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린이는 어린이 - 〈딩동댕 유치원〉을 만든 사람들
이지현.김정재 지음 / 문예출판사 / 2025년 7월
평점 :
앞에서 말하자면 나는 《딩동댕 유치원》을 한 번도 본 적이 없다. 적어도 내 기억 속에선 그렇다. 남편에게 '딩동댕 유치원을 아느냐'고 물어보니 갑자기 '딩동댕 유치원'의 주제곡을 줄줄 불러서 깜짝 놀랐다. 곧 마흔을 앞둔 남편에게는 어릴 적 아주 좋아한 프로그램이었던 모양이다. 그만큼, 누군가에겐 아직까지도 잊히지 않을 어린시절의 추억이 되어준 《딩동댕 유치원》의 현대 이야기를 담은 책.
《딩동댕 유치원》 속 등장하는 인물들에 대한 설정도 좋았고, 특히 아이들에게는 굳이 감추려 했던 사회의 어두운 면들을 자연스러우면서도 명확하게 전달하는 것이 좋았다.
소중한 우리 아이가 좋은 것만 보고 들으며 자란다면 얼마나 좋을까? 녹록치 않은 현실 속에서 아이 스스로 자신을 보호하고, 어떠한 언행이 옳고 그른지 판별할 수 있어야 한다. 주변과 함께 흘러가기만 해서도 안되고, 자기만의 생각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 자신의 감정을 우회하거나 숨기지말고, 정확하지만 예의있게 표현해야 한다.
물론 부모가 옆에서 도와주겠지만, 부모러고 해서
교육학이나 아동학에 능통해 지는 것은 아니다. 그런 점에서, 미처 부모가 챙기지 못 하거나 어떻게 설명해야 할지 고민되는 주제를 《딩동댕 유치원》을 통해 접할 수 있는 점이 좋았다.
또 '아이에게도 철학을 가르쳐야 한다'는 부분이 인상깊었다. 어떤 행동이나 사건을 깊이 생각해보고 아이, 스스로 사고를 확장할 수 있게 되는 과정은 아이에게도 어른에게도 정말 필요하다.
아기가 조금 더 자라서 미디어를 접하게 된다면 《딩동댕 유치원》으로 시작해야겠다. 그 전에 나도 틈틈이 봐두어야지.
PD가 말하는 것 처럼 모든 아이들이 차별 받지도, 차별 하지도, 차별에 익숙해지지도 않는 세상이 오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