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의 과학 - 복잡한 세상의 연결고리를 읽는 통계물리학의 경이로움
김범준 지음 / 동아시아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관계의과학 #김범준 #동아시아출판사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 여러 관계를 맺으며 형성하는 인간 사회. 저자는 통계물리학의 시선으로 복잡한 사회를 다양한 부분들의 연결을 통해서 바라보고 해석한다. 크게 연결, 관계, 시선, 흐름, 미래라는 주제 안에서 22개의 과학 용어를 우리가 살아가는 사회 속에서 실제 접하는 혹은 접했던 많은 상황들과 사건들을 통해서 쉽게 설명하고 있다. 


비폭력 저항운동이 폭력 저항운동보다 더 큰 성공률을 보이고 전체 인구의 13.4%의 사람이 신념을 가지고 노력하면 사회 전체를 바꿀 수 있다는 연구 결과와 함께 많은 시민들이 평화롭게 함께 모여 성공을 이끌어낸 촛불혁명을 통해서 얼음이 물이 되고 수증기가 되는 것처럼 물질의 상이 변하는 것을 이르는 상전이의 개념을 설명한다. 


컴퓨터 모형을 반복 실험하여 부의 불평등의 누적확률분포의 그래프 모형이 나타나는 모습을 보면서 부의 불평등이 자연스럽게 등장할 수밖에 없음을 알게 되어 안타까웠지만, 이렇게 불평등한 결과가 나오는 것이 개인의 능력이나 노력의 부족이 아님을 또한 알게 되어 위로를 받기도 하였다. 물론 컴퓨터의 실험처럼 현실이 단순하지만 않지만 이미 만들어진 부의 불평등을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해서 소득세를 높이고 기본 소득을 보장해주는 복지정책의 필요성을 다시금 느꼈다. 


꿀벌과 개미가 서로 의견을 교환하여 최적의 선택을 하는 모습을 통해서 지금 우리가 얼마나 단절된 소통을 하고 있는지 반성하게 한다. 스마트폰과 SNS가 우리의 일상이 된 지금 우리는 우리가 팔로우한 비슷한 성향의 사람들의 피드를 읽고, 좋아요와 하트를 누르고 알고리즘에 의해서 추천된 게시물과 동영상만 접하게 된다. 인터넷의 발달과 스마트폰이 우리를 공간의 제약을 벗어난 소통을 가능하게 했지만 오히려 역으로 다양한 생각과 의견의 소통을 가로막는 벽이 되고 있는 것이다. 개미와 꿀벌에게 우리는 나와 다른 타인의 의견에도 귀 기울여야 된다는 교훈을 얻었다.


국회의원들의 법안 통과 비율을 국회의원들끼리의 연결망을 계산하여 설명하고, 소설책보다 과학책이 수명이 더 길다는 것을 반감기 계산을 통해 이야기하기도 한다. 이렇게 우리가 일상에서 접하는 현상이나 궁금해 할 예시들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어 재미있게 읽어 나갔다. 우리 사회의 여러 모습들을 과학적인 시각으로 바라보면 이렇게 분석하고 이해할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그동안 어렵다고만 여겼던 물리학에 대해 가까워지는 시간이었다. 


-


변화는 소수의 훌륭한 지도자가 만드는 것이 아니라, 참여하는 많은 사람들이 함께 만드는 것이라는 점이다. - 45쪽


부의 불평등은 이처럼 자연스럽게 등장한다. 누구나 똑같은 재주를 가지고 있더라도, 누구는 부자가 되고 누구는 가난해질 수 있다는 결론이다. 현실도 마찬가지가 아닐까? 실패했다고 해서, 그 사람의 능력이나 노력이 부족하다고 결론내릴 수는 없다. - 63쪽


난 이처럼 단절된 소통이 두렵다. 서로 단절되어 같은 생각을 가진 사람들하고만 의견을 교환하다 보면 자신의 생각이 당연히 옳다고 착각하기 쉽다. 그리고 다른 의견을 가진 사람들은 하나같이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이상한 사람들로 보이기 시작한다. 하지만 잊지 마시라. 그 사람들도 마천가지로 나를 보며 같은 생각을 한다는 것을. 나는 그들을, 그들은 나를 이해하지 못한다. 이런 단절은 의견 교환을 막아 미래의 상호교환도 어려워진다. 난 우리 모두가 개미나 꿀벌에게서 배워야 한다고 생각한다. 생각이 다른 사람의 의견도 귀담아 듣고, 그 의견이 옳다면 자신의 생각을 얼마든지 바꿀 수 있을 때, 우리 사회의 함께지성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까? - 72쪽


#동아시아 #통계물리학 #물리학 #과학 #책읽기 #독서 #신간 #책 #도서 #책추천 #도서추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