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방인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66
알베르 카뮈 지음, 김화영 옮김 / 민음사 / 2011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서평에 들어가기에 앞서
이 소설은 너무나도 특이합니다. 정말 너무 너무 특이합니다. 이제껏 읽었던 모든 소설들 중 가장 '희한'합니다. 서평을 어떻게 서야 할지 감이 잘 안 잡힐 정도입니다. 그렇다고 특이하다고 해서 이 소설이 저질의 작품은 아닙니다. 오히려 그 시대 최고의 문제작으로 거론 됐을 거 같은 느낌이 드는 작품입니다. 그러면 서평을 한 번 써 보겠습니다.
서평
이 책은 처음 부터가 특이합니다.
[오늘 엄마가 죽었다. 아니 어쩌면 어제, 양로원으로부터 전보를 한 통 받았다. '모친 사망, 명일 장례식. 근조.' 그것만으로써는 아무런 뜻이 없다. 아마 어제였는지도 모르겠다.]
참으로 황당하지 않습니까??? 어머니가 죽었는데 이렇게도 무관심할 수가,,, 이 책은 1부와 2부로 나뉘어져 있는데 1부에서 주인공이 보여주는 전반적인 태도가 이런 무관심의 태도입니다. 또 다른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마리가 나랑 결혼할래? 라고 묻자
[나는, 그런 건 아무 중요성도 없는 것이지만 정 원한다면 결혼을 해도 좋다고 설명을 했다.]라고 합니다.
헐? 뭐지?? 너무 무관심 하지 않습니까?? 하지만 너무 무관심한 그의 태도로 황당할 수 있지만 그가 절대로 타인에 대해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는 것을 잘 알 수 있습니다. 즉 다시말해서 절대에 대한, 진실에 대한 정열을 마음속 깊은 곳에 그도 의식하지 못 한 채 간직하고 있다는 사실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런 무심한 태도로 나날을 지내다가 어쩌다보니(이것도 무관심의 발현이라고 볼 수 있을 거 같다.)살인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2부가 시작되며 재판을 받게 됩니다. 여기 2부로 넘어 가면서부터 뫼르소의 내면에서 뭔가가 변하기 시작합니다. 그가 의식을 지니기 시작합니다. 물론 2부의 처음부터 의식을 지니게 되는 것은 아닙니다. 체포되고 재판을 받기 전까지는 여전히 무관심 합니다. 판사나 변호사에 대한 그의 생각에서 그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런 건 아무 중요성도 없는 것이지만]
[귀찮기도 해서 단념하고 말았다.]
[솔직히 말해서 나는 그의 논리를 제대로 따라갈 수 없었다.]
등등 너무나 어처구니가 없는 말이 아닐 수 없습니다. 어쩌면 자기의 목숨이 걸릴 일인데 이렇게도 무관심 할 수 잇나요?? 그리고 드디어 재판을 받게 됩니다. 그가 보인 모든 태도 하나하나가 이제는 전부 다 해석의 대상이 됩니다.
[그들은 모두 무심하고 약간 비웃는 태도였다.]
[검사는 조소의 빛이 담긴 눈으로]
[역시 들어 주는 사람이 거의 없었다.]
[나는 참여도 시키지 않고 모든 것이 진행되었다. 나의 의견은 물어보지도 않은 상태에서 나의 운명이 결정되는 것이었다.]
[나는 이미 나의 것이 아닌 삶]
등등에서 온갖 부조리를 겪는 주인공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런 재판 과정을 통해 주인공은 점점 부조리에 대한 의식을 갖기 시작합니다. 자기가 죄를 졌다는 사실 조차 감지를 못 했던 그가 이제 자기가 죄수라는 사실을 의식하기 시작합니다. 이러한 의식에 발현은 사형 선고를 받고 난 뒤 더욱 커지고 감옥 속에서 사제와의 대화 속에 마침내 폭발을 하게 됩니다. 이것이 이 소설의 하이라이트 이자 핵심입니다. 이제까지는 무관심하게 자신의 의견을 보인 주인공이 마침내 이 사회의 부조리에 폭발을 하며 한 꺼번에 이 소설의 주제를 방출하는 대목입니다. 바로 이 대목입니다.
['그러나 그의 신념이란 건 모두 여자의 머리카락 한 올만 한 가치도 없어 그는 죽은 사람처럼 살고 있으니, 살아 있다는 것에 대한 확신조차 그에게는 없지 않느냐?']
['그러나 적어도 나는 이 진리를, 그것이 나를 붙들고 놓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로 굳게 붙들고 있다. 내 생각은 옳았고, 지금도 옳고, 또 언제나 옳다.']
['나는 마치 저 순간을, 내가 정당하다는 것이 증명될 저 신새벽을 여태껏 기다리며 살아 온 것만 겉다. 아무것도, 아무것도 중요한 것은 없다. 나는 그 까닭을 알고 있따. 그 역시 그 까닭을 알고 있는 것이다. 내가 살아온 이 부조리한 전 생애 동안, 내 미래의 저 밑바닥으로부터 항시 한 줄기 어두운 바람이, 아직도 오지 않은 세월을 거슬러 내게로 불어 올라오고 있었다. 내가 살고 있는, 더 실감 난달 것도 없는 세월 속에서 나에게 주어지는 것은 모두 다, 그 바람이 불고 지나가면서 서로 아무 차이가 없는 것으로 만들어 버리는 것이었다. 그와 그 하느님, 사람들이 선택하는 삶, 사람들이 선택하는 운명, 그런 것이 내게 무슨 중요성이 있단 말인가? 오직 하나의 숙명만이 나를 택하도록 되어 있고, 나와 더불어 그처럼 나의 형제라고 자처하는, 특권 가진 수많은 사람들도 택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알아듣겠는가? 사람은 누구나 다 특권 가진 존재다. 세상엔 특권 가진 사람들밖에는 없는 것이다.']
이 부분은 가히 충격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제까지 '말이 없고' 계속해서 귀찮아하며 단념하던 그가 마침내 자신의 의견을 폭발적으로 피력한 것입니다. 의식이 완전히 깨어난 것입니다. 주인공 뫼르소는 처으부터 끝까지 사회에 대해 절대로 거짓말을 하지 않았고 절대 진리를 추구하였습니다. 그러나 사회는 이러한 주인공의 모습에 즉시 위협당한다고 느낀 나머지 개인의 인권을 짓밟는 부조리를 행하게 된 것입니다.,,,,,
이건 이방인이 마지막으로 남긴 구절입니다.
['나에게 남은 소원은 다만, 내가 사형 집행을 받는 날 많은 구경꾼들이 와서 증오의 함성으로 나를 맞아 주었으면 하는 것뿐이었다.']
,,,,,
이건 작품에 대한 해설 중 일부내용입니다.
['사형수는 죽음과 정대면 함으로써 비로소 삶의 가치를 깨닫는다. 죽음은 삶의 가치를 더욱 돋보이게 하는 어두운 배경이며 거울이다. 필연적인 죽음의 운명 때문에 삶은 의미가 없으므로 자살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이 한정된 삶을 더욱 치열하게 살아야 한다. 이 소설의 참다운 주제는 삶의 찬가, 행복의 찬가다.']
서평을 마치며,,,,,
이방인은 사회의 부조리에 절대로 굴복하지 않고 절대 진리를 추구하는 인간상을 나타낸 인물입니다. 사실 인간 세계에서 재판(정의)라는 게 가능한 것일까요?? '남을 재판하지 말라'라는 구절을 생각나게 하는 뛰어난 작품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