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학자는 두뇌를 믿지 않는다 - 운, 재능, 그리고 한 가지 더 필요한 삶의 태도에 관한 이야기
브라이언 키팅 지음, 마크 에드워즈 그림, 이한음 옮김 / 다산초당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초등학생 때 물체의 운동에 대해 처음 배웠던 것 같다. 일찍이 수포자였던 나는 고등학교때 물리과목을 좋아하지 않았다. 그러나 나이 마흔이 넘어 물리를 대할 때마다 놀라움과 경이로움을 느낀다. 그리고 무엇보다 재미있다. 사물의 이치를 연구하는 이 학문은 물질의 물리적 성질과 현상들에 대해 연구한다. 그 도구인 숫자(수학)가 내게 어려웠을 뿐이었다.


📌 "우주론은 거대한 질문을 다루는 대담한 학문이에요. 우주론에서는 이런 질문이 즐비합니다. “이 모든 건 어떻게 시작됐으며, 어디로 나아가고 있을까?” 많은 사람이 이런 질문은 과학이 아니라 철학이나 종교에나 어울린다고 느끼지만, 그 질문은 우주론자의 연구 주제이기도 하죠. 하지만 출발점은 같아도 접근법은 다릅니다. 우린 우주가 왜 있어야 하는지. 우주에서 사람이 무엇을 애햐 하는지 고민하는 대신에 우주 공간의 역학이나 운동, 거리를 얘기하지요.”


이 책은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들의 연구주제를 소개하는 책이 아니다. 이 책에 실린 아홉명 명의 물리학자, 그 사람들을 다룬다. 물리학자들이 자신의 삶에서 견뎌야 했던 불확실성과 탁월한 사회적 기술의 바탕에 대해 이야기 한다. ‘운, 재능, 그리고 한 가지 더 필요한 삶의 태도’는 바로 “호기심”이다. 그들의 연구는 ‘왜’에서 시작했으며, 노벨상을 수상한 이후에도 흥미를 가지고 연구를 계속해 나가고 있다.


📌 "호기심은 스스로 강화하는 힘이 있고, 그 자체로 가치가 있다. 한 사람의 호기심은 독자적인 것으로 오로지 자기 자신에게만 속하며 그 사람을 드높은 성취로 이끄는 탁월한 연료다.“


그리고 인상적인 것은 그들이 합의를 이루어가는 “태도”다. 노벨상은 어느 한 개인의 성과가 아니다. 수없이 충돌한 실험과 증명의 합의이며 누적이었다. 그들은 실험실에 틀어박혀 홀로 일하지 않았으며, 연구진과 함께 경쟁하고 협력하며 서로를 존중했다. 그들은 사회성이 뛰어났다.


📌 "과학뿐 아니라 모든 분야에서 자기비판 능력의 결핍은 재앙을 초래한다. 사람들과 상호작용하고, 그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그들을 설득하고 이끄는 법을 알아야 한다. 그와 같은 사회적 기술은 우리가 영업자든 핵물리 학자든 간에 모른다면 꼭 배워야 하는, 능력의 부수적인 요소가 아니라 본질이다. 소통하지 않으면 괴짜일 뿐이다. 모든 중요한 성과는 함께 일구는 거예요."


지금도 막막함을 견디며 새롭고 낯선 연구를 수행하고 있을 과학자들을 떠올려보며, 내 호기심은 어디로 향하고 있는지 질문해보게 했던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