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마의 공놀이 노래 시공사 장르문학 시리즈
요코미조 세이시 지음, 정명원 옮김 / 시공사 / 2007년 7월
평점 :
품절


소설은 소재가 참 중요하다. 즉 모티브를 어디에서 따오느냐가 소설의 전체 구조와 분위기, 흐름을 주도하는 것이다. 특히 사건의 배경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추리소설에서 그 중요성은 더욱 생명과도 같이 중요한 것이리라.

  그런 의미에서 요코미조 세이시는 행운아다. 지금까지 팔묘촌, 옥문도, 혼징살인사건, 나비부인 살인사건, 이누가미가의 일족을 읽었지만 나비부인 살인사건을 제외하고는 모든 작품에 면면히 흐르고 있는 것은 바로 일본의 민간전설이나 시구, 구전 노래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일본은 유달리 이런 소재들의 천국인데다가 특히나 요코미조 세이시가 본격적인 작품활동을 하던 시절은 일종의 아무도 발을 들여놓지 않은 미지의 세계라 불러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훌륭한 소재,사건들이 즐비했을 것이다. 그 만큼 괴기하면서도 독자들의 관심을 끄는 소재가 많았다는 이야기이다.

  그리하여 작품의 서두에 이러한 소재를 배경에 흘리고 이를 사전에 충분히 설명한 다음 본론에 들어가 독자들은 시작단계에서 부터 무한한 호기심과 궁금증을 가지고 책에 몰입한다. 이런 측면에서 요코미조 세이시는 거의 천부적인 재능을 타고 났다고 할 수 있겠다.

  거기에다 거의 A3 종이 한 장을 펴놓고 도식으로 그려 놓아도 한 눈에 이해하기 힘들 정도의 등장인물 간의 갈등구조-원한, 불륜, 증오, 사생아, 출생비밀 등등 - 로 독자들이 도대체 누가 범인인지 가늠할 수 조차 없게 하는 마력을 발산한다. 요코미조 세이시의 소설이 책장의 3분의 2를 넘겨도 범인을 알 수 없는 가장 큰 이유는 트릭도 트릭이지만 바로 이 복잡한 인물관계에서 오는 혼란이 그 원인이라고 생각한다. 즉 얼키고 설킨 관계 속에서 이 사람도 범인인 것 같고, 저 사람도 범인인 것 같으니 쉽게 단정할 수가 없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요코미조 세이시의 기발한 기법이다.

  결국 듣기에도 섬뜩한 설정, 그리고 인습과 전통 속에서 얽매인 사람들의 복잡한 인간관계가 개입되면서 사건 자체는 미궁에 빠지게 된다. 또한 죽어도 그냥 단순히 죽는 사람은 없다. 거의 대부분 죽음 자체가 기묘하다. 주위에는 온통 서두에 꺼내놓은 사건의 배경과 관련이 100% 있다는 것을 증명해주는 물품들이 있고, 시체는 죽음의 미학(美學)이라 불러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꾸며져 있다. 주변 사람들은 모두가 죽음에 놀라지만 실은 마음 속으로 무거운 짐을 진 것 마냥 죽음에 대해 먼가 알고 있는 눈치지만 쉽사리 말을 꺼내지 않는다. 

  이렇게 복잡하게 얽힌 실타레를 풀어 원래 있던 자리로 되돌려 놓는 이가 바로 명탐정 긴다이치 코스케인 것이다. 하지만 이미 그가 문제를 다 풀었을 때는 이미 죽을 사람은 다 죽은 뒤인 경우가 대부분이라는 게 아이러니라면 아이러니다. 극 전개상 그 사람들은 어쨋든 죽을 운명이다라는 것이 요코미조 세이시의 생각인가?  

 그의 수많은 작품 중 이제 6권을 읽은 내가 쉽사리 판단하기에는 무리가 따르는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지금까지의 느낌으로는 긴다이치 코스케는 사건이 종결되면 사람들에게 그 사건의 A부터 Z까지 자세히 설명해주고 그래서 범인은 바로 ’당신’이야! 라고 외치는 소설 속에 등장하는 무성영화의 변사같은 존재이다.

  그러나 결론적으로 그래서 독자는 즐겁다. 사람의 본성은 양면이 있어서 소설 속의 죽음을 안타까워 하면서도 마냥에 중간에 긴다이치가 범인을 잡아내서 죽어야 할 사람이 안 죽은다면 맥이 탁 풀리며 재미는 순식간에 반감될 것이 분명하다. 요코미조 세이시는 독자가 뭘 원하는지 잘 아는 사람이다. 그래서 불쌍하지만 죽어야 할 인물들은 긴다이치 코스케가 실타래를 다 풀기 전에 죽고, 다 푼 다음에야 그 억울(죽어야 될 사람도 있지만)한 죽음의 비밀이 밝혀지게 된다.  

  단점도 있지만 가장 중요한 재미 측면에서 요코미조 세이시의 소설은 한번 눈을 붙이면 떼기가 어려울 정도로 흡입력이 있다. 일본 추리소설계의 거장이라는 수식어는 결코 과장이 아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