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웹소설 쓰기 - 단계별로 따라가는 웹소설 맞춤 수업 Daily Series 17
김남영 지음 / 더디퍼런스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단계별로 따라가는 웹소설 맞춤 수업
<매일 웹소설 쓰기>
김남영 지음, 더 디퍼런스, 2024. 03. P.172

작가에게는 자식과도 같은 작품, 어떻게 출판하면 될까요?

📖 P.90
투고
투고는 출판사에서 원하는 만큼 글자수를 채워 시놉시스와 함께 보내는 방 법이다. 각 출판사 및 장르 레이블에 따라 투고 받는 조건은 모두 다르기 때 문에 이를 확인한 후 투고한다. 투고처는 보통 e-book을 구매했을 때 면 앞 장이나 맨 뒷장, 또는 출판사 블로그에 이메일 주소와 투고 조건이 친절하게 나와 있다.
📚

📖 P.91
컨택
컨택은 무료 연재 플랫폼에서 연재하며 출판사에서 연락이 오길 기다리는 방법이다. 무료 연재를 시작할 때는 작품 소개란에 자주 쓰는 이메일 주소와 함께 옆에 '미계약작'이라고 적어 둔다. 출판사 컨택은 이메일 또는 플랫폼 자체 내 쪽지를 통해 연락이 온다.
📚

출판까지 가기 위해 머릿속에 정리되지 않은 채 뒤섞여 있는 이야기를 글로 정리 해 봐야겠는데요. 이야기를 글로 쓴다는 건 시나리오나 드라마 대본, 일반 소설의 순문학과 같지만 웹소설의 글쓰기는 좀 다릅니다.

📖 P.139
순문학
▪️한 장면에 스토리 진행이 많지 않다.
▪️주변 환경 묘사 등 비유 문장이 많다.
▪️길고 아름다운 문장
▪️ 스토리가 잔잔하고, 우회적이다.

📖 P.140
▪️ 한 장면을 오래 끌면 안 된다.
▪️ 비유가 많으면 지루해진다.
▪️ 짧고 미사여구 없는 간결한 문장
▪️ 스토리가 자극적이고 직관적이다.

웹소설의 문체는 간단하고 직관적입니다. 제목도 노골적이고요. 줄거리를 예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라고 합니다. 이를 보고 이 정도는 나도 쓰겠다! 라고 하시는 분들도 계십니다. 웹소설이든 순문학의 소설이든 작가의 능력은 글을 쓰는 것만이 아니라 이야기를 끌어나가는 힘도 있답니나. 내 이야기를 이끌어 완성해 내고 그것을 독자로 하여금 꾸준히 읽어 나가게 만드는 능력, 이건 폄하할 수 없는 능력이지요.

혹시 아이디어가 떠오르셨다면 <매일 웹소설 쓰기> 속 단계별 맞춤 수업을 따라가며 한 편…? 저희 학교도 에피소드로 넘쳐나는데 저도 한 번 도전…?

직업에 귀천이 없듯 음악도 더 열등한 음악, 더 나은 음악이 없고 문학도 그렇답니다. 힘든 하루를 잠시 잊게 해 주는 세상의 모든 예술에 cheers 🍺

* 더 디퍼런스에서 도서 제공 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