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정관념은 왜 생기나요? 라임 틴틴 스쿨 19
타니아 로이드 치 지음, 드류 섀넌 그림, 김선영 옮김 / 라임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정관념은 왜 생기나요?>
타니아 로이드 치 지음, 드류 섀넌 그림
김선영 옮김
라임, 2023.5

수업 중에

“공부를 열심히 했는데도 시험을 잘 못 봤어요.”

이런 문장이 나오기라도 하면 어딘가 빈정이 상해버리곤 합니다. 노력한 만큼의 결과를 얻을 수 없다니요. 현실은 더 참담한 날이 많겠지만 적어도 말은 희망적으로 하고 싶답니다.

노력한 만큼의 보상이 얻어질 수 없다는 건 모두가 알지만 노력한 만큼 보상이 주어져야 한다는 것이 모두에게 고정관념처럼 모두가 박혀 있었으면 합니다. 타인의 노력을 헛수고로 만드는 뻘짓 같은 건 좀 안하게 말이지요.

우리가 다른 사람을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한 뒤 잘못 판단하는 방식을 일컬을 때 쓰는 용어 몇가지는
편견(편파성), 차별, 선입견, 고정관념. 그중 책의 주제 고정관념은 사람들의 행동을 결정하는 쉽게 변하지 않는 굳은 생각, 또는 당연한 것처럼 알려진 생각을 말합니다. 고정관념은 성, 인종, 민족, 직업 등에 대해서 나타나며 뚜렷한 근거가 없고 감정적인 판단으로 이루어지곤 합니다.

📖 (P.8)
1️⃣ 미국에서 젊은 흑인 남성은 경찰에게 살해당할 확률이 백인 남성 에 비해 아홉 배나 높다.
2️⃣ 여학생은 중학교까지는 과학 과목을 남학생과 똑같이 잘한다. 그 런데 한국, 스웨덴, 벨기에, 독일, 오스트레일리아 등 많은 국가에 서는 여자가 대학 이상의 과정에서 과학 분야 학위를 따는 경우가 남자에 비해 훨씬 적다.
3️⃣ 캐나다에서 퍼스트 네이션스(유럽인이 캐나다에 들어오기 전부터 터전을 잡은 첫 민족.-옮긴이) 보호 지역의 어린이들은 정부의 교육 및 건강 지원금을 다른 어린이들보다 덜 받는다.
4️⃣ 다문화 가정의 청소년은 학교에서 괴롭힘을 당할 확률이 그렇지 않은 가정의 동급생과 비교했을 때 두 배가 높다.

고정관념에 사로 잡혀 이런 부당한 이야기를 하게 될 수도 있는 거랍니다. 고정관념, 편견 없이 세상을 받아 들이려 노력하고 있습니다만 저도 모르게 잘못된 시선이 튀어나오고 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좀 더 노력해야겠습니다.

* 출판사에서 도서 제공 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