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가운 살인자
서미애 지음 / 노블마인 / 2010년 7월
평점 :
절판


추리소설 매니아라고 말하고 다니는 나이지만 실상 제대로 국내 추리소설 한 번 읽어본 적이 없었습니다. 

우리나라 추리소설이 일본이나 미국, 유럽처럼 메이저 장르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저를 포함한 국내 독자들이 적극적으로 국내 작가들의 작품을 읽고 연구하는 자세가 무엇보다도 필요하다는 것을 알면서도, 막상 일본이나 서양 작품을 사고마는게 이 모순점을 과연 어떻게 극복해야할지 제 자신에게도 하나의 과제였습니다.

이런 가운데 접한 <반가운 살인자>는 제목 만큼이나 제겐 참으로 반가운 국내 추리소설이었습니다. 사실상 제 미스테리 독서사에 사실상 첫 국내 작품이었으니까요?

책장을 덮은 지금, 제 머릿 속에는 참으로 많은 생각들이 들어있습니다. 이걸 어떻게 풀어낼지도 참으로 고민스럽구요. 제가 느낀 점을 말하자면 이 단편집은 크게 미스테리 요소와 다른 사회소설과의 적절한 배합이 이루어진 작품이란 생각입니다.

다르게 표현하자면 서양의 크라임 픽션이나 일본의 본격 추리소설과는 완전히 다른 작품이라는 것이죠. 어찌보면 미야베 미유키의 <이유>나 <화차> 등 사회파 추리소설과 더 가까운 부분이 있는 것 같은데 그것조차 100% 일치하진 않습니다.

이 작품이 독특한 점은 바로 대부분의 소재 자체가 우리나라 즉 국내의 가슴아픈 현실 즉 빈곤, 이기심, 왕따, 불륜 등에서 모티브를 얻고 있다는 것입니다. 범인이 누구인지, 어떻게 사건을 해결하는지는 중요치 않습니다. 작가의 시선은 가슴 아픈 스토리 자체에 있으니까요. 

대표적으로 <반가운 살인자>를 보자면 이 가장은 현 시대의 중년상을 대변하는 캐릭터입니다. 가족을 사랑하지만 능력은 없고, 마지막 남은 사랑하는 딸을 위해 자신의 목숨을 바친다는 설정은 이 시대가 낳은 비극을 그대로 반영합니다. 이 작품 하나만으로도 저는 많은 생각을 해야만 했습니다. 

이 밖에도 가족의 중요성을 다시한번 생각하게 한 <숟가락 두개>같은 작품은 정말 미스테리라기 보다는 휴먼드라마로서 심금을 울리는 작품입니다.

그렇다면 미스테리가 아니냐?고 물으신다면 그래도 미스테리라 하겠습니다. 특히 <남편을 죽이는 서른가지 방법>은 좀 오싹하기도 하고, 한편으로는 우리 와이프 얼굴 한번 더 보게 만드는 그런 느낌이 있는 재밌는 작품이었습니다. 근데 제가 남자라 그런지 남편이 좀 불쌍하더군요. 별로 죽을 만한 짓 한 것 같지도 않은데...여자가 더 무서웠습니다.

그 밖의 작품들도 모두 나름대로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때로는 실소를 자아내기도 하고, 다시한번 사회적 모순을 느끼기도 하는 등 전체적으로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하는 작품이 아니었나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