습니다.

당초 기대했던 흥미진진한 미스테리 소설이 아니라는 점에서는 무척 실망했지만 작품 자체는 무척이나 시사점이 많고 읽는 재미도 뛰어난 작품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이 작품을 읽고 사회의 아픔, 이것이야말로 21세기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우리 모두가 가지고 있는 공통의 문제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