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분 기적의 독서법 - 인생역전 책 읽기 프로젝트
김병완 지음 / 미다스북스 / 2011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서평에 들어가기에 앞서

사실 '독서 천재가 된 홍 대리'를 읽으려고 했는데 마침 도서관에 그 책이 없어서 독서법에 관련된 책을 찾다가 예전에 제목을 봤던 기억이 있어서 이 책(48분 기적의 독서법)을 고르게 되었다.

 

서평

 나는 독서를 여러 주변 여건 상, 또는 귀찮아서 많이는 하지 않았지만 꾸준히는 하고 있었다. (참고로 이 책을 읽기 전까지 나는 주 1~2권 정도를 읽었다.) 이 책을 읽기 전까지 나는 양서 위주로만 책을 읽어야 한다는 패러다임을 갖고 있었다. 또한 '적게 읽더라도 느끼는 게 많다면 적은 수의 책을 읽더라도 상관없다'라는 패러다임을 갖고 있었다. 사실 모든 책이 패러다임을 바꾸는 데 도움이 되지만 이 책은 특히 독서법에 관한 근본적인 통찰을 하도록 도와주었다. 이 책의 핵심은 양이 질을 낳는다는 것이다. 즉 다독하라는 것이다. 그것도 3년간 천권의 책을 읽으라는 것이다. 이 책의 법칙을 소개한다.

 

* 48분 기적의 독서법 성공 조건

1. 독서하는 양이 1,000권이 넘어야 한다.

2. 독서하는 데 걸린 기간이 1,000(3년)일 이내여야 한다.

3. 오전 48분, 오후 48분의 독서법을 꾸준히 실천해야 한다.

4. 권당 평균 독서 시간을 100분 정도로 맞춰야 한다.

단, 초기에는 몇일이 걸려도 상관없다. 앞서 설명한 독섭법을 활용하고, 본인의 독서력이 늘어나는 것을 고려하여 전체 평균시간을 의미하는 것이다. (p.284)

 

그렇다면 이 법칙에 관한 필자의 주장을 살펴보자.

 

* 기적의 독서법은 무엇인가? 첫째, 독서량이 일정한 임계점을 돌파하는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 둘째, 일정 시간 안에 필요한 양의 독서를 마쳐야 한다. 여기서 말하는 임계점은 의식과 사고의 차원이 한 단계 격상되는 기준점을 말하는데,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임계점을 돌파할 수 잇을 정도로 독서를 해야 한다는 사실이다. 독서를 하되 1년이면 1년, 3년이면 3년 시간을 정해서 독서의 과제를 완수해야 한다는 것이다. 같은 양의 책을 읽더라도 3년 동안 읽는 것과 100년 동안 읽는 것은 분명 차이가 있다는 의미이다.(p.12)

 

즉 다시 말해서 임계점을 돌파하기 위해서는 엄청난 독서와 짧은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왜? 하필 독서 기간과 양을 3년간 천권으로 정한 걸까? 이유는 성공한 여러 위인들이 보여주는 독서기간과 양이 평균적으로 봤을 때 3년간 천권을 읽어왔기 때문이다.

 

참고로

천권을 읽을 때 독서편식을 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들도 나와 있다. 살펴보자

 

* 닥치는 대로 읽는다는 것은 다양한 생각을 가진 저자와 폭넓게 만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만약 양서만을 골라 읽는다면 일정한 생각을 가진 규격화된 사람만 만나는 것과 다르지 않다. 다양한 의견을 가진 사람은 만나지 못하는 것이고, 새로운 견해를 접할 수 없게 되며, 결국 편협한 가치관을 갖게 될 수밖에 없다. (p.137)

 

* 자신의 관심 분야에만 몰두하는 사람은 폭넓은 사고를 가질 수 없다. 피터 드러커가 세계적인 명성을 얻을 수 있었던 것은 3년을 주기로 주에와 분야를 달리하여 다양한 책을 읽었기 때문이고, 덕분에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가 수준의 지식과 혜안을 가진 사람이 되었다. (p.138)

 

* 하이데거는 사고와 의식과 이성이 시작되고 향상되는 시점을 '낯선 것과의 조우'라고 말했다. 매일 습관처럼 익숙한 생각과 일상을 거듭하면 의식과 사고와 이성의 발달이 어렵다는 것이다. 이성이 시작되고, 사고의 폭이 넓어지고, 의식 수준이 향상되기 위해 필요한 것은 그동안 경험하지 않았던 것들과의 조우이다.(p.147)

 

서평을 마치며

이 책을 통해 기존에 갖고 있던 패러다임을 수정 할 수 있어서 좋았따. 정독도 좋지만 다독도 필요하다는 것과, 양서만이 아닌 다른 책들도 읽어야 하는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