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은 단단하게 인생은 유연하게 - 정신과 의사가 권하는 인생이 편해지는 유연함의 기술
정두영 지음 / 더퀘스트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앞으로 무얼 해야 할지 막막한 와중에 

똑같은 문제가 반복되고

스트레스를 조절하기 어렵다면

문제의 진짜 원인은

낮은 심리적 유연성일 수 있습니다.

- 책날개 中 -


    '심리적 유연성'이라는 말에 확 끌렸다. 예전에 한창 이슈였던 '회복 탄력성'이라는 말이 한동안 나의 키워드였는데 '심리적 유연성'이라는 말 또한 나에게 제법 울림있게 다가왔다. 저자가 앞으로 어떤 이야기를 들려줄 지도 조금이나마 짐작이 되었다. 그리고  나의 '심리적 유연성'에 대해 자가분석도 해보며 책장을 넘기기 시작했다.


    저자는 울산과학기술원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이자 헬스케어센터 소속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이다. 울산과학기술원(유니스트)  전체 인원의 10분의 1이 저자인 정두영 교수님이 운영하는 헬스케어센터를 찾아 진로 고민과 업무 수행에서 생기는 불안, 우울, 무기력, 대인 관계 문제 등의 상담을 받는다고 한다. 부러우면 진다는데 정말 부럽고 또 부럽다. 저자는 모든 문제의 시작점에는 '심리적 유연성'의 결핍이 있음을 알고 내담자들의 마음이 무너지지 않도록 대처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고 한다. 마치 아픈 환자들에게 대증치료 효과가 있는 약을 바로 처방해주는 게 아니라, 근본적인 면역을 키워주기 위해 운동과 식이요법 처방을 해주듯이 말이다.


    이 책은 총 4장으로 구성되어 있는 데 이 중 2장과 3장이 와닿았다. 

    2장 '나의 불완전함을 받아들이면 인생이 편해진다'를 읽는데 최근에 인기리에 종영한 자폐 스펙트럼 변호사의 좌충우돌 이야기가 담긴 드라마가 떠올랐다. '기러기, 토마토, 스위스, 인도인, 별똥별'이라는 단어들을 줄줄 읊어대며 자신의 이름을 소개하던 그 귀여운 변호사는 새로운 공간에 들어갈 때면 손가락을 접으며 수를 센 후 들어간다. 그렇게 해야만 긴장감과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음을 잘 알고 있기에 바쁜 상황이어도 항상 그렇게 자기만의 의식을 치른 후 새로운 공간으로 들어가는 것이다. 일상 속에서 내가 힘든 장면이나 불편한 상황을 접해야 할 일들이 생길 때마다 스트레스 받고 힘들어 하며 포기하지 않고, 자기만의 루틴을 만들어서 해결해나가며  주위 사람들에게도 '그렇게 해야 내가 편안해진다'라고 당당하게 설명하는 모습을 보며 나도 나만의 해소법을 만들어야겠다는 필요성을 느꼈다. 이 책의 저자 역시 우리가 예민해는 상황이 오는 것은 내가 못난 사람이 아니라 그 예민함이 나의 또 다른 장점일 수 있다고 얘기하며 마치 드라마 속 변호사처럼 해보라고 권유하는 것 같아서 평소 예민한 나에게 큰 동기유발이 되었다.



 

원인이 무엇이든 내게 예민해지는 부분이 있다고 해서

내가 열등한 사람은 아니라는 사실을 명심해야 합니다.

오히려 예민함을 조절하는 능력을 키워 어려움을 극복한다면

인생이 더 풍성해질 수도 있습니다.

맛에 특히 예민한 사람이 맛없는 음식을 먹지 못해 

직접 맛있는 요리를 만들어 소중한 사람들에게 대접하는 것처럼

인간에 대한 예민함을 장점으로 발전시켜 

상대를 더 배려하는 부모, 선배, 동료, 친구, 연인, 배우자가 될 수 있습니다.

자신이 예민해지는 부분은 아직 발견하지 못한 나의 장점일 수 있습니다.

- p. 114~115中 -

  

    그리고 3장 '마음은 유연함을 연습할수록 단단해진다'에서 중요한 해결방법 세 가지를 배웠다. '비난으로부터 나를 지키는 세 가지 방법'인데 다음과 같다.


  1) 사람들은 원래 남 이야기 하기를 좋아한다.

  2) 이상한 사람은 어디에나 있다고 생각하기

  3) 나를 이해하는 사람들과 연대할 것


     저자는 근거 없는 비난에 신경 쓰는 대신 내 편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라고 한다. 멀리서 나를 비난 하는 이름 모를 누군가를 찾기 위해 애쓸 게 아니라, 나의 든든한 지지자가 되어 주는 이들과 함께 하며 에너지를 받는 것. 이것만큼 스스로 이겨낼 수 있는 지혜로운 방법도 없으리라고 생각한다.  

     인생이라는 여행에서 다양한 변수를 만날 때마다 일일이 맞대응하며 에너지를 쏟는 것보다 저자의 조언대로 그 변수들을 그 자체로 바라보는 유연함을 갖는 것이야말로 '행복한 여행'의 비결이지 않을까 싶다. 나도 내 인생의 후반전은 좀 더 유연한 삶의 태도로 이 여행을 즐겨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