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 2019 제43회 오늘의 작가상 수상작
김초엽 지음 / 허블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빛의속도로갈수없다면 #김초엽 #허블


이렇게 따뜻하고 섬세한 SF소설이 또 있었을까. 그동안 SF라고 하면 매트릭스, 에이리언 같은 디스토피아나 적대적인 외계생물 등 과학과 기술의 발전이 꼭 좋은 것일까를 고민하게 하는 작품들이 먼저 떠올랐는데 이 책을 읽으며 내가 너무 편견어린 시선으로 sf장르를 바라본 것이 아닐까 하고 반성했다.


출간 이후에 워낙 호평도 많고 이번에 2019 올해의 작가상도 받은 작품이라 기대를 많이 했는데 기대 이상으로 더 재미있어서 책을 편 자리에서 끝까지 읽어나갔다. 단순히 재미를 넘어서 그 속에서 전달하는 메시지들도 가볍지 않아서 읽으면서 여러 생각이 들었다.


#우리가빛의속도로갈수없다면

이미 폐쇄된 우주정거장에서 가족이 있는 슬렌포니아 행성계로 가는 우주선을 하염없이 기다리는 안나. 그리고 결국은 그 기다림을 참지 못하고 자신의 작은 우주선을 타고 슬렌포니아로 향하는 그녀의 마지막 모습. 광활한 우주 세상을 개척하는 세상이 오더라도 효율성과 경제성을 따지는 시장논리는 변하지 않는다는 점이 씁쓸하게 다가왔다. 우주의 엔트로피는 그대로일텐데, 외로움은 점점 늘어간다면 누구를 위한 개척이고 개발일까. 


"(....) 하지만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조차 없다면, 같은 우주라는 개념이 대체 무슨 의미가 있나? 우리가 아무리 우주를 개척하고 인류의 외연을 확장하더라도, 그곳에 매번, 그렇게 남겨지는 사람들이 생겨난다면......"

"이런 식으로, 시간을 끄셔도 소용은."

"우리는 점점 더 우주에 존재하는 외로움의 총합을 늘려갈 뿐인 게 아닌가." - 181~182쪽


#관내분실

사람이 읽는 책이 모인 공간이 아닌 죽은 사람들의 마인드가 모여 있는 도서관. 그 안에서 실종된 죽은 엄마의 데이터를 찾는 지민. 산후우울증으로 인해 깊은 무기력에 빠진 지민의 엄마였던 은하. 지민에게 엄마는 그저 '엄마'라는 호칭의 누군가였는데, 마인드 분실 사건으로 인해 지민은 엄마를 '김은하'라는 하나의 여성으로서 인식하게 된다. 결혼, 임신, 출산으로 인해 자신의 이름을 잃어버리고 은하. 결국 개인으로서의 자아를 되찾지 못하고 그렇게 무너져버린 그녀와 세상에서 잊히고 싶다는 그녀의 소원을 뒤늦게 들어준 남편. 그리고 뒤늦게 엄마가 아닌 김은하라는 한 여성의 삶의 흔적을 찾아나가는 지민. 은하가 세상의 남긴 흔적이 책 속에서는 이미 사라진 종이책이라는 점도 인상 깊었다. 더이상 유형의 기록이 남지 않고 사이버 세상 속에서 디지털 자료만 남는 세상. 삭제 한번이면 모든 걸 손쉽게 지울 수 있는 무형의 세상이 꼭 좋기만 한걸까. 굳이 디지털 세상이 아니더라도 우리는 개개인의 자아를 존중하지 않고 학생, 엄마, 여자 등등 여러 명사로서 모두를 싸잡아버리고 이 호칭에서 벗어나는 사람들을 손가락질하며 멸시하는 세상은 아닐까. 


엄마가 또 무엇에 관심이 있었더라. 더는 떠오르지 않았다. 아주 어릴 때 지민에게 엄마는 그냥 엄마일 뿐이었고, 자라면서 엄마를 또 다른 개인으로 인식하게 되었을 무렵에 엄마는 이미 깊은 무기력에 빠져 있었다.

자신과 유민을 낳기 전에는 어땠을까? 지민이 기억하는 한 언제나 엄마슨 엄마였으므로, 그녀가 그냥 '김은하'였던 시절은 깊이 생각해본 적이 없었다. - 251쪽


그 외에도 다른 이야기 속에서 유전자 조작, 미지의 존재와의 공존, 우주 생명체, 감정을 담은 물성 제품 등등 과학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탄탄한 구성을 전개하는 이야기들이 실려있다. 작가의 뛰어난 상상력에도 감탄하지만 그 속에서 우리가 흔히 인간답다라고 생각하는 여러 감정과 여성, 노인 등 소수자에 대한 생각도 함께 담겨 있어서 더욱 좋았다. 작가의 다음 작품들도 매우 기대가 된다.


#동아시아출판사 #동아시아 #SF #SF소설 #책읽기 #독서 #신간 #책 #도서 #책추천 #도서추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