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란유발자들 - 인간 심리의 취약점을 이용하는 소셜미디어의 뒷이야기
맥스 피셔 지음, 김정아 옮김 / 제이펍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혼란 유발자들>
맥스 피셔 지음, 김정아 옮김
제이펍, 2024.1. P.520

X,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같은 SNS 다들 하나쯤은 이용을 합니다. 지금도 인스타그램을 보고 계시지요. SNS, 한번 발을 들이면 빠져나오기가 쉽지 않습니다. 빠져나올 수 없는 개미지옥이라 부르는 이유가 이런 겁니다. 도대체 왜 그런 걸까요?

📖 P.37
페이스북이 이용한 것은 음악 산업의 빈틈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이었다. "이런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때 반영된 사고 과정의 핵심은 '어떻게 해야 사람들의 시간과 주의력을 최대한 많이 소비할 수 있을까?'였습니다. 그러려면 누군가가 사진이나 게시물에 좋아요'를 누르거나 댓글을 달았을 때 이따금 사용자를 도파민에 살짝 취하게 해야 합니다.
그러면 사용자가 더 많은 콘텐츠를 올릴 테고, 따라서 '좋아요'와 댓글을 더 많이 받겠죠." 파커는 이런 현상을 '사회적 인정의 되먹임 고리라 불렀다. "인간 심리의 취약점을 이용하는 것이니 딱 나 같은 해커가 떠올릴 만한 일이죠." 파커에 따르면 파커도 저커버그도 처음부터 이 약점을 알고서 이용했다고 한다.
📚

도파민은 인간의 뇌에서 행복을 만드는 물질로 이것이 분비될 때 우리는 행복을 느끼게 됩니다. 소셜미디어기 자극하는 건 이것이었군요. SNS가 주는 상대적 박탈감만이 문제가 아니었군요.

📖 P.39
도파민은 소셜미디어의 공범, 우리 뇌 내부의 첩자다. 그래서 스마트 폰에도 슬롯머신처럼 화려한 알림 배지, 쉭 소리가 나는 효과음, 부드러운 진동이 가득하다. 이런 자극 자체는 신경학적으로 의미가 없다. 하지만 친구에게 문자를 보내거나 휴대폰을 들여다보는 것 같은 행동과 짝을 이루면 자연스럽게 효과가 나타난다. 소셜 앱은 배고픔이나 탐욕보다 더 강력할 수 있는 충동인 연결 욕구를 장악한다.
📚

유튜브는 진실 착각 효과라는 인지 기능의 허점을 악용합니다. 하루종일 쏟아지는 정보 중 받아들일 정보를 판단하는 기준, 그 기준 중 하나가 익숙함이라고요. 예전에 진실로 받아들인 내용과 비슷하다는 느낌이 들면 현재 정보를 진실일 가능성이 크다고 보는 인지 편향이 일어납니다.

어쩌면 알면서도 ‘좋아요’와 ‘알고리즘’에 중독되어 외면했던 것들인지도 모르겠습니다. 방학에 천천히 다시 읽어봐야겠네요.


* 제이펍 출판사에서 도서 제공 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