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바라기가 피지 않는 여름
미치오 슈스케 지음, 김윤수 옮김 / 들녘 / 2009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책장의 마지막을 덮은 시간, 시계는 정확이 새벽 1시 25분을 가리키고 있었습니다.

자리에 누우며 마지막으로 한 생각은 바로 '이 작품에 대한 오해를 거두어야겠다' 는 것이었습니다. 그렇습니다. 저는 오해했었습니다.

이 책을 읽으면서 2009년 국내 서점가를 뒤 흔든 작품이 과연 맞냐고 생각할 정도로 책 내용도 어이가 없었습니다. 제가 보기에 작가 미치오 슈스케는 독자들한테 친절한 작가가 결코 아닙니다.  아무것도 가르쳐주지 않고 본인 멋대로 이야기를 끌고 다닙니다. 갑자기 죽은 친구가 거미로 환생해 살인자가 누군지 가르쳐주지 않나, 3살짜리 애기가 거의 성인 수준으로 사건해결에 동참하지 않나...종잡을 수가 없었습니다. 특히 저를 참을 수 없게 한 것은 이건 추리소설이 아니라 무슨 사이코 드라마 같았기 때문입니다.

사실 사이코 드라마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종국적으로 보면 미스테리에 대한 해법이 다르고 이야기 전개가 다를 뿐. 서서히 진실히 밝혀지는 순간이 다가오면 결국 나같이 비판적인 독자라 할지라도 어느새 미치오 슈스케의 화법에 빠져들고 맙니다. 반전에 반전이 거듭되고, 서서히 껌종이의 은박지가 벗겨지듯이 사건에 대한 전말이 드러나기 시작합니다. 종잡을 수 없던 것들이 하나로 모일 때 나는 느꼈습니다. "아...이거 대박이구나"

미치오 슈스케는 사건묘사보다 심리묘사의 달인입니다. 이 작품이 처음에 이해가 되지 않는 이유는 나 스스로가 정상인의 시각에서 작품을 읽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 작품은 주인공인 10살 소년인 미치오의 관점에서 읽어 나가야만이 모든 것이 이해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사실이라고 확신하고 도덕과 정의의 이름을 붙혀 ’이것이 맞는거야’ 라고 했던 모든 것들이 미치오의 시각에서는 아닐 수도 있다는 것. 이것을 이해하지 못한다면 이 작품에 대해 납득할 수가 없습니다.

우리는 사실 일정부분 자신만의 세계가 존재합니다. 하지만 규범이 만들어낸 세계, 즉 법과 질서라는 이름으로 사회를 유지시켜나가기 위한 규범의 세계가 존재하죠. 대부분의 사람들은 규범의 세계 속에서 잘 적응하려 살려고 하고(잘 적응하지 못하면 여러모로 피곤해 지므로...) 자신만의 세계 역시 이러한 규범의 세계 속에 투영시켜 거기에 반하지 않는 세계를 만들며 살아갑니다. 

그러나 그렇지 못한 사람들이 있습니다. 사회라는 조직의 돌연변이로 받아들여지는 이들. 대다수의 사람들은 이들에게 공감하지 못하지만 이들은 자기만의 방법으로 주어진 과제들을 해결하려 합니다. 그것이 살인일지라도... 참으로 무서운 일입니다.

그래서일까요. 이 소설은 은근히 무섭습니다. 화자의 시선이 비상식적이기에 해법도 결말도 비합리적입니다.  우리는 이성의 굴레에서 벗어나면 무서움을 느끼는 것은 아닐까요? 정상이 아니면 미친게 되는게 우리 세상이니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