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리 망치 - 2005년 일본추리작가 협회상 수상작 ㅣ 블랙 캣(Black Cat) 10
기시 유스케 지음, 육은숙 옮김 / 영림카디널 / 2006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기시 유스케 하면 대부분의 독자들이(저를 포함해서) 백이면 백 <검은집>을 떠올릴 겁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영화화 되서 나름 흥행했던 작품이었죠. 저는 책도 영화도 아직 안 읽어 보았지만 꽤 뛰어난 작품이었다는 평이 많았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굳이 장르를 매기자면 추리소설이라기 보다는 호러소설이라고 했던 것 같구요.
그래서 인지 제 생애 처음으로 읽는 기시 유스케의 작품 <유리망치>도 왠지 이런 호러적인 분위기가 가미된 추리소설이지 않을까 선입견을 가졌었습니다. 표지도 그랬구요. 하지만 마지막 책장을 덮은 지금 이 소설이야말로 진정한(군더더기 없는) 추리소설이라는 평가를 내려 봅니다.
이 작품은 전형적인 추리소설은 아닙니다만 80% 이상은 본격 추리소설, 20%정도는 사회파 추리소설의 형태를 띄고 있다고 보여집니다.
무엇보다도 살인사건은 밀실에서 벌어집니다. 용의자 외에는 도저히 다른 사람이 범인이라고 생각할 수 없는 밀실, 그것도 현대적인 감시카메라와 경비시스템, 강화유리로 무장된 빌딩 최고층에서 벌어진 살인. 그야말로 작가는 모든 면에서 독자에게 도전하는 듯한 살인무대를 설정합니다.
그리고 두 사람. 변호사 준코와 방범전문가(실은 도둑에 가깝죠) 에노모토는 콤비를 이루어 한사람은 추리를 한 사람은 물리적 트릭을 깨기위해 작품 내내 쉴새없이 도전합니다. 수많은 도전과 좌절 끝에 두 사람이 이르는 결말은....
이 작품의 백미는 두번 세번 읽어보고 머릿 속으로 구성을 일일히 해보지 않으면 이해가 잘 되지 않을 정도로 잘 갖추어진 물리적 트릭에 있습니다. 너무 복잡해서 과유불급이라는 말이 생각나기도 합니다만 너무도 완벽한 무대를 설정해 놓은 댓가로 작가는 독자를 납득시키기 위해 정말 복잡한 트릭을 해답으로 제시합니다.
마치 최신 열쇠를 도저히 풀지 못하자 전문가가 나서 피킹하는 법을 아주 자세히 설명한다고 할까요? 여기서 이 작품의 호, 불호가 나뉘게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어떤 이는 혀를 내두르며 고개를 끄덕끄덕이겠지만, 또 어떤 이는 이렇게 복잡하게 머냐며 고개를 설레설레 흔들어 버릴 것만 같다는 생각도 듭니다.
일본 추리작가협회상 수상작이니만큼 읽는 재미는 무조건 보장되며, 진정한 물리트릭에 빠져보고 싶은 독자들에게 권해보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